$\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한 강수량 분포 추정을 위한 PRISM 매개변수 및 수치표고모형 최적화
Optimization of PRISM Parameters and Digital Elevation Model Resolution for Estim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5 no.3, 2012년, pp.36 - 51  

박종철 (포트랜드주립대학교 지리학과) ,  정일원 (포트랜드주립대학교 지리학과) ,  장희준 (포트랜드주립대학교 지리학과) ,  김만규 (공주대학교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태환경모델링, 수문모델링, 기후변화 영향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규 격자 형태의 기후자료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PRISM(Precipitation-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은 다양한 격자형태의 기후자료 생산방법 중 고지대의 강수량 추정에 유용한 방법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 모델의 매개변수 및 모델에 사용되는 수치표고모형공간해상도 최적화에 대한 논의가 충분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RISM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SCE-UA(Shuffled Complex Evolution-University of Arizona) 기법을 이용하여 2000-2005년 1km 공간해상도의 남한 연평균 강수 격자자료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PRISM 매개변수 최적값 및 DEM의 적정 공간해상도를 추정하였다. 아울러 매개변수와 수치표고모형에 대한 PRISM의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PRISM 모델에서 관측소 최대 탐색반경(67km)과 최소반경(31km), 지형고도-강수량의 선형회귀식 산정에 필요한 최소 관측소 개수(4개), 수치표고모형의 적정 공간해상도($1{\times}1km$) 등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PRISM 모의 결과가 수치표고모형의 공간해상도에 매우 민감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PRISM 기법을 국내에 적용할 때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mand for a climatological dataset with a regular spaced grid is increasing in diverse fields such as ecological and hydrological modeling as well as regional climate impact studies. PRISM(Precipitation-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 is a useful method to estimate high-alt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의 PRISM 매개변수 및 DEM의 적정 공간해상도를 추정하기 위해 PRISM 초기 개념을 토대로 모델을 구축하고, 전역 최적화 기법을 이용하여 매개변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최적화된 매개변수 및 DEM의 공간해상도를 토대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PRISM 결과가 매개변수 및 DEM의 공간해상도에 얼마나 민감한지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실험대상 매개변수가 모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각각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민감도 분석에는 위의 과정을 통해 결정된 PRISM 모델을 이용하였다.

가설 설정

  • 2) 필터링된 사면방향은 지형고도 값에 필터를 적용해 지형면을 부드럽게 만들어 사면 방향의 분할을 줄인 것이다(Daly et al., 1994). 조밀한 사면방향을 사용하면 특정 범위 내에서 내 · 외삽 대상지점과 동일 사면에 위치한 기상관측소를 찾기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매개변수 최적화는 무엇인가? 매개변수 최적화는 모의된 값과 실측된 값 사이의 통계적인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매개변수 값을 찾아가는 방법이다. 매개변수 최적화 기법은 크게 매뉴얼 방식과 수학적인 방법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매개변수 최적화 기법 중, 매뉴얼 방식의 단점은? 매개변수 최적화 기법은 크게 매뉴얼 방식과 수학적인 방법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매뉴얼 방식은 연구자가 변수를 하나씩 직접 수정해 가며 결과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시간이 오래 걸리고, 연구자가 오랜 경험과 모델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는 어려움이 있다. 수학적인 방법은 Pattern search method(Hooke and Jeeves, 1961), Simplex method(Nelder and Mead, 1965), Genetic algorithm-fine tuning(Holland, 1975), Adaptive random search(Pronzato et al.
국내 강수량 관측소는 대부분 저지대에 위치하는데, 이로 인한 문제점은? 국내에서도 강수량 관측소는 대부분 상대적으로 저지대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분포형강수량 자료를 생산함에 있어 고지대의 강수량 추정에 문제가 있다. 이에 국내에서는 신성철 등(2008)이 PRISM의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5×5㎞ 공간해상도의 강수량 분포를 추정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김규범, 손영철, 김종욱, 이장룡. 2005. ArcView GIS의 Avenue(TM) Language를 활용한 수문지질도 작성 알고리즘 개발 및 적용 사례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3):107-120. 

  2. 김맹기, 한명수, 장동호, 백승균, 이우섭, 김연희, 김성. 2012. 1km 해상도의 관측 격자자료 생산 기술. 기후연구 7(1):55-68. 

  3. 김호용. 2010a.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도시교통량 예측의 정확성 향상.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4):138-147. 

  4. 김호용. 2010b.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시설 입지 정확성 향상 방안.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2):146-156. 

  5. 박노욱, 장동호. 2008. 수치표고모델과 다변량 크리깅을 이용한 기온 및 강수 분포도 작성. 대한지리학회지 43(6):1002-1015. 

  6. 박종철, 김만규. 2009. 공동 크리깅을 이용한 강수 분포도 작성에서 지형 사면방향 변수 사용에 대한 연구: 제주도를 사례지역으로. 한국지형학회지 16(3):59-66. 

  7. 박현주, 신휴석, 노영희, 김경민, 박기호. 2012.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단양군의 산림 탄소저장량 추정-지상부 바이오매스를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1):16-33. 

  8. 신성철, 김맹기, 서명석, 나득균, 장동호, 김찬수, 이우섭, 김연희. 2008. GIS와 PRISM을 이용한 고해상도 격자형 강수자료 추정. 대기 18(1):71-81. 

  9. 이상훈. 2008. 클러스터링과 지구통계학 기법을 이용한 지하공간정보 모델 생성시스템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4):64-75. 

  10. 이재봉. 이홍로. 2005. 객체지향 데이터 모델에 기반한 해양환경 분석에 따른 어장 등급분류.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1):40-48. 

  11. 이형석. 2010. 공간보간법의 매개변수 설정에 따른 평균제곱근 비교 및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3):29-41. 

  12. 조홍래, 정종철. 2006. 강우자료에 대한 공간보간 기법의 적용. 한국GIS학회 14(1):29-41. 

  13. Beven, K.J. and A.M. Binley. 1992. The future of distributed models: model calibration and uncertainty prediction. Hydrological Processes 6(3):279-298. 

  14. Briggs, P. and J. Cogley. 1996. Topographic bias in mesoscale precipitation networks. Journal of Climatology 9:205-218. 

  15. Chang, H. and I-W. Jung. 2010.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in runoff caused by climate change in a complex large river basin in Oregon. Journal of Hydrology 388(3-4):186-207. 

  16. Daly, C., G.H. Taylor, W.P. Gibson, T.W. Parzybok, G.L. Johnson and P. Pasteris. 2001. High-quality spatial climate data sets for the United States and beyond.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3:1957-1962. 

  17. Daly, C. and G.L. Johnson. 1998. PRISM spatial climate layers: Climate mapping with PRISM. pp.1-49. 

  18. Daly, C., J. Smith and R. McKane. 2007. High-resolution spatial modeling of daily weather elements for a catchment in the Oregon Cascade Mountains, USA.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46:1565-1586. 

  19. Daly, C., R.P. Neilson and D.L. Phillips. 1994. A statistical-topographic model for mapping climatological precipitation over mountainous terrain.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33(2):140-158. 

  20. Daly, C., T.G.F. Kittel, A. McNab, W.P. Gibson, J.A. Royle, D. Nychka, T. Parzybok, N. Rosenbloom and G. Taylor. 2000. Development of a 103-year highresolution climate data set for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Proceedings of the 12th AMS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Asheville, NC, May 8-11, pp.249-252. 

  21. Duan, Q., S. Sorooshian and V.K. Gupta. 1992. Effective and efficient global optimization for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s. Water Resource Research 28(4):1015-1031. 

  22. Duan, Q., S. Sorooshian and V.K. Gupta. 1994. Optimal use of the SCE-UA global optimization method for calibrating watershed models. Journal of Hydrology 158:265-284. 

  23. Gan, T.Y. and G.F. Biftu. 1996. Automatic calibration of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s: optimization algorithms, catchment conditions, and model structure. Water Resource Research 32(12):3513-3524. 

  24. Goovaerts, P. 2000. Geostatistical approaches for incorporating elevation into the spatial interpolation of rainfall. Journal of Hydrology 228:113-129. 

  25. Hevesi, J., J. Istok and A. Flint. 1992. Precipitation estimation in mountainous terrain using multivariate geostatistics. Part I: structural analysi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31:661-676. 

  26. Holland, J.H. 1975. Adaptation in Natural and Artificial System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Ann Arbor. pp.1-183. 

  27. Hooke, R. and T.A. Jeeves. 1961. Direct search solutions of numerical and statistical problems. Journal of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8(2):212-229. 

  28. Johnson, G.L., C. Daly, G.H. Taylor, C.L. Hanson and Y.Y. Lu, 1997. GEM model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parameter variability, and distribution using PRISM. Proceeding of the 10th AMS Conforence. pp.210-214. 

  29. Kittel, T.G.F., J.A. Royle, C. Daly, N.A. Rosenbloom, W.P. Gibson, H.H. Fisher, D.S. Schimel, L.M. Berliner and VEMAP2 Participants. 1997. A gridded historical (1895-1993) bioclimate dataset for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Proceeding of the 10th AMS Conforence. pp.219-222. 

  30. Krige, D.G. 1951. A statistical approach to some mine valuations and allied problems at the Witwatersrand, Master Thesis, Univ. of Witwatersrand. 272pp. 

  31. Lee, E.K. 2003. A Space Model to Annual Rainfall in South Korea. The Korean Communications in statistics 10(2):445-456. 

  32. Lettenmaier, D., D. Major, L. Poff and S. Running. 2008. Water Resources. In: M. Walsh et al.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Agriculture, Land Resources, Water Resources, and Biod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U.S. Climate Change Science Program and the subcommittee on Global Change Research, Washington, DC. pp.362. 

  33. Moran, P.A.P. 1950. Notes on continuous stochastic phenomena. Biometrika 37(1) :17-23. 

  34. Nelder, J.A. and R. Mead. 1965. A Simplex method for function minimization. Computer Journal 7:308-313. 

  35. Pronzato, U., E. Walter, A. Venot and J.F. Lebruchec. 1984. A general purpose global optimizer: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s. Mathematics and Computers in Simulation 26:412-422. 

  36. Shepard, D. 1968. A two-dimensional interpolation function for irregularlyspaced data. Proceedings of the 1968 23rd ACM National Conference. New York, NY, USA. pp.517-524. 

  37. Simpson, J.J., G.L. Hufford, C. Daly, J.S. Berg and M.D. Fleming. 2005. Comparing maps of mean monthly surfac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for Alaska and adjacent areas of Canada produced by two different methods. Arctic 58(2):137-161. 

  38. Thiessen, A.H. 1911. Precipitation averages for large area. Monthly Weather Review 39:1082-1084. 

  39. Vrugt, J.A., C.J.F. ter Braak, M.P. Clark, J.M. Hyman and B.A. Robinson. 2008. Treatment of input uncertainty in hydrologic modeling: doing hydrology backward with markov chain monte carlo simulation. Water Resource Research 44:W00B09:1-15. 

  40. Yates, S.R. and A.W. Warrick. 1987. Estimating soil water content using cokriging. Soil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51:23-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