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시설 급식실 실내 환경에서 분리된 식중독 미생물의 항생제 내성 특성
Antibiotic Resistance of Food-Borne Pathogens Isolated from an Indoor Environment of a Lunchroom in a Child Care Center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8 no.5, 2012년, pp.415 - 423  

김중범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보건연구부) ,  김종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evaluate antibiotic resistance and analyze the multiple antibiotic resistance of food-borne pathogens isolated from indoor air and an air cleaner at a lunch room in a child care center. Methods: An antibiotic test of food-borne pathogens, including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급식실 내 설치된 공기청정기의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고 급식실 실내 공기와 공기청정기에서 분리된 식중독 미생물의 항생제 내성 패턴을 분석하여 집단식중독 발생 시 초기 치료에 필요한 정확한 항생제 내성 정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Oxacillin resistance means methicillin resistanc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중독 발생 초기 원인균을 사멸시켜 치료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항생제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5,6) 항생제는 식중독 발생 초기 원인균을 사멸시켜 치료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식중독에 의한 사회적 손실을 축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7) 그러나 무분별한 항생제 사용으로 항생제 내성 미생물이 증가하고 있고8) 식중독 미생물이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획득하여 집단 식중독을 발생시킬 가능성 증대되고 있어 공중보건학적으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1) 또한, 급식시설의 주요 식중독 오염원 중 하나가 공기 등 실내 환경이라고 보고되고 있어9) 면역력이 취약한 영유아들이 보육시설 급식 환경에 오염된 식중독 미생물에 감염되어 집단 식중독이 발생할 경우 신속한 초기 치료를 위해 어린이집 급식환경에서 분리된 식중독 세균에 대한 정확한 항생제 내성 정보가 필요하다 하겠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초등학교 및 고등학교 실내 환경에서 공기 중 미생물 분리 및 특성,10,11) 유치원생을 포함한 서울 및 광주 지역 학생들의 손에서 분리된 미생물의 항생제 내성 연구,12,13) 초등학교 급식환경에서 분리된 미생물의 항생제 내성 연구7) 등에 국한되어 있고 어린이집 급식실 실내 환경에서 분리된 식중독 미생물에 관한 항생제 내성 연구는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식중독이란 무엇인가? 식중독이란 자연독, 유해 화학물질, 식중독 미생물이 함유된 식품을 섭취하여 발열, 구토, 설사, 복통의 증세를 나타내는 건강장애 상태를 지칭하며1) 국내 식중독 발생은 식품위생 및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집단 식중독 발생보고를 보면 2002년 77건, 2,939명에서 2010년 271건 7,218명으로 발생건수는 3.
원인시설별 집단 식중독 발생보고에 의하면 식중독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는 시설은 어디인가? 5%, 가정집 1.1%로 학교 집단급식소가 주요 식중독 발생장소로 보고되었고2) 학교 등 집단급식소가 식중독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im JY, Kim SR, Choe JM, Shim WB, Park SJ, Chung DH. Antibiotic resistance for isolated pathgenic bacteria from manufacturing establishment of sandwich products. J Fd Hyg safety. 2007; 22(1): 45-51. 

  2. Korea Food and Drug Adminstration. Information of Food Poison. 2012 May 16. Available at: http://e-stat.kfda.go.kr. 

  3. Central Childcare Information Center. Statistics on Child Care Service. 2012 May 16. Available at: http://central.childcare.go.kr. 

  4. Jang ML, Kim YB. A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s of kindergarten meals program. J Kor Soc Early Childhood Education. 2003; 23(3): 261-284. 

  5. Kim JM, Kim JS, Jung HC, Kim NY, Song SS. Antibiotic resistance of Helicobacter pylori isolated from Korean patients in 2003. Korean J Gastroenterol. 2004; 44(3): 126-135. 

  6. Song JH. Mechanisms of antimicrobial resistance.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1998; 24(1): 20- 25. 

  7. Ha KS, Park SJ, Shim WB, Chung DH. Screening of MRSA (methicilline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seb gene in producing strains isolated from food service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s. J Fd Hyg safety. 2003; 18(2): 79-86. 

  8. Park SG, Park SK, Jung JH, Jin YH.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diarrhea patients in Seoul from 1996 to 2001. J Fd Hyg safety. 2002; 17(2): 61-70. 

  9. Kim JG, Park JY, Kim JS. A study on the sanitary condition of kitchens in food court/cafeterias - An observation on seasonal variations. J Environ Health Sci. 2012; 38(2): 118-127. 

  10. Kim NY, Kim YR, Kim MK, Cho DW, Kim JS.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in indoor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Kor J Microb. 2007; 43(3): 193-200. 

  11. Lee AM, Kim NY, Kim SY, Kim JS.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airborne microorganisms in indoor environment of schools. Kor J Microb. 2005; 41(3): 188-194. 

  12. Lee H, Choi SM. Hand washing awareness among students in Seoul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on their hands. J Env Hlth Sci. 2009; 35(4): 278-286. 

  13. Chung JK, Kim MJ, Kee YH, Choi MH, Seo JJ, Kim SH, Park JT, Kim MG, Kim ES. Prevalence of food poisoning bacteria on hands in various age groups. J Fd Hyg safety. 2008; 23(1): 40-50. 

  1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Code of Korea. Seoul Korea: KFDA, 2005. 

  15. Kim JB, Park YB, Kim KC, Kim DH, Kang SH, Lim YS, Park PH, Yoon MH, Lee JB. Evaluation and reduc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s of spoon and spoon case carried by nursery school childr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1; 40(1): 116-122. 

  16. Kim JB, Hur ES, Kang SH, Kim DH, Do YS, Park PH, Park YB, Yoon MH, Lee JB. Prevalence of microbiological hazard on nursery school children's hands and effect of hand washing education. J Fd Hyg safety. 2012; 27(1): 30-36. 

  17.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15th informational supplement, M100-S15. 2005. 

  18. Kim JG, A survey on the sanitation condition of kitchens and facilities of a school food-serviece program. Kor J Environ Health. 2003; 29(1): 87-93. 

  19. Na KH, Son JS, Sung KJ, Jang YK. Comparative efficiency evaluation of air cleaners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005; 14(3): 109-115. 

  20. Hwang KH, Lee AM, Shin HJ, Kim JS. Seasonal monitoring of microbial concentrations in kindergartens. Kor J Microb. 2003; 39(4): 253-259. 

  21. Chang MW, Chang TH, Park ID, Kim KH. Antibiotic susceptibility to isolated bacteria and fungi from the indoor-air. Kor J life Sci. 1998; 8(5): 537- 549. 

  22. Kim JB, Kim JM, Kim SY, Kim JH, Park YB, Choi NJ, Oh DH. Comparison of enterotoxin production and phenotypic characteristics between emetic and enterotoxic Bacillus cereus. 2010; J Food Prot. 73(7): 1219-1224. 

  23. Kim SR, Lee JY, Lee SH, Ryu KY, Park KH, Kim BS, Yoon YH, Shim WB, Kim KY, Ha SD, Yun JC, Chung DH. Profiles of toxin gene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perilla leaf and cultivation area. Kor J Food Sci Technol. 2011; 43(2): 134-141. 

  24. Ham HJ, Kim MS. Bacillus spp. and B. cereus isolated in dried maine products. J Fd Hyg safety. 2006; 21(3): 159-163 

  25. Park YB, Kim JB, Shin SW, Kim JC, Cho SH, Lee BK. Ahn JH, Kim JM, Oh DH. Prevalence, genetic diversity,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Bacillus cereus strains isolated from rice and cereals collected in Korea. J Food Prot. 2009; 72(3): 612-617. 

  26. Kim JB, Kim JM, Cho SH, Oh HS, Choi NJ, Oh DH. Toxin genes profiles and toxin production ability of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clinical and food samples. J Food Sci. 2011; 76(1): T25-29. 

  27. Kim JB, Park JS, Kim MS, Hong SC, Park JH, Oh DH. Genetic diversity of emetic toxin producing Bacillus cereus Korean strains. Int J Food Microbiol. 2011; 150(1): 66-72. 

  28. Weber T, Marahiel MA. Exploring the domain structure of modular nonribosomal peptide synthetases. Structure. 2001; 9(1): R3-R9. 

  29. Kim MN, Pai CH, Woo JH, Ryu JS, Hiranatsu K. Vancomycin intermediate Staphylococcus aureus in Korea. J Clin Microbiol. 2000; 38(10): 3897-3881. 

  30. Woodford N, Waner M, Aucken HM. Vamcomycin resistance among epidemic strains of methicillin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in England and wales. J Antimicrob chemother. 2000; 45(2): 258- 259. 

  31. Nakamura MM, Rohiling KL, Shashaty M, Lu H, Tang YW, Edwards KM. Prevalence of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nasal carriage in the community pediatric population. Pediatr Infect Dis. 2002; 21(10): 917-922. 

  32. Kim JS, Kim JH, Choi JM, Ha SD, Kim KS, Lee KH, Kim MG, Kim KY, Chung DH. Characteristics of enterotoxigenic gene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tomato farms in wastern Gyeongnam. Kor J Food Sci Technol. 2006; 38(2): 295-303. 

  33. Suzki E, Hiranatsu K, Yokota T. Suvey of methicillin- resistance clinical strains of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i for mec A gene distribution. Antimicrob Agent Chemother. 1992; 36: 429-453. 

  34. Styers D, Sheehan DJ, Hogan P, Sahm DF. Laboratory- based surveillance of current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and trends among Staphylococcus aureus: 2005 status in the United States. Am Clin Microbiol Antimicrob. 2006; 5(2): 1-9. 

  35. Kim JB, Jeong HR, Park YB, Kim JM, Oh DH. Food poisoning associated with emetic-type of Bacillus cereus in Korea. Foodborne Pathog Dis. 2010; 7(5): 555-5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