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성과와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직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접근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직무성과와 관련 변수들의 특성과 변인들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파워먼트 요인, 네트워크 요인, 직무특성 요인에 따라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직무성과와 각 관련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각 단계마다 새로운 변수군을 투입하여 각 모델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리하여 변수들의 영향력, 유의미성, 모델 전체의 설명력 변화를 통하여 임파워먼트 요인, 네트워크 요인, 직무특성 요인 등의 변수들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성과와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직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접근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직무성과와 관련 변수들의 특성과 변인들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파워먼트 요인, 네트워크 요인, 직무특성 요인에 따라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직무성과와 각 관련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각 단계마다 새로운 변수군을 투입하여 각 모델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리하여 변수들의 영향력, 유의미성, 모델 전체의 설명력 변화를 통하여 임파워먼트 요인, 네트워크 요인, 직무특성 요인 등의 변수들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approaches towards the improved the job performance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by analyzing relations between their job performance and its concerned variables.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searched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and 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approaches towards the improved the job performance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by analyzing relations between their job performance and its concerned variables.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searched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and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performance.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empowerment, network and job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 that changes to each of the models were checked by introducing a new group of variables in each stage. Then the influences of the variables including the empowerment, network and job characteristics on job performance were tested through the influence and significance of the variables and the changing explanatory power of the entire mod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approaches towards the improved the job performance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by analyzing relations between their job performance and its concerned variables.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searched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and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performance.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empowerment, network and job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 that changes to each of the models were checked by introducing a new group of variables in each stage. Then the influences of the variables including the empowerment, network and job characteristics on job performance were tested through the influence and significance of the variables and the changing explanatory power of the entire model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1)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직무성과 수준은 어떠한가, 2) 지역아동센터의 직무성과와 관련 요인들은 어떻게 관련 되었나 등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조직인 지역아동센터의 조직 및 서비스 성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직무성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 복합적인 욕구와 문제를 가진 대상자들에 대한 접근방법으로 사례관리 및 네트워크 활동이 강조되고 있다. 지역아동센터도 지역사회 내 자원 연계를 통한 아동지원 체계 구축을 강조함으로써 서비스 효과 및 효율성 증진을 도모하고자 한다. 즉 사회복지사의 네트워크 활동을 통해 서비스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성과 특성을 살피고, 이와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를 탐색하고,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제안 방법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활동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정영림(2007)이 교육복지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에서 활용한 척도[45]를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임파워먼트를 세 영역으로 나누어 구성한 Lesile, Holzhalb & Holland(1998)의 척도[43]를 장신재(2003)가 수정·보완한 설문지[44]를 지역아동센터에 맞도록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2년 5월부터 12월 까지 직접 지역아동센터를 방문하거나 지역아동센터 지역협회에 회원기관에 설문조사를 의뢰하여 설문지를 배포·수거하였다.
각 변수들은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요인 분석과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에서는 고유 값이 1.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활동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정영림(2007)이 교육복지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에서 활용한 척도[45]를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척도는 네트워크 활동에 대한 정체성, 중요성, 지식 및 기술, 실무위원회 참여, 네트워크 활동 경험 및 교육훈련 등에 대한 태도로 구성되었으며 각 문항은 5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네트워크 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것으로 측정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피기 위하여 개인적 특성, 역량강화 변수, 네트워크 변수, 직무특성 변수 등 4가지 군으로 독립변수를 설정하고, 직무성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모형에 순차적으로 포함시키는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은 각 단계마다 새로운 변수 군을 투입하여 각 모델의 변화를 살펴보고, 변수들의 영향력, 유의미성, 모델 전체의 설명력의 변화를 통하여 직무성과에 대한 영향을 제시하였다.
1단계 모형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영향력이고, 2단계 모형은 1단계 모형에 역량강화 변수를 투입하였다. 3단계는 2단계 모형에 네트워크 변수를 투입하였으며 4단계는 3단계에 직무특성 변수를 투입하였다. 이로써 단계가 상승할 때마다 전(前) 단계 변수들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 새롭게 투입된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대전·충남 지역의 지역아동센터에 종사하고 있는 시설장 및 생활지도사 136명을 표집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2년 5월부터 12월 까지 직접 지역아동센터를 방문하거나 지역아동센터 지역협회에 회원기관에 설문조사를 의뢰하여 설문지를 배포·수거하였다. 설문지는 총 150부를 수집하였고, 이 중 부실 응답 설문지 제외하고 총 137부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0을 사용하였다. 우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변인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관련 변인들의 수준에 따른 직무성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들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우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변인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관련 변인들의 수준에 따른 직무성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들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다양한 변인에 따른 직무성과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각 변인들은 중간점수를 기준으로 높고,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고, 평균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표 4]와 같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피기 위하여 개인적 특성, 역량강화 변수, 네트워크 변수, 직무특성 변수 등 4가지 군으로 독립변수를 설정하고, 직무성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모형에 순차적으로 포함시키는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은 각 단계마다 새로운 변수 군을 투입하여 각 모델의 변화를 살펴보고, 변수들의 영향력, 유의미성, 모델 전체의 설명력의 변화를 통하여 직무성과에 대한 영향을 제시하였다.
이론/모형
본 연구에서는 직무요인과 관련하여 Hackman & Oldham(1975)이 개발한 척도[38]를 윤민화(1999)가 번역 하여 사용한 설문문항을 사용하였다[46].
본 연구에서는 직무수행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Kadushin이 제시한 7가지 업무영역2)으로 구성된 척도[5]를 아동관련 사회복지사에 적합하게 수정하여 활용한 백민희(2008)의 척도를 수정·활용하였다[32].
성능/효과
본 연구에서는 직무요인과 관련하여 Hackman & Oldham(1975)이 개발한 척도[38]를 윤민화(1999)가 번역 하여 사용한 설문문항을 사용하였다[46]. 직무요인으로는 기술 다양성, 과업 정체성, 과업 중요성 요인이 각각 3문항씩 구성되어 총 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5점 척도로서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특성에 대한 인식이 높다는 것으로 측정하였다.
대체로 평균이 중간 값보다 커서 직무성과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중 “직원 및 지역사회와의 관계”와 관련된 직무성과는 중간값 이상의 분포가 88%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평균도 3.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역아동센터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기술 분석은 아래 [표 1]와 같다. 조사대상자들의 성별분포는 여성이 86.9%를 차지하였고, 학력수준은 전문대졸자가 4.3.1%를 차지했으며 자격증 보유 수는 1개를 보유하고 있는 대상자가 46.5%를 차지하였고, 종교적 분포는 기독교인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중심으로 직무성과를 설명한 1단계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4.155, p<.01), 전체 다문화 역량의 10.9%를 설명하였다.
일반적 특성(성별, 자격증 수, 근무경력, 직원수 등)에 따른 직무성과의 차이에서는 근무경력 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직무성과와 관련된 주요 변수로서 임파워먼트 변수, 네트워크 변수, 직무특성 변수 등에 따른 직무성과 차이는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일반적 특성(성별, 자격증 수, 근무경력, 직원수 등)에 따른 직무성과의 차이에서는 근무경력 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직무성과와 관련된 주요 변수로서 임파워먼트 변수, 네트워크 변수, 직무특성 변수 등에 따른 직무성과 차이는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즉 각각의 변수들이 직무성과와 서로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2단계의 모형에서 새롭게 투입된 변수들 중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변수는 자기 임파워먼트(β=0.314, p<.01)와 클라이언트 임파워먼트(β=0.454, p<.001)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성과를 설명함에 있어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변수는 직무특성 변수 이외에도 경력 변수(β=0.128, p<.05), 자기 임파워먼트(β=0.274, p<.01) 및 클라이언트 임파워먼트 변수(β=0.253, p<.01), 네트워크 변수(β=0.332, p<.001) 등이 4단계 모형에서도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3단계 모형에 직무특성 변수를 투입한 4단계 모형도 통계적로 유의미하며(F=26.123, p<.001), 직무성과의 약 68.3%를 설명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0%를 설명하였다. 즉, 1단계 변수 들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 새롭게 투입된 임파워먼트 변수를 통하여 직무성과 변량 중 약 42.1%를 추가적으로 설명함이 확인되었다. 2단계의 모형에서 새롭게 투입된 변수들 중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변수는 자기 임파워먼트(β=0.
5%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앞 단계 변수들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 새롭게 투입된 네트워크 변수를 통하여 11.5%를 추가적으로 설명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단계에 새롭게 투입된 네트워크 변수(β=0.
연구 결과, 지역아동센터의 종사자들은 그들의 직무성과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직원 및 지역사회 연계”에 대한 인식이 높에 나타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일부에서는 지역아동센터의 수가 많아 경쟁구도가 나타나고 중앙 및 지자체와의 관계 등에도 원활한 관계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지역아동센터의 종사자들이 외부 관계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음을 지적하기도 하지만[24], 최근 지역아동센터에 지역사회 연계가 강조되고 있어 종사자들은 이와 관련된 긍정적인 성과에 주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관련 변인에 따른 직무성과 차이를 보면, 임파워먼트, 네트워크, 직무특성 등의 변수 등에 따른 지역 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들의 직무성과에 대한 영향요인을 검증하기 위한 4단계의 위계적 다중회귀 모형 분석 결과를 보면 각 단계별로 새로운 변수가 투입됨에 따라 직무성과의 설명력이 유의미하게 추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각 단계에서 추가된 변수들은 각기 다른 변수들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도 직무성과에 대한 독자적인 영향력을 가졌다.
또한 관련 변인에 따른 직무성과 차이를 보면, 임파워먼트, 네트워크, 직무특성 등의 변수 등에 따른 지역 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들의 직무성과에 대한 영향요인을 검증하기 위한 4단계의 위계적 다중회귀 모형 분석 결과를 보면 각 단계별로 새로운 변수가 투입됨에 따라 직무성과의 설명력이 유의미하게 추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각 단계에서 추가된 변수들은 각기 다른 변수들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도 직무성과에 대한 독자적인 영향력을 가졌다. 즉,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들의 임파워먼트, 네트워크, 직무특성 등의 요인들이 직무성과에 조건이 된다는 것이다.
우선, 지역아동 센터 종사자들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 ‘경력’ 변수가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임파워먼트를 세 영역으로 나누어 구성한 Lesile, Holzhalb & Holland(1998)의 척도[43]를 장신재(2003)가 수정·보완한 설문지[44]를 지역아동센터에 맞도록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척도는 자기 임파워먼트 8문항, 조직구성원 임파워먼트 8문항, 클라이언트 관계변화 임파워먼트 10문항으로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은 5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임파워먼트 정도가 높은 것으로 측정한다.
후속연구
그렇지만 지역아동센터가 아동복지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개별 프로그램 및 서비스에 대한 만족 뿐 아니라 사회복지서비스 책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사회복지사 활동의 성과가 평가되어야 한다. 이로서 지역아동센터의 목표달성 및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사복지사들의 직무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본질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것이다.
우선, 지역아동센터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종합적인 아동복지를 실현할 수 있는 위상을 확보하기 위하여 방과후 돌봄보다 종합적인 아동복지정책의 서비스 전달체계로서 그 기능과 역할이 구체화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다 실천적인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해 본다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전문적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및 보수교육 등의 지원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는 아동 및 가족 서비스에 대한 전문적 지식 및 기술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자기계발 프로그램 등이 필요하며 클라이언트 및 클라이언트 가족과의 관계 증진을 위한 관계중심 프로그램 개발 및 훈련 등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아동센터란 무엇인가?
지역아동센터는 아동복지법 제52조 8항에 의해 지역 사회 아동의 보호, 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의 제공, 보호자와 지역사회의 연계 등 아동의 건전육성을 위하여 종합적인 아동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을 말한다. 지역아동센터는 2004년 정부지원과 함께 법제화되어 꾸준히 증가하여 2012년 12월 말 현재 4,036개소가 운영 중으로 아동복지시설 중 가장 많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및 아동복지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대한 관심은 무엇으로부터 시작되었는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및 아동복지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각종 교육 제공과 매뉴얼 및 운영관리 시스템에 대한 지원[1]이 확대되고 있으며, 지역아동센터 의 평가체계 구축 및 이에 근거한 컨설팅을 실시함으로써 지역아동센터 운영·관리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도모하고자 하고 있다[1]. 특히 이러한 질적 향상에 대한 관심은 2009년 지역아동센터 평가에서 시작되었는데, 이를 통해 지역아동센터의 공공성, 책무성, 서비스의 질 향상 등을 점검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24].
지역아동센터는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가?
현재 우리나라 아동복지시설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 하는 지역아동센터는 취약계층 아동 보호기능 뿐 아니라 교육적 기능, 문화적 기능, 복지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아동센터는 지역사회 최전선에 위치 하여 아동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아동의 권리보호 및 체계적 사례관리를 수행하고 있으며, 지역사회 내 인적·물적 자원을 연계함으로써 통합적인 아동지원 체계를 구축하려 하고 있다[1].
Y. Hasenfeld, "The Nature of Human Service Organizations," In Y. Hasenfeld(Ed.), Humans Services as Complex Organizations, Newbury Park, Ca: Sage, 1992.
김경희,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 결정 변인에 관한 연구-서울지역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실천 창간호, pp.73-116, 2002.
A. Kadushin, Supervision in Social Work(3rd. ed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2
변숙영,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인식도에 관한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제12권, 제4호, 2010.
R. P. Tett and J. P. Meye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path analysis based on meta analytic finding," Personal Psychology, Vol.46, No.2, pp.259-293, 1993
I. Millar, "Performance appraisal of professional social workers,"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Vol.14, No.1, pp.65-85, 1990.
D. R. Leslie, C. M. Holzhalb, and T. P. Holland, "Measuring Staff Empowerment: Development of a Worker Empowerment Scale,"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Vol.8, No.2, pp.212-222, 1998.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