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섬초롱(Campanula takesimana Nakai)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Campanula takesimana Nakai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0, 2012년, pp.1331 - 1337  

김미선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경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육홍선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섬초롱(Campanula takesimana Nakai)의 생리효능을 체계적으로 밝히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in vitro 에서 80% 에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에 대하여 항산화 효과를 검증하였다. 섬초롱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35.18%였으며, 이에 대하여 용매별로 분획한 수율은 water 분획물이 74.53%로 가장 높았으며, n-butanol, n-hexane, ethyl acetate, chloroform 순이었다. 섬초롱 추출물 및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276.26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섬초롱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IC_{50}$ 값이 0.13 mg/mL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0.5 mg/mL 농도에서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98% 이상의 활성을 보였으며, 이는 항산화 대조군인 ascorbic acid의 활성과 비교 시 높은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원력은 분획물 모두 1 mg/mL 농도에서 ethyl acetate 분획물이 유의적으로 높은 흡광도 수치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1 mg/mL의 농도로 측정한 결과, 섬초롱은 n-butanol 분획물 70.56%, ethyl acetate 분획물 62.27%로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5 mg/mL의 농도에서 n-butanol 분획물 34.77%, ethyl acetate 분획물 30.85%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섬초롱의 추출물 및 분획물 중 ethyl acetate와 n-butanol 분획물의 경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천연물소재로서 식품 첨가물 및 화장품 원료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nalyzed the total polyphenolic cont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reducing power levels, SOD-like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of fractions from Campanula takesimana Nakai extract. Total polyphenolic content of the ethyl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채류 가운데 섬초롱의 생리 효능을 체계적으로 밝히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in vitro에서 80% 에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에 대하여 항산화 효과를 검증하고 천연물소재로서 기능성 식품, 화장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섬초롱(Campanula takesimana Nakai)의 생리효능을 체계적으로 밝히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in vitro에서 80% 에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에 대하여 항산화 효과를 검증하였다. 섬초롱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35.

가설 설정

  • 1)Amount required for 50% reduction of hydrogen donating activity.
  • 2)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within a same column (a-f) differ significant (p<0.05).
  • 3)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within a same column (a-f) differ significant (p<0.05).
  • 3)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within a same column (a-g) differ significa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초롱은 무엇인가? 일부 잘 알려지지 않은 산채류들은 소규모의 5일장이나 시골의 매일장에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 산채류들 중의 하나인 섬초롱(Campanula takesimana Nakai)은 우리나라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숙근초로서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널리 자생하는 초롱꽃에 비해 털이 적고 전체적으로 소형이며, 연한 자주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23). 섬초롱은 다화성으로 개화기간이 길고 화형이 아름답기 때문에 절화 및 분화용으로 개발가치가 높음에 따라 화훼화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24,25).
섬초롱은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널리 자생하는 초롱꽃에 비해 어떤 특징이 있는가? 일부 잘 알려지지 않은 산채류들은 소규모의 5일장이나 시골의 매일장에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 산채류들 중의 하나인 섬초롱(Campanula takesimana Nakai)은 우리나라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숙근초로서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널리 자생하는 초롱꽃에 비해 털이 적고 전체적으로 소형이며, 연한 자주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23). 섬초롱은 다화성으로 개화기간이 길고 화형이 아름답기 때문에 절화 및 분화용으로 개발가치가 높음에 따라 화훼화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24,25).
산채류 중 하나인 섬초롱꽃은 화훼 외에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섬초롱은 다화성으로 개화기간이 길고 화형이 아름답기 때문에 절화 및 분화용으로 개발가치가 높음에 따라 화훼화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24,25). 섬초롱꽃은 화훼 외에 한방과 민간에서는 뿌리를 천식, 보익, 경풍, 한열, 편도선염, 인후염 등의 치료약재로도 사용하며(23), 어린 순과 잎은 나물용 및 쌈용으로 이용된다(26). 그러나 섬초롱의 재배학적인 면에 관한 연구는 일부 수행되어 있으나, 생리학적 기능이나 활성성분에 대한 연구들은 전무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Goldberg I. 1994. Functional Foods. Chapman & Hall Press, New York, NY, USA. p 3-550. 

  2. Sadaki O. 1996.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and materials. Bioindustry 13: 44-50. 

  3. Frdorich I. 1978. The biology of oxygen radicals. Science 201: 875-881. 

  4. Branen AL. 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ne. J Am Oil Chem Soc 52: 59-65. 

  5. Farag RS, Badei AZMA, EI Baroty GSA. 1989. Influence of thyme and clove essential oils in cottonseed oil oxidation. J Am Oil Chem Soc 66: 800-804. 

  6. Park SN. 1997. Skin aging and antioxidants. J Soc Cos Chem Kor 23: 75-132. 

  7. Heo SI, Wang MH.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effect of extracts from Taraxacum mongolicum H. Kor J Pharmacogn 39: 255-259. 

  8. Lee YM, Lee JJ, Lee MY. 2008. Antioxidative effect of Pimpinella brachycarpa ethanol extract. J Life Sci 18: 467-473. 

  9. Atouia AK, Mansouria A, Boskoub G, Kefalas P. 2005. Tea and herbal infusions: Their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propolis. Food Chem 89: 27-36. 

  10. Elzaawely AA, Xuan TD, Tawata S. 2005.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Rumex japonicus HOUTT. aerial parts. Biol Pharm Bull 28: 2225-2230. 

  11. Joung YM, Park SJ, Lee KY, Lee JY, Suh JK, Hwang SY, Park KE, Kang MH. 2007.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ilium species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aerial par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452-457. 

  12. Chang SS, Ostric-Matijasevic B, Hsieh OAL, Huang CL. 1977. Natural antioxidants from rosemary and sage. J Food Sci 42: 1102-1106. 

  13. Jeong SJ, Lee JH, Song NH, Seong SN, Lee SE, Baeg NI. 2004. Natural products organic chemistry;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35-140. 

  14. Kim EJ, Ahn MS. 1993. Antioxidative effect of ginger extracts. Korean J Soc Food Sci 9: 37-42. 

  1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99. Wild vegetables cultivation (Standard farming handbook-60). Suwon, Korea. p 110-111. 

  16. Lim SJ, Park NJ. 199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ew recipes of 5-Korean wild vegetables. Korean J Soc Food Sci 10: 412-419. 

  17. Hendrich S, Lee KW, Xu X, Wang HJ, Murphy PA. 1994. Defining food components as new nutritions. J Nutr 124: 1789S-1792S. 

  18. Ueda S, Kuwabara Y, Hirai N, Sasaki H, Sugahara T. 1991. Antimutagenic capacities of different kinds of vegetables and mushrooms. Nihon Shokubin Kogyoo Cakkaishi 38: 507-514. 

  19. Hwang BH, Zhao JL, Choi KP, Jung SW, Kim EJ, Ham SS. 1996. The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 of Taxus cuspidat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1062-1068. 

  20. Jhee OH, Yang CB. 1996.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 from Bangah herb.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157-1163. 

  21. Lee BW, Shin DH. 1991. Screening of natural antimicrobial plant extract on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00-204. 

  22. Ham SS, Lee SY, Oh DW, Jung SW, Kim SH, Chung CK, Kang IJ. 1998. Antimutagenic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Ligularia fischeri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745-750. 

  23. Kim TG. 1996. Campanula punctata Lamarck. In Korean resources plants. Seoul national Univ. Press, Seoul, Korea. p 186-188. 

  24. Choi NH, Kim GH, Jeong BR. 2006. Effect of $CO_{2}$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photosynthetic photon flux on the photoautotrophic growth of Cmapanula punctata Lam. var. rubriflora Mak. and Campanula takesimana Nakai in vitro. Flower Res J 14: 283-288. 

  25. Kim WS, Yang HK, Lee DW, Lee JS. 1996. Floral morphology, seed germination, and photosynthesis of Campanula takesimana Nakai native to Korea. J Kor Soc Hort Sci 37: 704-707. 

  26. Heo BG, Yu SY, Kim BW, Yang SY, Cho JY, Chon SU, Jang HG, Kim HJ, Park YJ. 2006. Comparative study on the edible wild plants in the literature and traditional markets. J Kor Soc Plants People Environ 8: 30-45. 

  27. Folin O, Denis W. 1912. On pho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 Chem 12: 239-249. 

  28.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9. Pellegrin N, Ke R, Yang M, Rice-Evans C. 1999.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3-ethylenbenzothiazoline- 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s Enzymol 299: 379-389. 

  30.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e amine. Jpn J Nutr 44: 307-315. 

  31.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32. Yagi A, Kanbara T, Morinobu N. 1986.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Plant Medica 52:517-519. 

  33. Lee YM, Lee JJ, Lee MY. 2008. Antioxidative effect of Pimpinella brachycarpa ethanol extract. J Life Sci 18: 467-473. 

  34. Lee SH, Jin YS, Heo SH, Shim TH, Sa JH, Choi DS, Wang MH. 2006. Composition analysis and antioxidative activity from different organs of Cirsium setidens Nakai.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71-576. 

  35. Lee SO, Lee HJ, Yu MH, Im HG,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36. Lee KS, Kim MG, Lee KY.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orm lotus (Nelumbo nucifer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82-185. 

  37. Lee JJ, Ha JO, Lee ML. 2007. Antioxidative activity of lotus root (Nelumbo nucifera G.) extracts. J Life Sci 17: 1237-1243. 

  38. Choi BB, Lee HJ, Bang SK. 2004. Studies on the amino acid, sugar analysi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extracts from artemisia sp.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86-91. 

  39. Kim MJ, Kim JS, Cho MA, Kang WH, Jeong DM, Ham SS. 2002. Biological activity of Ixeris dentata Nakai juic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924-930. 

  40. Jang MJ, Woo MH, Kim YH, Jun DY, Rhee SJ. 2005. Effects of antioxidativ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thrombogenic by the extract of sancho (Zanthoxylum schinifolium). Korean J Nutr 38: 386-394. 

  41. Lee HK, Kim JS, Kim NY, Park SU, Kim MJ, Yu CY. 2003. Antioxidant,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KITAMARU.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 53-61. 

  42. Kim JG, Kang YM, Eum GS, Ko YM, Kim TY. 2003.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Akebia quinate Decaisn, Scirusfluviatilis A. Gray, Gardenia jasminoides for. grandiflora Makino). J Agric Life Sci 37: 69-75. 

  43. Seo YH, Kim IJ, Yie AS, Min HK. 1999.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tocopherols and carotenoids in waxy corn (Zea mays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581-585. 

  44. Choi SS, Yim DS, Lee SY. 2009.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damage to DNA of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with known osteoprotective effects. Kor J Pharmacogn 40: 143-149. 

  45. Kim MS, Kim KH, Jo JE, Choi JJ, Kim YJ, Kim JH, Jang SA, Yook HS. 2011.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7-55. 

  46. Lee BB, Park SR, Han CS, Han DY, Park EJ, Park HR, Lee SC.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 ${\alpha}$ -amylase and ${\alpha}$ -glucosidase of Viola mandshuric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05-409. 

  47. Lim JD, Yu CY, Kim MJ, Yun SJ, Lee SJ, Kim NY, Chung IM. 2004. Comparison of SOD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 contents in various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191-202. 

  48. An BJ, Lee JT. 2002.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from extract of Crataegi Fructus. Kor J Herbology 17: 29-38. 

  49. Choi BW, Kee BH, Kang KJ, Lee ES, Lee NH. 1998. Screening of the tyrosinase inhibitors from marine algae and medicinal plants. Kor J Pharmacogn 29: 237-242. 

  50. Park YH, Chang SK. 1997. Screening of inhibitory effect of edible mushrooms on tyrosinase and isolation of active component. J Fd Hyg Safety 12: 195-199. 

  51. Lee YS. 2007.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Ailanthus altissim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89-394. 

  52. Lee YS, Joo EY, Kim NW. 2006. Polyphenol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Lespedeza bicolor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3: 616-6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