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영화의 트렌드와 산업화에 따른 문제와 대안
A Study on the Trend of Korean Movies and the Issues Caused by Industrialization and the Alternativ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12, 2013년, pp.638 - 649  

육정학 (영남외국어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영화계의 트렌드와 산업화에 따른 문제와 대안을 연구해 보고자 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영화는 흥행에 초점을 맞춰 무분별한 장르 혼합형의 영화로 개성 있는 뚜렷한 장르의 영화가 없다는 것과 둘째, 영화가 산업이 되다보니 거대자본과 거대배급사를 가진 기업이 영화의 제작에서부터 배급, 극장의 상영까지 독과점 함으로써 한국 영화의 다양성과 예술성이 저해 받고 있다는 것, 셋째, 이러한 산업화 경향은 스타배우만 살아남게 함으로써 한국영화에 나오는 배우는 그 몇 명의 배우뿐으로 이 역시 다양성을 침해하고 있으며 그 외의 일반 배우들과 스텝들은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다음의 일곱 가지를 도출하였다. 장르개념이 있는 뚜렷한 장르의 영화를 발전시켜야 한다, 거대자본과 거대배급사에 좌우 되는 스크린 독과점을 제한하여야 한다. 즉 스크린 독과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률적 기구를 두어 현행 불공정한 영화산업의 구조를 새롭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양성 영화를 상영할 수 있는 전문극장의 확대 및 지원방안을 확충해야 한다. 스타배우와 배우, 스텝들의 출연료 문제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영화발전 기금을 법률적으로 검토해 스포츠 토토처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영화의 부가시장의 활성화로 이익을 창출해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원스톱 체계를 갖춘 '다양성영화 지원 협의체'를 구성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trend of Korean movies and the issues caused by industrialization and the alternativ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does not exist distinctive genre movie as most of the movie producers concentrate on thoughtless genre fusion of movie, simply hoping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작금의 영화계의 문제가 무엇인지, 한국 영화계를 끌어가고 있는 트렌드는 무엇인지, 혹은 트렌드 분석에 따른 문제는 무엇인지를 연구해 보고자 한 것이다. 즉 21세기 국제화 시대의 사회 문화적 변화에 따른 한국영화의 트렌드를 분석 전망하고, 그 트렌드가 적극 반영된 영화의 가치를 예측함으로써 지나치게 상업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한국영화의 문제와 함께그 대안을 찾아보고자함에 연구목적을 두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작금의 영화계의 문제가 무엇인지, 한국 영화계를 끌어가고 있는 트렌드는 무엇인지, 혹은 트렌드 분석에 따른 문제는 무엇인지를 연구해 보고자 한 것이다. 즉 21세기 국제화 시대의 사회 문화적 변화에 따른 한국영화의 트렌드를 분석 전망하고, 그 트렌드가 적극 반영된 영화의 가치를 예측함으로써 지나치게 상업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한국영화의 문제와 함께그 대안을 찾아보고자함에 연구목적을 두었다.
  • 언젠가 할리우드를 능가할 수 있는 날이 올지도 모르는 이때, 한국영화의 질적 수준을 가늠해 볼 수 있는 트렌드를 분석하고. 한국영화의 산업화에 따른 구조적인 문제가 무엇인지 짚어보고자 하였다.
  • 그리고 그 속에는 한국영화의 질적인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부분과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아울러 거기에 따른 미래전망도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국영화인이 보는 한국영화의 문제점은 제작 및 기술관계를 선두로 작품성, 배급구조의 모순, 영화인 육성문제, 영화문제 인식저하 등 20여 가지를 지적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크게 두 가지를 짚어 보고자 하는데 우선 한국영화의 장르의 분화와 형성에 따른 장르 영화, 기획영화, 블록버스트 영화, 작가주의 영화 등을 통해 한국영화의 트렌드를 살펴보고 아울러 한국영화의 산업화에 따른 구조적 문제를 짚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트렌드란 무엇인가? 트렌드(trend)는 경제 분석상의 특수용어로서 사전적 의미로 계절변동이나 경기순환 등의 단기적인 변동을 초월해서 지속되는 장기적인 경향을 말하며 ‘추세변동(趨勢變動)’, 혹은 경향(傾向)‘ 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트렌드란 말은 패션관련정보기관에서 유행의 변동 경향을 뜻하는 용어로, 주로 현재 ’유행의 최첨단‘ 또는 ’다음에 오는 경향‘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어오다가 최근에는 ’다가올, 앞선‘ 등과 같은 선행의 의미를 내포하여 여러 분야에서 자연스럽게 통용되고 있다.
한국 영화 산업은 어떠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가? 한국 영화 산업은 대기업이 투자-제작-배급의 산업 출발점부터 상영의 종착점까지 독식하는 수직 통합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영화시장은 흥행성이 높다고 기대되는 영화를 스크린의 70%까지 상여하는 스크린 독과점 전략으로 작동된다.
장르의 개념을 단순히 사전적 정의만으로 개념화하기 힘든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장르의 개념은 단순히 사전적 정의만으로 개념화하기 힘들다. 왜냐하면 장르에는 사회적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사회적 맥락에서의 이해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이유로 Neale(1980)은 장르를 ‘체계로서가 아닌 체계화의 과정으로 보고 있으며, 체계화의 과정은 그에 의하면 ’산업, 텍스트, 주체‘의 사이를 순환하는 기대와 관습의 체계로 파악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이데일리 신문 특파원 칼럼, "한국영화를 키운힘", 2013.7.3. 

  2. 매일경제신문, "영화편식 심해진다", 2013.9.2. 

  3. 김현경, 메가트렌드의 형성요인과 디자인 트렌드 분석,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0, 2003. 

  4. S. Neale, Genre, London: British Film Institute(solely concerned with film); an extract can be found in Tony Bennett, Susan Boyd-Bowman, Colin Mercer & Janet Woollacott(Eds), 1981: Popular Television and Film, London; British Film Institute, p.48, 1990. 

  5. Graeme Turner, Film as Social Practice, 민재철 역 외, 대중영화의 이해, 한나래, p.126, 1993. 

  6. 오정숙, "프랑스에서 한국의 문화이미지, 문화브랜드 -Le Monde에 나타난 한국관련 기사의 문화기호학적 분석-", 프랑스학연구, 제37집, pp.543-544, 2006. 

  7. www.cyworld.com/took87/7981782 

  8. 임건중, "한국영화의 상업적 성공을 위한 기획 개발 단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0, p.74, 2012. 

  9. cafe.naver.com/cinematocritique. 

  10. 남동철, 씨네 21, 제362호, p.64, 2002. 

  11. 김갑의, 영화기획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p.12, 2000. 

  12. 오정숙, "프랑스에서 한국의 문화이미지, 문화브랜드 -Le Monde에 나타난 한국관련 기사의 문화 기호학적 분석-", 프랑스학연구, 제37집, p.548. 2006. 

  13. YTN 아침뉴스, 2012.10.28. 

  14. 강한섭, "한국의 스크린 독과점 해소와 다양성 증진을 위한 법, 제도적 방안", (사)한국영화평론가협회 국제학술포럼, p.67, 2013. 

  15. David A. Asker, "The Value of Brand Equity," Journal of Business Strategy, Vol.13, No.4, pp.27-32, 1992. 

  16. R. Faulkner and A. Anderson, "short-team project and Emergent Careers," American Journal of Socilogy, Vol.92, No.4, pp.879-909, 1987. 

  17. 김우식, "연결망을 통한 문화적 범주의 확장 한국영화배우들의 경우", 한국사학회, 제38집, 제2호, p.137, 2004. 

  18. 김홍준, 정성일, 대담: "영화의 황혼, 그러나 ;살아라", 씨네21, Vol.289, pp.38-49, 2001. 

  19. 김우식, 문화산업의 복합적 연결망 구조와 문화적 장의 구조, 변화하는 사회 환경, 기업의 대응, 지식마당, pp.77-121, 2001. 

  20. 정재우, "영화산업에 있어서 배우 시장 구조에 관한 연구", 영화, 제4권, 제2호, pp.81-82, 2012. 

  21. 조종흡, "디지털 기술과 감성 패러다임 시대의 영화산업", 현대영화연구, 제14권, p.473, 2012. 

  22. 강한섭, "한국의 스크린 독과점 해소와 다양성 증진을 위한 법, 제도적 방안", (사)한국영화평론가협회 국제학술포럼, pp.67-69. 2013. 

  23. 허원재, 다양성영화 활성화지원방안, 영화진흥위원회 영상산업정책연구소 정책토론회 자료집, pp.1-12, 2009. 

  24. 강한섭, "한국의 스크린 독과점 해소와 다양성 증진을 위한 법, 제도적 방안", (사)한국영화평론가협회 국제학술포럼, p.69, 2013. 

  25. 안성아, "한국영화에서 스타의 신호역할과 재무적 가치", 영화연구, 제34권, p.86, 2007. 

  26. mbc뉴스 플러스, 2013년 4월 5일. 

  27. 안서영, 대학생 스포츠토토 참여자의 스포츠관여도가 관람만족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9-10, 2010. 

  28. Michael Pokorny and John Sedgwick, "Stardom and Profitability of Film Making: Waner Bros. in the 1930s,"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Vol.25, pp.157-184, 2001.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