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천성 이상아 어머니를 위한 사회적 지지 인터넷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Internet Social Support Program on Mothers of Congenitally Abnormal Children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19 no.2, 2013년, pp.159 - 167  

이혜진 (신흥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nd to evaluate a internet-based social support program for the mothers of congenitally abnormal children.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study is the moderating effect model of social support theory (Cobb, 1976). Methods: In first phase, an internet su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천성 이상아 어머니들에게 대면적인 중재가 아닌 인터넷을 이용해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을 적용 후에 대상자의 역할자신감과 정서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사회적 지지 인터넷 프로그램은 선천성 이상아 어머니를 위한 인터넷을 통해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선천성 이상아 어머니들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자녀양육을 하면서 가정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프로그램에 사회적 지지의 요소를 포함시켜 사회적 지지 중재의 효과를 인터넷이라는 도구를 이용해 대상자에게 제공하였다. 이는 선행연구들과 본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대상자의 요구도 결과를 기초로 하였으며, 본 프로그램의 기간은 Gang (2003) 등의 주 1회의 참여를 하는 8주 인터넷 프로그램과 일치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요구도 사정을 근거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으며, 요구도 결과의 반영으로 인해 프로그램에 대한 대상자 접근도와 만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선천성 이상아 어머니를 위한 사회적 지지 인터넷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사회적 지지 인터넷 프로그램은 선천성 이상아 어머니를 위한 인터넷을 통해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선천성 이상아 어머니들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자녀양육을 하면서 가정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프로그램에 사회적 지지의 요소를 포함시켜 사회적 지지 중재의 효과를 인터넷이라는 도구를 이용해 대상자에게 제공하였다.
  • 연구 설계는 선천성 이상아 어머니에게 인터넷을 이용한 사회적 지지를 적용한 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연구(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이다. 선천성 이상아는 대상자 수가 많지 않으며 자녀의 문제점을 보여주지 않으려는 한국의 문화특성 때문에 대상자 표집이 어려웠으므로 대조군이 없는 원시실험 연구설계를 이용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선천성 이상아의 출생이라는 스트레스 상황에 사회적 지지가 완충적인 효과로 작용하여 어머니의 역할이 긍정적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가정으로 하므로 사회적 지지의 모형 중 완충효과 모형을 이용하였다.
  • 완충효과 모형이란 개인 또는 가족이 스트레스 상황에 직면했을 때 사회적 지지는 문제해결을 제공하거나 위협에 대한 평가를 약화함으로써 위기에 대처하는 능력을 증강시키고 적응을 촉진함으로써 스트레스가 그들의 삶과 건강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며 스트레스와 상호작용을 통해서 부정적인 결과로부터 대상자를 보호한다는 개념이다. 직접효과 모형은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 상황에 관계없이 안녕에 유익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가정으로 하며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의 상호작용 없이 두 개념이 안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Figure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천성 이상아란 무엇인가? 선천성 이상아란 선천성 장애인 식도 폐쇄증(Oesophageal atresia), 장폐색(Diphragmatic hernia), 제대기저부 탈장(Omphalocele)과 OECD에 제출해야 하는 선천성 이상 4개 항인 큰혈관 전위(Transposition of great vessels), 사지 감소성 결손(limb reduction defects), 다운 증후군(Down’s syndrome), 척추 갈림증(Spina bifida)을 갖고 출생한 영아를 말한다(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2007). 이들은 흔히 장애를 초래하여 만성질환이 될 수 있고, 병원입원의 주요 이유이며, 영아사망의 주요 원인이기도 한 심각한 보건의료 문제이다(Hwang, 2000).
장애아 어머니는 어떠한 증상을 보이는가? 이러한 선천성 이상아의 출생은 어머니와 가족에게는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사건이며 가족체계 내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데 특히 일차적으로 아기를 돌보는 어머니에게 발생하는 문제가 가장 크다고 여러 연구에서 지적하였다. 국외의 논문에서 살펴보면 Grill과 Harris (1991)는 장애아 어머니는 우울증상을 많이 보인다고 하였으며, Fraley (1990)는 만성적 슬픔, 무력감, 좌절감, 분노, 비난, 두려움 등의 정서를 경험한다고 하였다. 결국 장애아를 돌보는 어머니는 높은 스트레스에 대처하지 못하고 부정적 정서를 갖게 되면서 자녀양육을 어렵게 느끼게 되고 이는 모성역할 획득에 지연을 주게 된다(Mercer, 198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eckman, P. J. (1991). Comparison of mothers' and fathers' perceptions of the effect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merican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95(5), 585-595. 

  2. Boling, E., & Frick, T. (2002). Practical web development: A Systematic Process. 

  3. Chae, S. M. (200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ransitional care program for low birth weight infants and mot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4. Cho, I. S. (2002). Effects of a social support program on stress and coping in mothers with handicapped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5. Cho, I. S. (2002). Effects of a social support program on stress and coping in mother with handicapped preschoolers. The Korean Journal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6(2), 211-227. 

  6.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moderator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3(5), 300-314. 

  7. Cohen, S., & Willi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s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357. 

  8. Etter, J. F., & Perneger, T. V. (2001). Effectiveness of a computer-tailored smoking cessation program: A randomized trial. Arch Intern Med. 161(21), 2596-2601. 

  9. Fraley, A. (1990). Chronic sorrow: A parental response. Pediatric Nursing, 5, 268-273. 

  10. Gang, B. S. (2002). Development of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program and evaluation of the effect of internet health education progrom through a web survey. The Ministry of Health. 

  11. Grill, M. J., & Harris, S. L. (1991). Hardiness and social support a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discomfort in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Autism & Developmental Disorders, 21(4), 407-416. 

  12. Heller, K., Swindle, R. V., & Dusenbery, L. (1986). Component social support processes: Comments and Intergration. Journal of Consulting & Clinical Psychology, 54, 466-470. 

  13.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 Addson-Wesley. 

  14. Kang, J. H. (2003). The effect of a social support program on burden and well-bing in caregivers of elderly people with dimentia living in the commun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5. Kang, Y. H. (2003). The helth promotion internet program for a dolescents; A study of its development and effect on adolesc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sin University, Busan. 

  16. Kim, H. S. (1995). The supportive care for family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es. Child Health Nursing Reserch, 1(1), 65-69. 

  17. Kim, J. E. (2000). Survey data-cellection using internet. Nursing Query, 9(1), 170-185. 

  18. Lee, D. G. (2006).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parenting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19. Lee, J. S. (2009). The effect of efficacy of socialnetworks of mothe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blic Administration Inchon University, Inchon. 

  20. Lee, S. B. (2010). The effect of life-quality on raising experience and educational attitude of mother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The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26(1), 1-19. 

  21. Lee, W. J. (2003). The attachment oriented parenting behavior of brest feeding mother. The Korean Journal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7(2), 145-153. 

  22. Leonard, B. J., Johnson, A. I., & Burst, J. D. (1993). Care giv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comparison of those managing, "ok" and those needing more help. Children's Health Care, 22(2), 93-105. 

  23. Lim, J. Y. (1997). The effect of support care and given information on stress recognition and health status of mother with immature infant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4. Mercer, R. T. (1981). A Theoretical framework for studying in factors that impact on the maternal role. Nursing Research, 30, 73-77. 

  25. The health ministry. (2007). The registered handicapped person. The Ministry of Health. 

  26. The Law about disclosure of information. (2008). The Ministry of Law. 

  27.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2007). The Ministry of Law. 

  28. The policy reprot of health ministry. (2006). The study of congenital abnormal child. The Ministry of Health. 

  29. Thoits, P. (1982). Conceptual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problems in studing social support as a buffer against life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3, 145-149. 

  30. Whang, N. M. (2000). Workshop casebook for people who work public maternal health cente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1. Wright, K. (2000). Computer-medical social support, older adults, and coping. Journal of Communication, 50(3), 100-118. 

  32. Yom, Y. H. (2000). The development and effect analysis of and internet based nursing program: Application to nursing informatic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4), 1035-104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