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외식 식품 중 밥류와 국(탕) 및 찌개류의 베타카로틴과 레티놀 함량 분석 연구
β-Carotene and Retinol Contents in Bap, Guk (Tang) and Jjigae of Eat-out Korean Fo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2, 2013년, pp.1958 - 1965  

김진영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소라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신정아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천지연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연지영 (식품의약품안전처 영양안전정책과) ,  이우영 (식품의약품안전처 영양안전정책과) ,  이기택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가 식품영양성분 자료구축을 위하여 국내에서 유통되는 외식식품의 베타카로틴레티놀의 함량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조사된 시료는 강원도, 경기도, 경상도, 서울, 전라도, 충청도의 6개 지역에서 수거한 밥류(26종)와 국(탕) 및 찌개류(21종)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조사된 모든 시료의 베타카로틴의 함량은 레티놀의 함량에 비하여 높게 분석되었으며, 레티놀의 함량은 대부분의 시료에서 0.000 ${\mu}g/100g$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었다. 밥류 중 조사된 8종의 김밥류의 베타카로틴 함량은 100.496~754.869 ${\mu}g/100g$의 수준에서 분석되었으며, 일반 김밥류에 비하여 삼각김밥류의 베타카로틴과 레티놀의 함량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볶음밥류의 베타카로틴 함량은 28.933~404.338 ${\mu}g/100g$의 수준에서, 레티놀 함량은 2.679~33.970 ${\mu}g/100g$의 수준에서 분석되었다. 초밥류의 경우 베타카로틴 함량이 0.000~41.234 ${\mu}g/100g$으로, 레티놀 함량이 0.000~31.783 ${\mu}g/100g$으로 나타나 조사된 밥류 중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범위의 베타카로틴과 레티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비빔밥의 베타카로틴과 레티놀 함량은 각각 200.091~489.867과 7.271~23.880 ${\mu}g/100g$의 범위에서 나타났다. 한편 국(탕) 및 찌개류의 베타카로틴 함량은 추어탕에서 346.261~843.947 ${\mu}g/100g$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찌개류의 경우 41.670~352.604 ${\mu}g/100g$의 범위에서, 국류는 7.886~211.932 ${\mu}g/100g$의 범위에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경상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동태찌개에서의 레티놀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라도(26.446 ${\mu}g/100g$), 강원도(82.322 ${\mu}g/100g$), 경기도(131.708 ${\mu}g/100g$), 서울(182.480 ${\mu}g/100g$), 충청도(189.112 ${\mu}g/100g$)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도가니탕, 곰탕, 내장탕, 추어탕, 콩나물해장국에서는 레티놀이 검출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beta}$-carotene and retinol in bap (e.g. gimbap, bokkeumbap, sushi, deopbap, bibimbap), guk (e.g. sundaeguk, seonjiguk), tang (e.g. galbitang, chueotang), and jjigae (e.g. dongtaejjigae, kimchi jjigae with port) by using saponif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가 식품영양성분 자료구축을 위하여 국내에서 유통되는 외식식품의 베타카로틴과 레티놀의 함량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조사된 시료는 강원도, 경기도, 경상도, 서울, 전라도, 충청도의 6개 지역에서 수거한 밥류(26종)와 국 (탕) 및 찌개류(21종)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외식식품 중 밥류(26종)와 국(탕) 및 찌개류(21종)에 함유된 베타카로틴과 레티놀의 성분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고 국가 식품영양성분 자료구축을 위하여 강원도, 경기도, 경상도, 서울, 전라도, 충청도의 6개 지역에서 수거된 시료에 함유되어 있는 베타카로틴과 레티놀의 함량을 직접 검화법과 용매추출법을 병행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유통되는 외식식품의 베타카로틴과 레티놀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볶음밥류의 베타카로틴 함량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869 μg/100 g 의 수준에서 분석되었으며, 일반 김밥류에 비하여 삼각김밥 류의 베타카로틴과 레티놀의 함량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볶음밥류의 베타카로틴 함량은 28.933∼404.338 μg/100 g의 수준에서, 레티놀 함량은 2.679∼33.
베타카로틴이란? 최근 외식 의존도가 높아지는 식생활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고, 따라서 국내 외식 식품들에 대한 베타카로틴과 레티놀 함량 조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인체 내에서 항산화 및 노화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 성분 중의 하나인 베타카로틴(β-carotene)은 두 개의 β-ionone 핵을 가지고 있는 레티놀(비타민 A)의 전구체이기 때문에 섭취 후 α-, γ-carotene 등의 다른 carotenoid계 물질에 비하여 보다 많은 비타민 A로의 전환을 기대할 수 있다(1, 2). 식품과 식물체에 존재하는 베타카로틴은 다른 영양성분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양을 함유하고 있으며, 분석 시 회수율도 낮다고 알려져 있다(3,4).
식품과 식물체에 존재하는 베타카로틴은 어떤 특징을 갖는가? 인체 내에서 항산화 및 노화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 성분 중의 하나인 베타카로틴(β-carotene)은 두 개의 β-ionone 핵을 가지고 있는 레티놀(비타민 A)의 전구체이기 때문에 섭취 후 α-, γ-carotene 등의 다른 carotenoid계 물질에 비하여 보다 많은 비타민 A로의 전환을 기대할 수 있다(1, 2). 식품과 식물체에 존재하는 베타카로틴은 다른 영양성분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양을 함유하고 있으며, 분석 시 회수율도 낮다고 알려져 있다(3,4). 또한 레티놀(비타민 A)과 베타카로틴은 산화에 불안정한 화합물이며, 열과 자외선 조사에 의해 파괴되기 쉽기 때문에 이들 성분들의 정량 분석에 관한 정확성, 재현성, 안정성이 높은 분석법 검증 연구가 수행되었다(5-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a JL, Bae JS, Park MK, Kim YU, Ha SH, Bae JM, Back K, Lee CH, Lee SW, Ahn MJ. 2009. Quantitative analysis of carotenoids in carrot cultivars produced in Korea. J Env Sci 18: 1135-1141. 

  2. Raja R, Hemaiswarya S, Rengasamy R. 2007. Exploitation of dunaliella for β-carotene production. Appl Microbiol Biotechnol 74: 517-523. 

  3. van het Hof KH, West CE, Weststrate JA, Hautvast JG. 2000. Dietary factors that affect the bioavailability of carotenoids. J Nutr 130: 503-506. 

  4. Jaramillo-Flores ME, Lugo-Martinez JJ, Ramirez-Sanjuan E, Montellano-Rosales H, Dorantes-Alvarez L, Hernandez-Sanchez H. 2005. Effect of sodium chloride, acetic acid, and enzymes on carotene extraction in carrots (Daucus carota L.). J Food Sci 70: S136-S142. 

  5. Rojas-Garbanzo C, Perez AM, Bustos-Carmona J, Vaillant F. 2011.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carotenoids by HPLC-DAD during the process of peach palm (Bactris gasipaeds H.B.K) flour. Food Res Int 44: 2377-2384. 

  6. Taylor KL, Brackenridge AE, Vivier MA, Oberholster A. 2006.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profiling of the major carotenoids in Arabidopsis thaliana leaf tissue. J Chromatogr A 1121: 83-91. 

  7. Symonds RC, Kelly MS, Suckling CC, Young AJ. 2009. Carotenoids in the gonad and gut of the edible sea urchin Psammechinus miliaris. Aquaculture 288: 120-125. 

  8. Lee JS, Everts HB, Berdanier CD, Eitenmiller RR. 2001. Comparison of HPLC and spectrofluorimetric assays of all trans-retinol in hepatic tissue. Food Sci Biotechnol 10: 682-685. 

  9. Noll GN. 1996. High-pe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of retinal and retinol isomers. J Chromatogr A 721: 247-259. 

  10. Thibeault D, Su H, Mac Namara E, Schipper HM. 2009. Isocratic rapid liquid chromatographic method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arotenoids, retinol, and tocopherols in human serum. J Chromatogr B Analyt Technol Biomed Life Sci 877: 1077-1083. 

  11. Thomas JB, Kline MC, Gill LM, Yen JH, Duewer DL, Sniegoski LT, Sharpless KE. 2001. Preparation and value assignment of Standard Reference Material 968c fat-soluble vitamins, carotenoids, and cholesterol in human serum. Clin Chim Acta 305: 141-155. 

  12. Choe JS, Chun HK, Park HJ. 2001. International comparison of food composition table. Korean J Commun Living Sci 12: 119-135. 

  13.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2. NLS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Analytical Methods. Osong, Korea. p 99-111. 

  14.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11. Food Component Table. 8th revis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 25, 71, 311, 473. 

  1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0. 1st revision. Seoul, Korea. p 149-165. 

  16. Choe JS. 2003. Study on frequently consumed dishes and menu patterns of middle-aged housewives for 1 ye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64-778. 

  17. Kim US, Han MJ. 2008. A literature review examining the ingredients and cooking methods of the side dishes in Chosunmusangsinsikyorijebub(I)-Tang (guk), Changguk, Gigimi, Chigye, Chim, Chorim?Cho, Baeksuk, Hoei, Pyunyook-. Korean J Food Culture 23: 427-43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