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료 벤트/릴리프 밸브의 설계 분석
Design review of fuel vent-relief valve 원문보기

항공우주기술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v.11 no.2, 2012년, pp.109 - 116  

장제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추진제어팀) ,  길경섭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추진제어팀) ,  한상엽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추진제어팀) ,  박종호 (충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주발사체의 액체추진공급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연료 벤트/릴리프밸브는 안전밸브의 조합체로 지상에서 연료를 주입할 때와 비행 중에 추진제 탱크의 과압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벤트/릴리프밸브는 구동가스 공급에 의해 벤트밸브를 작동시키는 벤트모드와 설정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밸브를 개폐하는 릴리프모드로 작동한다. 본 논문에서는 해외발사체에 사용된(Saturn) 벤트/릴리프밸브 샘플을 이용하여 한국형발사체의 규격에 적용한 밸브 설계를 검토하였다. 또한 설계 검증 및 기본적인 작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AMESim 상용코드를 이용하여 해석 모델을 구성하였다. 밸브 모델을 이용해서 동특성 해석을 수행하여 설계 변수에 대해 밸브 개폐 작동시간, 작동성능, 개폐압력을 예상하였다. 이를 통해 연료 벤트/릴리프밸브 설계변수에 따른 작동성을 파악하여 시제품 제작 전 의 상세설계 및 설계 경계조건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vent-relief valve performs as a safety-valve assembly for liquid propellant feeding system of space launch vehicle, which relives pressurant propellant tanks during the filling and the flight. At vent mode, valve is opened and closed by driving pneumatic pressure, and at relief mode, valve is au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해외발사체에 사용된(Saturn) 벤트/릴리프밸브 샘플을 이용하여 한국형발사체에 적용한 밸브 설계를 검토하고 설계에 필요한 스프링 힘과 개방 압력을 계산하였다. 또한 설계 검증 및 기본적인 작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AMESim (Advanced Modeling Environment for Simulation of Engineering System) 상용코드를 이용하여 해석 모델을 구성하였다.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형 발사체 추진공급계 연료 벤트/릴리프밸브의 기본 설계를 검토하고 시제품 제작 전의 상세설계 방향 및 구성 파트의 설계 경계조건을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다음은 탱크압력이 1 barA에서 6 barA로 1초동안 선형적으로 증가하고, 1초 동안 6 barA를 유지하다가 다시 6 barA에서 1 barA로 감소한다고 가정하였다. 이때 릴리프모드가 작동하면 벤트밸브가 개방되었다가 다시 닫히게 되는데, 오리피스의 개수에 따라 개방 압력과 닫힘 압력을 비교하였다(그림 5).
  • 스프링의 탄성계수는 ksp = 1900 N/m이고, 벨로우즈의 탄성계수는 정확한 값이 없으므로 kbel1= 1000 N/m, kbel2= 1000 N/m로 가정하였다.
  • 유동이 없을 때 엑츄에이터의 마찰력은 매우 작으므로 무시하였고, gas dynamic force는 x=0일 때는 존재하지 않는다. 엑츄에이터 피스톤의 정지마찰력과 운동 마찰력은 유즈노이사에서 설계한 산화제벤트/릴리프밸브에서의 시험 값[5]을 이용하여 마찰면적(약 1/4로 계산됨)에 비례한다고 가정하였다. 정지마찰력 25 N, 운동마찰력 12.
  • 다음은 피스톤의 오리피스 직경에 따른 벤트 밸브의 거동을 비교하였다(표 5). 탱크압력은 전과 같은 조건으로 가정하였다. 벤트밸브의 오리피스 직경은 초기 설계와 같이 4개로 두고 직경의 크기를 0.
  • 벤트밸브의 피스톤이 상승하면 피스톤 아래의 캐비티에서 오리피스로 작동유체가 빠져나가고, 피스톤 위쪽의 캐비티의 가스는 다시 시트링(seat ring)의 홀(hole)을 통해서 밸브 바깥으로 배출된다. 탱크압력을 1초 동안 6 barA를 유지시키고 다음 1초 동안 4 barA로 유지된다고 가정한다. 해석결과 표 6과 같이 시트링의 개수가 많아지면 밸브가 상대적으로 빨리 개방되고 빨리 닫힌다.
  • 탱크압력이 1 barA에서 6 barA로 1초간 선형적으로 증가하고 1초 동안 6 barA를 유지하다가 다시 1 barA러 감소한다고 가정하였다. 이때 벤트밸브가 시트링(seat ring)의 개수에 따라 개방 압력과 닫힘 압력을 비교하였다(표 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벤트/릴리프밸브의 작동방법은 무엇인가? 벤트/릴리프밸브는 구동가스 공급에 의해 벤트밸브를 작동시켜 탱크 내 가압제를 배출하는 벤트모드와 설정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밸브를 개폐하는 릴리프모드로 작동한다.
우주발사체의 액체추진 공급시스템에서 연료 벤트/릴리프밸브는 무슨 역할을 하나? 우주발사체의 액체추진 공급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연료 벤트/릴리프밸브는 안전밸브의 조합체로 지상에서 연료를 주입할 때와 비행 중에 추진제 탱크의 과압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우주발사체에 사용되는 벤트/릴리프밸브는 산업용밸브에 비해 극한의 환경조건에서 정확한 작동및 제어가 필요하다.
탱크압력이 4 barA에서 6 barA로 바뀔때, 오리피스 개수에 따른 밸브의 작동특성은? 이때 피스톤에 위치하는 오리피스 개수에 따라 밸브의 작동 특성이 바뀌게 된다. 표 3과 같이 오리피스(직경1 mm)의 개수가 1개일 때는 피스톤을 상승시키는 하부의 압력이 오리피스의 개수가 많을 때보다 빨리 올라가므로 밸브가 빨리 개방된다. 반면 밸브가 닫힐 때는 피스톤을 상승시키는 압력이 빨리 배출되지 못하므로 천천히 닫히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Garlata, P. K. and Winters, B. A., "X-34 Propulsion System Design", 33rd AIAA/ASME/SAE/ASEE Joint Propulsion Conference and Exhibit, Seattle, WA, AIAA-1997-3304, July 6-9, 1997 

  2. Brown, T. M., McDonald, J. P., Hedayat, A., Knight, K. C., and Champion, R. H., Jr., "Propellant Management and Conditioning within the X-34 Main Propulsion System", 34th AIAA/ASME/SAE/ASEE Joint Propulsion Conference and Exhibit, Cleveland, OH, AIAA-1998 -3518, July, 1998 

  3. Norquist, L., "External Tank for the Space Shuttle Main Propulsion System", 12th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and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Propulsion Conference, Palo Alto, CA, AIAA-1976-595, July, 1976 

  4. Norquist, L., "External Tank for the Space Shuttle Main Propulsion System", Journal of Spacecraft and Rockets, Vol. 14, No. 6, 1977, pp.358-364 

  5. 장제선, 이경원, "산화제 벤트/릴리프밸브의 설계 검토 및 작동특성 분석", KARI-PCT-TM-2010-014, 2010, pp.1-31 

  6. "AMESim 4.2 User Manual", Version 4.3, IMAGINE S.A., 1995-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