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춤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문화예술정책 연구
Culture and Art Policies of Korean government for Traditional Dancing Digital Cont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9, 2012년, pp.156 - 171  

김지원 (단국대학교 행정학과) ,  류지성 (단국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세계적으로 한류 붐이 일면서 한국문화가 세계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데 이로 인해 생겨난 부가가치는 측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크다. 이에 따라 한국 전통춤의 원형을 보존하는 일과 디지털 콘텐츠화 작업은 정부만의 일에 그치지 않고 막대한 부가가치 가능성 때문에 문화산업측면에서 민간 부문이 관심을 크게 기울이고 있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개발이 시급하기는 하나 한국 전통 춤의 원형의 가치를 확립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대중은 문화적 가치를 재발견하는데 있어서 적극적 역할을 해야 하며 한국인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전통 춤은 체계적인 예술정책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전통춤 디지털 콘텐츠 개발의 실태를 점검해보고자 한다. 또한 문화원형을 보존하는 것이 지닌 현대적 가치를 재조명해봄으로써 가까운 미래의 문화예술정책의 방향에 관해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를 통해 전통춤의 원형에 관한 전문 인력이 부족한 점과, 역사적 고증 절차의 신뢰성을 점검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했다. 산학협력단의 협동과제와 전문 인력 배치에도 불구하고 민간 기업이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즉 인력 양성과 자원 배분, 예산 확보, 민간 분야와 개인의 협력 증진, 민간 기업의 산업적 차원에서의 관심은 부족하다. 이는 문화 원형이 즉각 수입을 창출해주는 비즈니스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즈니스 지향적인 회사가 전통춤을 불가피한 요소로 인식하는 경우도 없으며 그러한 시도도 아직 없다. 이를 위해서는 콘텐츠 개발이라는 하드웨어적인 정량적 정책보다 대중의 소통과 참여와 나눔을 통해 문화수요를 촉진하는 소프트웨어적 정책이 우선 추진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전통춤의 가치에 대한 자연스런 인식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정책을 통해 전통춤은 문화의 창조적 보고로서, 또한 경제적 가치를 만들어내는 공공산업으로 새롭게 인식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the time of the Korean Wave booming throughout the world, placing Korean culture in the center of the world and its added value is unaccountable. At this prosperity, the preserving of the archetype of Korean dancing and digital contents making is becoming a task not only for the government bu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화원형은 무엇인가? 문화원형은 전통문화 가운데 그 민족 또는 그 지역의 특징을 잘 담고 있어서 다른 지역, 다른 민족과 구별되며, 아울러 여러 가지로 갈라진 현재형의 본디모습에 해당되는 문화를 말한다[10]. 문화콘텐츠산업에서 문화 원형이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계기는 2002년 시작된 한국콘텐츠진흥원의 문화원형 관련 사업이다.
문화예술정책의 기본 요소는 무엇인가? 문화예술정책의 기본 요소는 문화 인프라 구축, 예술인 육성, 문화소비자 지원 등이다. 이들 요소는 상호 우열을 가릴 수 없을 만큼 문화예술진흥 단계에서 모두 중요하다.
전통문화예술을 보호할 필요성이 제기된 이유는 무엇인가? 한국의 전통문화 예술의 기반은 개화기 이후 신문물이 범람하면서 흔들리게 되었고 한국의 문화 정체성 역시 위기에 놓였다. 이에 따라 전통문화예술을 보호할 필요성이 강력히 제기되기 시작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Easton, David, Systems Analysis of Political Life, New York: Wiley, p.358, 1953. 

  2. 노시평, 박희서, 박영미, 정책학, 서울:학현사, pp.3-4, 1999. 

  3. 샤르칸스키(Sharkanskym) Ira, Public Adminstration: Policy-Making In Government Agencies, 3rd ed., Chicago: Rand McNally Co, 1975. 

  4. 안선국, 한국의 전통공연예술 정책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2-13, 2004. 

  5. 임희섭, "한국사회의 발전과 문화", 전환기시대의 문화와 문화변동, pp.37-38, 1987. 

  6. 서종대, 한국전통문화의 형성과 특징에 관한 연구 - 60년대 이후 무형문화재 마당종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8, 1994. 

  7. 김정수, "국제화.세계화 시대의 한국행정의 진로", 한국행정연구원, p.45, 1995. 

  8. 이용학, 무형문화재 전승.보존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0, 1999. 

  9. 김교빈, "문화원형의 개념과 활용", 인문콘텐츠 제6호, 인문콘텐츠학회, p.11, 2005. 

  10. 안지영,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사업을 중심으로 본 무용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2, 2008. 

  11. 배수율, 디지털 무용콘텐츠에 대한 가치 인식 조사와 발전 방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8, 2006. 

  12. 정민, 조성문, 이인호, 최형욱, "한.중 전통문화 관련 디지털 인문콘텐츠 실태 비교 및 수준 향상 방안 연구", 한국학 논집, 제36집, p.153, 2002. 

  13. 김기헌, 문화원형 디지털 콘텐츠화 사업의 발전 방향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12, 2010. 

  14. 이헌숙, 문화예술 정책이 경제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p.17, 2012. 

  15. 최재승, 문화를 읽는다, 미래를 본다: 21세기 한국문화정책의 방향 모색, 서울:나무와 숲, pp.77-81, 2011. 

  16. 임학순, "한국 문화정책 연구 경향 분석(1998-2007)", 문화정책논총, 제21집, pp.99-104, 2009. 

  17. 김정연, 김재웅, "한국 애니메이션에 있어 문화 정책의 영향과 그 변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12, pp.55-65, 2007. 

  18. 김기헌, 문화원형 디지털 콘텐츠화 사업의 발전 방향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98, 2002. 

  19. 롤런드 로버트슨, 세계지역화: 시간, 공간과 동질성, 이질성, 윤민재 편저, 근대성 탈근대성 그리고 세계화, p.73, 2000. 

  20. 김재영, "원형이론의 이해: 칼 융과 그 이후 의논리를 중심으로", 인문학 콘텐츠 워크샵 자료, pp.2-16, 2005. 

  21. 김진영, "문화콘텐츠 신전략과 개발모형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14, 2011. 

  22. 경기문화재단, 경기 북부형 커뮤니티아트 모델 네트워크화 최종보고서, p.75, 2009. 

  23. 한국도시지리학회, "지방도시 경쟁력 창출을 위한 커뮤니티 활성화 사업방안 연구", 2008, 오세형, 커뮤니티 아트의 유형과 사례연구, 성공회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5, 2011. 재인용. 

  24. 노수정, 커뮤니티 아트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7, 2009. 

  25. 김진영, "문화콘텐츠 신전략과 개발모형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22, 2011. 

  26. 이성호, 김말애, "체육공원내의 야외공연장 건립에 관한 법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 p.212, 2012. 

  27. 전범수, "문화예술 취향 레퍼토리 구조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6, pp.201-210,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