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주관적 계층감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 and Youth's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on Game Addiction 원문보기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v.13 no.6, 2013년, pp.53 - 64  

장예빛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과학연구(SSK)) ,  이혜림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김민철 (강원대학교 영상문화학과) ,  유승호 (강원대학교 영상문화학과) ,  정의준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부모의 자녀 양육태도와 청소년이 가진 주관적 계층감의 차이에 따라 청소년의 중독적 게임이용이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았다. 16세에서 24세 사이의 총 177명의 게임이용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서베이 분석 결과, 전체 집단의 경우 부모의 양육태도 중 과잉기대요인과 청소년 개인이 가진 높은 자기통제 수준이 게임중독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계층감에 따라 전체 집단을 나누어 다시 살펴본 결과, 주관적 계층감이 낮은 집단(주관적 빈곤감이 높은 그룹)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 중 과잉기대 요인이 높고, 자기통제 수준이 높을수록 게임중독이 낮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주관적 계층감이 높은 집단(주관적 빈곤감이 낮은 그룹)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 중 간섭 요인만이 게임중독을 낮추는 유일한 요인으로 드러났다. 이는 부모의 양육태도 중 특정 요인과 청소년이 가진 주관적 계층감이 게임을 비롯한 다양한 미디어의 중독적 사용과 중요한 관련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how parents' parenting attitude and youth's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influence on game addiction. Total 177 youths from 16 to 24 participated an online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s, parents' excessive expectation and youths' high level of self-control were associ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특정 낮은 연령의 청소년에게만 한정되었던 기존연구보다 연령대가 높은 청소년 집단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부모의 양육태도의 차이가 게임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기본적인 연구문제로 선정하였으며, 한발 더 나아가, 청소년 본인이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가정의 생활수준과 소득을 기준으로 집단을 나누었을 경우, 각 집단별로 부모의 양육태도의 차이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차이는 과연 어디에서 연유하는 것이며, 그 과정에서 부모의 양육태도는 구체적으로 어떠하기에 이러한 격차를 불러오는가.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미디어 이용에 있어 부모가 어떠한 역할을 해야만 하는지에 관해 우리는 부분적으로 중요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부모의 특정 양육태도는 자녀의 자기통제가 형성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고, 이는 향후 자녀가 대하는 게임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뉴미디어 활용과 향유의 양태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주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게임 중독을 과도한 게임사용으로 일종의 내성이 생겨 이를 조절하는 능력을 잃고, 게임을 중단할 경우, 기타 약물 중독 증세에서와 마찬가지로 금단증상을 겪게 되는 상태로 정의 내리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게임이용자 중에서도 청소년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 집단군에서 게임이용과 중독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게임이용과 중독 사이에는 사회, 경제, 문화적 변수가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으며, 또한 성격 및 특성과 같은 개인차 변수가 또 하나의 중독을 결정짓는 주요 변수라 할 수 있다.
  • 장미경(2010)의 연구에서는 부모의 모순불일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게임 중독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다시 말해, 게임중독 위험성이 높은 청소년들의 경우, 부모의 비일관적이고 수용적이지 않은 태도가 높은 수준의 중독을 유발하는 요소가 될 수 있음을 뜻한다[41]. 본 연구에서는 앞선 연구에서 주요 분석대상으로 놓고 있는 초등학생의 범주에서 나아가, 고등학생을 포함한 성인 초기 단계의 24세까지의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러한 양육태도가 보다 넓은 청소년 집단에서도 비슷한 패턴을 나타낼지의 문제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 게임이용과 중독 사이에는 사회, 경제, 문화적 변수가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으며, 또한 성격 및 특성과 같은 개인차 변수가 또 하나의 중독을 결정짓는 주요 변수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본 가정을 포함한 가운데, 이 중에서도 특히 청소년의 경우 부모의 양육태도와 게임에 대한 인식이 게임이라는 매체를 이용하는 방식과 태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하나의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이에 관한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모의 양육태도 중 과잉간섭 부분이 게임 중독을 낮추는 주요 요인으로 드러난 결과를 어떻게 볼 수 있는가? 반면 주관적 계층감이 높은 그룹의 경우에는 주관적 계층감이 낮은 그룹에서 나타났던 자기통제의 영향력이 사라짐을 확인하였는데, 대신 부모의 양육태도 중 과잉간섭의 부분이 중독을 낮추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 부분을 해석해보자면, 부모가 상대적으로 자녀에게 관심을 쏟기에 힘든 저소득층에 비해, 중산층의 경우 자녀의 생활과 교육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관심과 자원의 투자가 가능한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양육태도는 관심을 넘어서 자녀로 하여금 외부적 개입과 통제로 받아들여질 수 있으며, 이러한 간섭 요인이 자녀의 게임중독을 막는 더 큰 기제로 작동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주관적 계층감을 기준으로 한 중독연구는 청소년의 게임 중독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향후 소득과 계층별로 양극화된 각 집단별로 차별화된 복지정책과 미디어리터러시로 접근하는 것도 하나의 해결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미국정신의학협회의 표준진단분류체계에 따르면 마약 등과 같은 약물이 아닌 중독적 행동에 대해 어떤 표현을 사용하는가? 게임 중독이라는 용어는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긴 하지만, 학계 등에서 사용되는 공식 명칭은 아니다. 미국정신의학협회의 표준진단분류체계(DSM-V)에 따르면, 마약 등과 같은 약물이 아닌 중독적 행동과 관련하여 “중독” 대신에 “충동조절장애(Impulse Control Disorders)”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중독이란, 충동 조절의 약화 및 실패를 일컫는 것이다.
온라인 게임 내에서 사이버 공간내의 사회관계 속에서 애착 관계를 형성 할 수 있는 이유는? 특히, 온라인 게임은 시공간의 제약 없이 게임 속에서 다중 사용자들 간 유대관계 형성이 가능하며 소속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사이버 공간내의 사회관계속에서 애착 관계를 형성 할 수 있다[9]. 이는 부모의 부재에 대한 외로움이나 유대감을 필요로 하는 정체성 과도기에 있는 청소년들에게 있어 매력적인 대체물이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2011 While paper on Korean games, KOCCA, 2011. 

  2. M. Zyda, "From visual simulation to virtual reality to games", Computer, Vol. 38, No. 9, pp25-32, 2005. 

  3. D. A. Lieberman, "What can we learn from playing interactive games?" In P. Vorderer & J. Bryant (Eds.), Playing video games: Motives, responses and consequences, pp. 379-398, 2006. 

  4. Michael D. and Chen, S, "Serious games: Games that educate, train, and inform", Boston, MA.: Thomson Course Technology, 2006. 

  5. Gee, J. P, "What video games have to teach us about learning and literacy", PalGrave-McMillan, New York, 2003. 

  6. Prensky, M. (ed) Digital Game-Based Learning. Paragon House Edition, 2007. First Edition 2001 by The McGraw Hill Companies. 

  7. C. Hellstrom et al. and C. Aslund, "Influences of motives to play and time spent gaming on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adolescent online computer gam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28, pp.1379-1387, 2012. 

  8. Philip J. F, "Addiction as an Attachment Disorder", Jason Aronson, Inc.; 1 edition, 2004. 

  9. Lo, S. K., Wang, C. C., and Fang, W, "Physica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ocial anxiety among online game players".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 8, No. 1, pp.15-20, 2005. 

  10. Kilmmt, C, "Serious games and social change. Why they (should) work.", Serious Games: Mechanisms and Effects By Ute Ritterfeld et al., Taylor & Francis, pp.248-270, 2009. 

  11. Therese Charles, David Bustard and Michaela Black, "Experiences of promoting student engagement through game-enhanced learning", Serious Games and Edutainment Applications, 2011. 

  12. Jung Ok,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ecurity and Depression in Adolesce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mpetence", Ewha Womans University, Master's Thesis, 1997. 

  13. E, Tauschke, H, Merskey and E, Helmes, "A systematic inquiry into recollections of childhood experience and their relationship to adult defence mechanism",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 157, pp.656-660, 1990. 

  14. Anderson, B. J., and Coyne, J. C, "Miscarried helping attitude in the families of children and adolescent with chronic diseases", In J. H. Johnson & S. B. Johnson(Eds.), Advances in child health psychology, pp.167-177, Gainesville: University of Florida, 1991. 

  15. Hye Jin Yang, "The adolescent's anger level by perceived parental style", Social Science Review, Vol, 24, No. 1, pp.161, 2005. 

  16. Fishbein, M and Ajzen, I, "Belief, attitude, intens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 Wesley, 1975. 

  17. D. Baker and D. C., Entwisle, "The influence of mothers on the academic expectations of young children: A longitudinal study of how gender differences arise", Social Force, vol. 65. pp.670-696, 1987. 

  18. Shaver, P and Rubenstein, C, "Childhood attachment experience and adult loneliness". In L.Wheeler (Ed.), Review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 pp.42-73, Beverly Hills. CA : Sage Publications, 1980. 

  19. L. Paula, "Parent-child relationship, family structure, and loneliness among adolescents", Adolescent and Family Health, Vol. 2, No. 1, pp.20-26, 2001. 

  20. G. R. Patterson and M, Stouthamer-Loeber, "The correlation of family management practices and delinquency". Child Development, Vol. 55, No. 4, pp.1299-1307, 1984. 

  21. C. R. Maria, "Loneliness and depression in middle and late childhood : The relationship to attachment and parental styles",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Vol. 167, No. 2, pp.189-210, 2006. 

  22. You Jin Chung, Kwang Woong Kim, "The Influence having p relationships and affectionate relationships with the mother had on children's lonelines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 Counseling, Vol. 18, No. 1, pp.217-232, 2006. 

  23. Joo Mi Kim, "Loneliness of adolescents according to affectionate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2006. 

  24. Young Ae Jang, Jung Hee Park, "The effect of parenting behavior,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 13, No. 2, pp.69-85, 2008. 

  25. Ji Hye Ryu, Jae Hee Han, "Influences of adolesc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depression: Focused on the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Vol. 18, pp.121-140, 2009. 

  26. Myeong Sook Yoon, Haeng Sook Song,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 best friend, teacher attachment on relationship between impulsiveness and internet game addi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Social Science Research, Vol. 27, No. 1, pp.227-253, 2011. 

  27. M. D. Griffiths, "Amusement machine playing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 comparative analysis of video games and fruit machines," Journal of Adolescences, Vol. 14, pp.53-73. 1991. 

  28. Soo Min Song, Seung Min Park,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internet addiction type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008. 

  29. J. Chumbley and M. Griffiths, "Affect and the computer game player: the effect of gender, personality and game reinforcement structure on affective responses to computer game play,"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 9, pp. 308-316, 2006. 

  30. Gyo Jung Kim, Sang Hyun Suh, "The research on a path-model on adolescent's psychological.environmental variables affecting the internet addiction", Studies on Korean Youth, Vol. 17, No. 1, pp.149-179, 2006. 

  31. Jun Seob Shin, Chung Hwan Lee, "The Effects of self-control and social support on the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17권, No. 8, pp.105-128, 2010. 

  32. Hye Myoung Choung, Dong Soo Lee, "A Study on Difference of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According to The Game with Us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Vol, 13, No. 2, 2008. 

  33. L. Armstrong, J. Phillips. L., and Saling, "Potential determinants of heavier internet usag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Vol. 53, pp.537-50. 2005. 

  34. Hae Yeon, Cho, "A Study on the Juvenile Internet Game Addiction and Personality T raits", Hany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1. 

  35. M. Muraven, D. M. Tice and R. F. Baumeister, "Self-control as a limited resource: Regulatory depletion patter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74, pp.774-789, 1998. 

  36. R. F. Baumeister and K. D. Vohs, "Self-Regulation, ego depletion, and motivation",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Vol.1, pp.1-14, 2007. 

  37. Christopher Ferguson, Ph. D, Professor of Behavioral, Applied Sciences and Criminal Justice at Texas A&M University, was quoted in a Sep. 14, 2009 article titled "New Study Links Youth Violence to Depression & Peers, Not Video Games" on www.gamepolitics.com 

  38. R. D. Peters and G. A. Bernfeld, "Reflection impulsivity and social reasoning,"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19, pp.78-81, 1983. 

  39. Young Ki Cho, "Online game use and effect among adolescents", Hanyang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09. 

  40. Ji Eun Baek, "A Stud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net Game Addiction and Related Variables",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Vol. 12, No. 2, pp. 111-128, 2009. 

  41. Mi Kyung Jang,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Related Variables and Game Addiction through the Perceptions of Par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17, No. 4, pp.47-66, 2010. 

  42. Research on the overall actual condition of Korean game users, KOCCA, 2011. 

  43. Myo Yeon Huh, The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perceived by adolescent, Ewha Womans University, 2000. 

  44. Young K. S., "Caught in the Net: How to recognize the signs of internet addiction and a winning strategy for recovery", New York : John wiley & Sons., 1998. 

  45. Tangney JP, Baumeister RF, Boone AL. High self-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less pathology, better grades, and interpersonal success. Journal of Personality, 72:271-322,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