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의 경제생활에 대한 생생한 이야기에 귀기울이고, 경제생활 경험의 역동성을 심층적인 면담을 통해 그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질문은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하는 경제생활의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연구결과, 의미 있는 진술 67개를 추출하였고, 15개의 중심 의미를 조직하였다. 15개의 중심 의미는 '팍팍한 삶', '자녀교육비, 보험료 등의 소득 불안', '적응을 위한 생활방식의 변화 도모', '일자리를 통한 경제안정을 추구', '친정가족에 대한 지원과 회귀 기대'라는 5개의 주제 묶음으로 범주화하였다. 연구자는 해석학적 글쓰기 적용을 위해 1인칭 화자를 통해 구조적 기술을 하였다. 즉, 결혼이주여성이 체험한 한국의 경제생활의 의미는 '팍팍한 현실을 적응해 나가기 위한 생활방식의 변화를 추구하며 가족중심의 힘겨운 대처과정' 이었다. 이러한 진술을 통해 결혼이주여성 부부의 안정적인 노후경제생활을 위해 국민연금의 (가칭)'부부합산' 제도의 적용으로 노령연금의 수급의 기회를 확대하는 정책의 적극 도입 등 다양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의 경제생활에 대한 생생한 이야기에 귀기울이고, 경제생활 경험의 역동성을 심층적인 면담을 통해 그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질문은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하는 경제생활의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연구결과, 의미 있는 진술 67개를 추출하였고, 15개의 중심 의미를 조직하였다. 15개의 중심 의미는 '팍팍한 삶', '자녀교육비, 보험료 등의 소득 불안', '적응을 위한 생활방식의 변화 도모', '일자리를 통한 경제안정을 추구', '친정가족에 대한 지원과 회귀 기대'라는 5개의 주제 묶음으로 범주화하였다. 연구자는 해석학적 글쓰기 적용을 위해 1인칭 화자를 통해 구조적 기술을 하였다. 즉, 결혼이주여성이 체험한 한국의 경제생활의 의미는 '팍팍한 현실을 적응해 나가기 위한 생활방식의 변화를 추구하며 가족중심의 힘겨운 대처과정' 이었다. 이러한 진술을 통해 결혼이주여성 부부의 안정적인 노후경제생활을 위해 국민연금의 (가칭)'부부합산' 제도의 적용으로 노령연금의 수급의 기회를 확대하는 정책의 적극 도입 등 다양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isten to vivid story on economic lif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using phenomenological study out of qualitative study methods, and to analyze the meaning of dynamicity of experienc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research question is "What is the meaning of ec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isten to vivid story on economic lif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using phenomenological study out of qualitative study methods, and to analyze the meaning of dynamicity of experienc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research question is "What is the meaning of economic life that marriage immigrant women experience?" From the research, 67 meaningful statements were abstracted and 15 core meanings were organized. The 15 core meanings were categorized as 5 theme categories such as 'Tough Life', 'Unstable Income such as Children Education Expense and Insurance Premium', 'Search for Changes in Life Style for Adaptation', 'Pursuit of Economic Stability through Employment', 'Expectation of Supports and Return to Married Woman's Parents' Home.' The researcher made structural description through first person speaker for the application of hermeneutical writing. In other words, the meaning of economic lif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in Korea is 'difficult coping process to family-oriented culture pursuing changes in life style to adapt themselves to difficult reality.' Various undertones of practice were proposed through those statements such as policy to expand opportunities to receive an old-age pension by applying 'Joint Scheme for Couples' (Virtual Name) to People's pension for stable economic lif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in old 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isten to vivid story on economic lif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using phenomenological study out of qualitative study methods, and to analyze the meaning of dynamicity of experienc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research question is "What is the meaning of economic life that marriage immigrant women experience?" From the research, 67 meaningful statements were abstracted and 15 core meanings were organized. The 15 core meanings were categorized as 5 theme categories such as 'Tough Life', 'Unstable Income such as Children Education Expense and Insurance Premium', 'Search for Changes in Life Style for Adaptation', 'Pursuit of Economic Stability through Employment', 'Expectation of Supports and Return to Married Woman's Parents' Home.' The researcher made structural description through first person speaker for the application of hermeneutical writing. In other words, the meaning of economic lif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in Korea is 'difficult coping process to family-oriented culture pursuing changes in life style to adapt themselves to difficult reality.' Various undertones of practice were proposed through those statements such as policy to expand opportunities to receive an old-age pension by applying 'Joint Scheme for Couples' (Virtual Name) to People's pension for stable economic lif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in old age.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일련의 선행연구들에서는 한국생활에의 적응문제, 언어 및 문화적 차이로 인한 어려움과 동시에 경제적 문제, 한국인 배우자 가족과의 관계 등으로 인해 삶의 만족도가 대체로 낮은 편임을 보고하고 있다.[2][3] 특히, 동남아시아 지역을 출신배경으로 하는 이주여성들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낮은 경제적 지위와 열악한 문화자본으로 인해 자국의 여성들과 결혼하기 어려운 남성들과의 결혼은 경제적 좌절의 이중고를 초래한다.
국제결혼을 통한 이주여성의 특징은 무엇인가?
사회적으로 평등한 경제활동 참여기회가 부여되어야 하며, 경제적으로 가족과 본인의 삶의 질의 확보를 통해 건강한 한국사회의 일원으로 생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국제결혼을 통한 이주여성들의 경우, 이들이 더 나은 삶을 위한 선택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한국인으로서의 새로운 삶을 출발하는 순간부터 사회경제적으로 열악한 계층에 속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1]
본 논무에서 수행한,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한 한국의 경제생활의 의미를 내부자적 관점으로 이해하고자 한 연구 결과의 실천적 함의는 무엇인가?
첫째, 결혼이주여성은 현실의 팍팍한 삶에 그저 수동적으로 기대어 사는 삶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계획’하는 성숙한 삶을 살아가려는 부단한 노력을 한다는 점이다.
둘째, 남편과의 나이차이는 가정내의 경제생활의 중대한 위기로 작용하고 있어,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직업교육과 적합 직종의 개발을 통한 일자리 제공이 요구된다.
셋째, 결혼이주여성 부부의 안정적인 노후경제생활을 위해 국민연금의 (가칭)‘부부합산’ 제도의 적용으로 노령연금의 수급의 기회를 확대하는 정책이 적극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결혼에 앞서 시행하고 있는 다문화 교육과 병행하여 주기적인 남편의 아내국가에 대한 이해교육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3)
H. J. Jang. Rational choice and the reality of Multicultural Migrant. Korea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25. No. 4. pp. 189-213. 2011.
G. Y. Kweon and K. W. Park. A Study on Influence Factors to the Mental Health of Foreign Wives. Social Research. No. 14. pp. 187-219. 2007.
S. Y. Park, S. J. Ha, J. Y. Song, H. S. Ahn, H. W. Cho and S. Y. Park. The Relations between Concepts of Children, Parent Role Beliefs, Life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in Korean-Japanese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27. No. 6. pp. 43-54. 2009.
K. H. Bae and S. J. Kim.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 Regards to the Influence that Family Income and Job Status have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Korean Jounal of Social Welfare. Vol. 64. No. 3. pp. 5-27. 2012.
Y. S. Kim and K. M. Lee. The Qualitative study about parent's in law of multiculture family- Hermeneutical grounded theory metholog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42. No. 2. pp. 71-96. 2011.
Y. S. Kim. A Study of the creation mechanism of exclusion against the immigran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44. No. 2. pp. 5-33. 2013.
H. H. Lee. A Study on the Meanings and Types of Married Immigrant Women's Community Participa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17, No. 3, pp. 143-155, 2012.
H. H. Lee. A Qualitative Study on Marriage Migrant Women's Experience in the World of Lif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3, No. 1, pp. 269-277, 2013.
I. S. Yang. M. S. Min and S. H. Kim. Economic Activities of Women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and Their Employment Policies,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0.
Y. K. Kim, H. M. Choe, K. H. Kim and S. M. Seong. The Change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ocial Welfare Policie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K. R. Shin, "Criteria for Critique of Qualitative Nursing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26, No. 2. pp. 497-506. 1996.
P. E. Colazzi.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 it existential phenomenology. New York: Qxford University Press. 1978.
Y. Lincoln and E. Guba. The Impact of illness on later life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 1. pp. 65-172. 1985.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