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식모형을 활용한 어린이 식생활 교육 매체 개발
Development of Food Replicas as Dietary Education Materials for Children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7 no.5, 2012년, pp.434 - 444  

홍경희 (배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김순미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엄민영 (한국식품연구원 대사기능연구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hildren-friendly education materials based on food replicas for the dietary education of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n current dietary problems and dietary education for children, five education themes were chosen: balanc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육 매체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인지적 발달 단계에 적합하고 학습자의 자발적인 수업 참여를 위한 교육매체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흥미 유발 및 동기 부여를 위하여 파워포인트를 사용한 교육용 슬라이드와 교육 주제별로 관련된 식생활 교육용 노래 파일을 합하여 개발하였다.
  • 교육 시 각 주제에 해당하는 식품 및 음식을 제작된 음식 모형에서 찾아 익히는 것에 중점을 두어 실물을 보는 것과 같은 흥미를 주고 집중력과 기억력의 향상을 통해 학습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어린이들에게 알맞은 섭취 분량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어린이가 재미있고 쉽게 접근하여 올바른 식생활 지식, 태도,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음식의 실물과 형태가 같은 맞춤식 식생활 교육용 음식모형을 개발하고, 개발된 음식모형을 활용한 식생활 교육매체를 개발하여 향후 학교 뿐 아니라 기업의 식생활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 흥미 유발 및 동기 부여를 위하여 파워포인트를 사용한 교육용 슬라이드와 교육 주제별로 관련된 식생활 교육용 노래 파일을 합하여 개발하였다. 또한 교사용 학습지도안을 개발하여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교육용 슬라이드와 학습지도안은 균형식 주제 45분, 그 외 주제는 35분에 교육할 수 있는 분량으로 구성하였다.
  • 물레방아 모형으로 곡류, 어육콩류, 채소류, 과일류, 우유류, 유지 및 당류의 6가지 기초식품군에 해당하는 식품들의 종류를 구분하고, 실제 크기로 개발된 음식모형을 통하여 식품군별로 하루에 먹어야 하는 분량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물레방아 게임을 통해 교육 중 어린이의 일상 식사에서 부족한 식품군을 찾아 균형된 식생활을 할 수 있도록 권장하였고, 각 식품군의 기능에 대해 습득하도록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음식문화의 특징 중 하나인 향토음식의 의미에 대해 설명하고, 지역별 향토음식의 특징과 향토 면류의 종류에 대해 서울,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제주도, 평안도, 함경도 별로 익히도록 함으로써 우리 식문화의 우수성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및 외국 (한국, 중국, 일본, 태국, 베트남, 이탈리아)의 음식문화를 면류를 중심으로 그 특징과 종류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우리의 음식문화를 외국과 비교해 보고, 각 국의 음식문화의 차이를 인식하도록 하였다. 제작된 면류문화 교육용 슬라이드의 일부분을 [Figure 3]에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음식모형 제작용으로 선정된 304종의 대표 음식에 대하여 각각에 대해 1인 1회 분량 및 음식재료 및 기준량에 관한 자료를 근거로 하여 모형의 분량 및 표준 레시피를 개발하고, 음식모형 제작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였다. 데이터베이스 구성 항목은 식품명, 사진, 분량(g 또는 mL, 단위), 재료 및 레시피, 코드, 기존 모형 개발 여부 등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아동들이 바른 식생활을 행태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표준재료 및 양을 고려하여 음식의 실물과 형태가 같은 맞춤식 교육용 음식모형 교육 매체를 개발하고, 개발된 음식모형을 활용한 식생활 교육매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우리나라 전통음식의 근간을 이루는 향토음식을 이해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고유한 문화 자산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음식문화의 특징 중 하나인 향토음식의 의미에 대해 설명하고, 지역별 향토음식의 특징과 향토 면류의 종류에 대해 서울,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제주도, 평안도, 함경도 별로 익히도록 함으로써 우리 식문화의 우수성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및 외국 (한국, 중국, 일본, 태국, 베트남, 이탈리아)의 음식문화를 면류를 중심으로 그 특징과 종류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우리의 음식문화를 외국과 비교해 보고, 각 국의 음식문화의 차이를 인식하도록 하였다.
  • 이에 전통음식 교육에서는 우리나라 전통음식의 종류와 중요성에 대해 익히도록 하였다. 한식의 우수성과 우리나라 밥상의 주식과 부식에 대해 설명하고, 초등학교 교과서에는 소개되고 있지 않은 세시음식의 종류와 의미에 대해 설, 정월대보름, 삼짇날, 단오, 칠석, 삼복, 추석, 동지, 그믐으로 나누어 학습하도록 하였다.
  • 이에 제철식품의 개념 및 제철식품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알도록 하고,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 별 제철식품에 해당하는 식품들의 종류에 대해 습득하도록 하였으며, 제철식품을 먹는 것이 건강에 유익함을 익히도록 하였다. 제철 식품 교육용 학습지도안을 [Figure 2]에 제시하였다.
  • 교육 주제별로 분석된 대표음식 중 음식모형을 제작할 대표음식을 선정하였다. 최소의 모형으로 다양한 주제의 교육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300 여개의 음식모형 제작을 목표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식 모형을 식생활 교육에 사용하면 어떤 장점이 있는가? 가장 정확한 식생활 및 영양 섭취 평가를 위해서는 실제로 섭취하는 음식 실물의 종류와 양을 계측하는 방법이 필요하나, 현실적으로 준비와 관리에 큰 어려움이 있으므로 식생활 교육에 이를 사용하기에는 어려움과 한계가 있다. 따라서 실물과 형태가 같은 매체인 음식 모형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음식 모형은 교육 대상자들이 직접 만져 보면서 크기나 색상, 모양 등을 실제로 인식하여 구체적인 경험을 얻을 수 있고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초월하여 반영구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 등 장점이 많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인 식생활 교육 매체가 될 수 있다.
우리나라 아동에게 발생하는 성장장애와 소아비만의 문제는 무엇이 원인인가? 실제로 식생활교육의 효과는 아동들의 식품선택에 영향을 주며(Lee 등 2000),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대한 자각 증상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는(Kwon 등 2010) 연구결과들을 통해 식생활교육이 아동에게 많은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아동들의 경우, 아침결식, 과식, 편식, 지나친 간식 등의 잘못된 식습관으로 성장장애와 소아비만의 문제가 공존하여 나타나고 있어(Kim 2001) 이 시기에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도록 격려함으로써 건강하게 성인으로 옮겨갈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식생활 교육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현재 식생활교육에 주로 사용하는 간접적인 매체들은 어떤 단점이 있는가? 교육대상자에 맞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식생활교육, 그리고 항시 이용할 수 있는 식생활교육용 매체의 개발 및 보급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 식생활 교육 시 주로 사용하는 매체는 식사지침 유인물이나 식품의 그림 자료, 사진자료, 식품 카드 등의 인쇄매체, 혹은 영상자료 등으로 이들 간접적인 매체를 활용해서는 섭취한 음식의 종류와 양을 정확하게 계측하는 과정에 어려움이 있어,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식생활 교육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가장 정확한 식생활 및 영양 섭취 평가를 위해서는 실제로 섭취하는 음식 실물의 종류와 양을 계측하는 방법이 필요하나, 현실적으로 준비와 관리에 큰 어려움이 있으므로 식생활 교육에 이를 사용하기에는 어려움과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기획재정부, 교육과학기술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수산식품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여성가족부, 농촌진흥청. 2010. 식생활교육기본계획 

  2. 농림수산식품부. 2010. 한국형 녹색식생활지침. 

  3. 농촌진흥청,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9. 소비자가 알기쉬운 식품영양가표. 교문사. 경기도 

  4. 농촌진흥청,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10. 우리아이영양길잡이. 교문사. 경기도 

  5. 농촌진흥청. 2010. 전통향토음식 용어사전. 교문사. 경기도 

  6. 보건복지부. 2005. 국민건강영양조시 제 3기 보고서 

  7. 보건복지부. 2006.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8. 보건복지부. 2008.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 보고서 

  9. 보건복지가족부. 2009.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지침 

  10. 식품의약품안전청. 2009. 계절별 영유아, 어린이, 청소년의 식품 섭취량 조사 

  11. 식품의약품안전청. 2009. 외식 등의 영양성분 DB구축 및 영양표시 활성화 연구 

  12. (주)농심. 2009. 맛있는 라면 건강하게 먹어요. (주)농심 R&BD 영양조리팀. 서울. pp 6-7 

  13. (주)농심. 2010. 맛있는 누들 건강하게 먹어요. (주)농심 R&BD 영양조리팀. 서울. pp 10-11 

  14. 한국영양학회. 1998. 음식영양소 함량 자료집. 서울 

  15. 황순녀. 2008. 학교 영양교육 내용체계 구성론. 한국학술정보. 경기도. pp 59-148 

  16. Baek SH. 2008. Do Obese Children Exhibit Distinguishable Behaviours from Normal Weight Children?-Based on Literature Review.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3):386-395 

  17. Beak YM, Jung SJ, Beak HI, Cha YS. 2007. A study on eating out and snack intak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Jeonbuk province. Korean J. of Human Ecology, 10(2):77-87 

  18. Cha JA, Yang IS, Lee SJ, Chung L. 2007. Effect-valu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program for the elementary schoolers. Korean J. Food Culture, 22(4):383- 392 

  19. Cho EA, Lee SK, Heo GJ. 2010. Snack Consumption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iheung-si. Korean J Community Nutr, 15(2):169-179 

  20. Chung HJ. 2009. A Study on the Children's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 - focused on staple food and side dishes - Korean J. Food Culture, 24(6):631-640 

  21. Gang MS, Chyun JH. 2006.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the knowledge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 i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Incheon. Korean J. Dietary Culture, 21(2):107-115 

  22. Hong 2002. Hong JK. A Study on the professional guidance and counseling for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J Elem. Educ., 15(1):1-20 

  23. Kang SA, Lee JW, Kim KE, Koo JO, Park DY. 2004. A Study of the Frequency of Food Purchase for Snacking and Its Related Ecological Factor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9(4):453-463 

  24. Kim EK. 2001. Eating behaviors and nutrition related problems in Korean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6(5):905- 920 

  25. Kim JW. 2005. Analysis of food and dietary education in the 7th primary school curriculum as a science and technollgy for life. J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8(1):129-144 

  26. Kim K. 2006, Educa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healthful food selection. Korean J Community Nutr, 11(6):843-852 

  27. Kim MH, Lee KA. 2003. A Comparison of the Perceptions of Children and Their Mothers of the Effects of School Lunch Programs on Children's Dietary Behavio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4):636-644 

  28. Ku BJ, Lee KA. 2000. A study on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knowledg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nutritional education. Korean J. Dietary Culture, 15(3):201-203 

  29. Kwon SH, Min YH, Lee KH, Hong JY, Bae SS. 2001. Developoment of a food replica information system and its applications ot community. Korean J.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11(1):37-61 

  30. Kwon SJ, Sung SJ, Ly SY. 2010. The interrelations among nutrition education, satisfaction with school lunch, school lunch leftovers and self-rated mental or pysical health -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Daejeon area - Korean J Community Nutr, 15(1):94-107 

  31. Lee YJ, Kim GM, Chang KJ. 2000. The analysis of effect an nutri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chon.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6(2):86-96 

  32. Lee WY. 2008. A study on the nutritional knowledge, eating attitude, fast food in Chunan area. Masters degree thesis. Choongnam University 

  33. Nasco. 1999. Nasco Teaching Aids: Featuring Life/form Food Replicas, Nasco . Fort Atkinson 

  34. Yoon SJ, Kim HS. 2010. Meal practice and perceptions of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25(5):558-567 

  35. Zoumas-Morse C, Rock CL, Sobo EJ, Neuhouser ML. 2001. Children's patterns of macronutrient intake and associations with restaurant and home eating. J. Am. Dietetic Assoc., 101:923-925 

  36. 키디키즈. http://kids_nutri.khidi.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