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차 하중 작용 시 블록식 보강토 옹벽으로 지지된 철도 노반의 거동
Behavior Characteristics of Railway Roadbed Retained by Geosynthetic Reinforced Segmental Wall Under Train Load 원문보기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15 no.5 = no.72, 2012년, pp.467 - 475  

이성혁 (High speed Railway Research Division,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  최찬용 (High speed Railway Research Division,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  이진욱 (High speed Railway Research Division,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오그리드에 의해 부분 보강 및 전면 보강된 2가지 타입의 블록식 보강토 옹벽으로 지지된 철도노반의 열차하중 전달 메카니즘을 조사하기 위해 정 동적 열차하중 재하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노반은 높이 2.6m, 폭 5m, 뒷 길이 6m로 구축하였으며, 소정의 위치에 토압계, 변위계 및 변형율계를 설치하였다. 실험결과, 2가지 타입의 블록식 보강토 옹벽으로 지지된 철도노반에서의 벽체 변위 양상 및 보강 정도에 따른 연직 토압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동적 열차하중 재하시 벽체 상부에서 변형율이 감소하는 현상을 볼 수 있었으며, 열차하중 재하에 의한 잔류 변형율 및 변형율 증분은 현행 설계기준에 비해 매우 작은 값을 보이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atic and dynamic train load tes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train load transfer mechanism in the roadbed which was retained by two types (fully and partially) of segmental retaining walls reinforced by geogrid. The test roadbed was 2.6m high, 5m wide, and 6m long. A combination of earth pre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대형 블록식 보강토 옹벽으 로 지지된 철도 노반을 조성하여, 열차 하중 재하시 궤 도 중심을 기준으로 블록식 보강토 옹벽으로 인한 내부 변형율의 분포 특성, 전면 보강벽과 부분 보강노반의 보강재로 인한 하중 분산 특성, 장기 열차하중 재하 시의 벽체 변위 및 변형 특성 등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부분 보강과 전면 보강한 블록식 보강토옹벽으로 지지된 철도노반을 조성하고 동적 열차하중 재하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도출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흙구조물이 많은 개소에 이용된 이유는? 흙구조물은 교량이나 터널 등의 구조물에 비해 건설비가 저렴하고 재료구입이 쉬우며, 시공 및 보수의 편의성 때문에 많은 개소에 이용되어 왔다. 일반 철도에서 흙구조물의 비율은 약 94.
부분 보강과 전면 보강한 블록식 보강토옹벽으로 지지된 철도노반을 조성하고 동적 열차하중 재하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1) 정적 열차하중 재하의 영향 범위를 분석한 결과, 전면 보강노반이 부분 보강노반에 비해 열차하중의 분산폭이 크다. (2) 동적 열차하중 재하 시 상대적으로 구속압이 낮은 벽체 상부에서 철도노반 진동에 의한 흙과 보강재간의 마찰력의 감소로 인해 변형율이 감소하고 있다. (3) 블록식 보강노반의 최대 인장 변형율은 부분 보강노반이 0.3%, 전면 보강노반이 0.23%로서 현행 설계시의 한계 설계변형율 5%에 비해 매우 낮은 값을 보인다. (4) 연직토압은 깊이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보강 효과에 따른 열차하중의 분산으로 전면 보강노반이 부분 보강 노반에 비해 연직토압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5) 전면 보강노반의 경우 벽체 상부에서 보강재에 의해 벽체변위가 억제되고 있으며 벽체 중간부에서의 배부름 현상이 있으며, 부분 보강노반은 전면적인 벽체 변위를 보이고 있다.
보강토공법은 언제 처음 누구에 의해 개발되었나?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흙구조물로서 보강토공법은 1966년 H. Vidal에 의해 개발된 이래 1971년 프랑스에서 연약한 노반 성토체로 지오텍스타일이 인장보강재로서 사용되어 보강효과가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수많은 보강토 구조물이 세계적으로 시공되어 왔으나[2], 국내 철도에서는 일부 구간에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을 뿐 본격적인 채용은 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이유 중 하나로 철도는 도로와는 달리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작용하는 열차하중이 선상으로 작용하는 것과 레일, 침목, 자갈도상을 통한 하중 전달 메카니즘이 매우 복잡한 점을 들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KORAIL (2010) Facilities Work Status 2010, KORAIL, pp. 448-449. 

  2. V. Elias, R. Barry, B.R. Christopher (1997)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s and reinforced soil slopes, design & construction guidelines, FHWA Report #FHWA-SA-96-071, Washington, DC., USA. 

  3. C.S. Yoo, S.B. Kim, Y.H. Kim, D.H. Han (2007) Time-dependent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Geosynthetic Reinforced Modular Block Walls under Sustained/cyclic Loading,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23(6), pp.5-21. 

  4. C.S. Yoo (2007a) On the enhanced application of retaining walls in the railway industry, Korea Research Railway Institute. 

  5. K. Hatami, R.J. Bathurst (2006) Numerical Model for Reinforced Soil Segmental Walls under Surcharge Loading,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ASCE, pp. 673-684. 

  6. R.J. Bathurst, K. Hatami, M.C. Alfaro (2002) Geosynthetic reinforced soil walls and slopes; Sesmic asphects, In : Shukla, S.K.(Ed), Geosynthetics and Their Applications, Tohamas Telford, pp. 327-392. 

  7. F. Tatsuoka, M. Tateyama, J. Koseki (1997) Performance of reinforced soil structures during the 1995 Hyogo-ken Nambu earthquake, In Ochiai, H., Yasufuku, N., Omine, K.(Eds), Earth Reinforcement, Balkema, Rotterdam, pp. 979-1008. 

  8. M. Kenichi, I.L. Hoe, et al. (2003) Vibration test of segmental retaining wall, Geosynthetic Symposium Journal, 18, pp. 251-258. 

  9. G.F. Sowers, A.D. Robb, C.H. Mullis, A.J. Glenn (1957) The residual lateral pressures produced by compacting soils,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2, pp. 243-247. 

  10. T.W. Cousens, M. Isabel, M. Pinto (1996) The effect of compaction on model fabric reinforced brick faced earth retaining walls, Earth Reinforcement, Ochiai, Yasufuku & Omine, Balkema, 1996. 

  11. J.W. Ju, J.B. Park, H.H. Na (2011) Bulging of Reinforced Retaining Walls,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10(2), pp. 45-53. 

  12. J.M. Kim, S.D. Cho, J.J. Lee, Y.S. Paik (2004) An Experiment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Earth Pressure Distribution for Segmental Reinforced Earth Wall,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20(1), pp. 83-9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