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과후학교 요리교실이 아동의 식습관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 After-School Cooking Program on the Eating Habits and Sociality of Children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2 no.3, 2014년, pp.267 - 274  

금지헌 (한국교육개발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after-school cooking program on the eating habits and sociality of children. Thirty five children from the 3rd to the 6th grade of G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comprising 12 periods of cooking activities, from May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게다가 식생활 교육과 요리활동이 사회성 함양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1, 23] 역시 방과후학교를 통해 식습관의 함양과 더불어 사회성 함양에도 큰 효과를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방과후학교 요리교실이 아동의 식습관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 실험 대상 학교에서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좋은 소식이 있었는데, 실험 기간이 종료 된 후 다음 기수의 요리교실은 2개 학급에서 4개 학급으로 증설되었다. 식생활교육과 요리에 흥미를 갖는 아동이 늘어났고, 실과실에서 교육이 이루어진 점에서 이 연구의 사례는 초등학교 식생활교육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게 하였다. 다만, 초등학교 실과(가정과)교육의 어려움으로 크게 대두 되는 것이 시설 및 교육환경에 대한 부분인데[22, 24], G초등학교의 실과실에는 싱크대, 미니오븐, 버너 등이 갖춰져 있었다.
  • 이 연구는 G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요리교실에 참여한 3-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사회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아동의 식습관과 사회성은 방과후학교 요리교실 참여 전과 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초등학생을 위한 식생활교육은 단순한 지식의 전달이 아닌, 실제 실생활에 지식을 적용하여 합리적인 식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21]. 그러므로 식습관이 형성되는 시기에 있는 어린이들의 식생활관리를 위하여,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체계적으로 지도되어야 한다[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과후학교란 무엇인가? 방과후학교는 “수요자의 요구와 선택에 따라 수익자 부담 또는 재정 지원으로 이루어지는 정규수업 이외의 교육 및 보호 프로그램”으로 학교 계획에 따라 학생들의 자율적 참여 속에 일정한 기간 운영하는 학교교육활동을 말한다[6]. 초기 방과후학교는 1995년 5.
식생활교육은 어떤시간을 통해 이루어지는가? 이러한 식생활교육은 초등학교 실과, 체육 등의 교과시간과 창의적 체험활동, 급식시간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10]. 그중 식생활교육이 주로 이루어지는 교과는 실과 교과이나 턱없이 부족한 시간과 시설로 충분한 교육을 기대하기가 힘들다.
방과후학교 요리교실이 아동의 식습관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조사 분석 한 결과는? 연구 결과는 예측했던 대로 식생활 및 요리교육이 식습관 함양에 효과적이다는 결과[5, 13, 23], 방과후학교 참여가 사회성 함양에 효과적이다는 결과[16], 요리교육이 사회성 함양에 효과적이다는 결과[23] 등의 기존 연구결과들과 마찬가지로 이 연구에서도 방과후학교 요리교실이 아동의 식습관과 사회성 함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방과후학교의 특성상 아동의 관심과 흥미에 따라 프로그램 선택권이 어느 정도 보장되었기 때문에 요리에 흥미가 있는 아동의 높은 학습동기 또한 연구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식습관의 하위요소별로 보면 위생적인 식생활과 예절바른 식생활, 건강한 식생활은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으나 규칙적인 식생활과 균형잡힌 식생활은 그렇지 못하였다. 요리를 직접 체험하는 과정에서 영양 정보와 예절, 그리고 완성된 요리를 먹는 예절에 대한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졌지만, 식생활이 주로 가정에서 이루어지고 주 1회의 방과후학교만으로는 규칙적인 식생활과 균형 잡힌 식생활에 큰 변화를 주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ong, S. H., & Kim, Y. J. (2012). The effect of structure-centered cooperative learning on sociality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Korean Education Inquiry, 30(4), 195-219. 

  2. Jang, H. W. (2009).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for assessments of infants' sociality that is observed in music activ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 Jeon, S. K. (2001). The Theory and Practice of Elementary Dietary Life. Seoul: Yangseowon. 

  4. Jeon, S. K. (2010). Educational meanings and effective practical plans of school dietary lif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 (1), 117-135. 

  5. Jung, H. W., & Ryu, S. H. (2013). Effect of nutrition program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v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ating habit.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9(1), 73-90. 

  6. Kim, H. W. (2012). Effects of After-School Program on Reducing Private Education Expenses.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7. Kim, J. D.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ociality examination too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and its feasibility.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6(6), 161-181. 

  8. Kim, J. H. (2009). Food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 Osong: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9. Kim, J. H., Jeon, S. K., & Lee, M. J. (2010). A study of integrated dietary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extbook and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I). Part 2: Application of integrated dietary education programs based on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3(4), 1-18. 

  10. Kim, J. H., Jeon, S. K., & Lee, Y. M. (2010). A study of integrated dietary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extbook and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 Part 1: An investigation into the school dietary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3(3), 23-42. 

  11. Lee, J. W., Lee, M. S., Kim, J. H., Son, S. M., & Lee, B. S. (2001). Nutrition Assessment. Seoul: Kyomoonsa. 

  12. Lee, K. H. (2010). The review on Banggahuhakgyo (after-school program) in Korea.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18(2), 173-195. 

  13. Lee, Y. M. (2005).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through discretion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improving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in 4th-, 5th- and 6th-grad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4. Ministry of Education. (2013). Field-centered countermeasures of school violence. Retrieved July 20, 2013, from http://www.moe.go.kr 

  15. Ministry of Education. (2013). Happy education, creative human resources education. Retrieved July 25, 2013, from http://www.moe.go.kr 

  16.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Effective strategies for after-school program. Retrieved July 20, 2013, from http://www.moe.go.kr 

  17.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National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 curriculum. Retrieved June 13, 2013, from http://www.ncic.re.kr 

  1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200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Retrieved October 7, 2013, from https://knhanes.cdc.go.kr 

  19. Park, H. N., Jeong, H. S., & Joo, N. M. (2008). Research on the educational effect and satisfaction of cooking activities for children. Korean Journal of Food Culture, 23(4), 455-461. 

  20. Park, S. H., Jo, S. S., & Kim, S. S. (2004). Hangul SPSS. Seoul: SPSS Academy. 

  21. Park, Y. S., Lee, J. W., Seo, J. S., Lee, B. K., & Lee, H. S. (2007).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Seoul: Kyomoonsa. 

  22. Son, J. H., & Keum, J. (2012). Problem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5(1), 231-246. 

  23. Yang, J. H. (2010). The effectiveness of after-school program in practical arts education on the change of disabled children toward dietary attitude.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3(1), 163-182. 

  24. Yu, N. S. (2012). A study on the causes of the dislik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garding practical arts classe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4(2), 1-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