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통예방 중재 프로그램이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후 환자의 요통완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Back Pain Prevention Intervention Program on Back Pain Relief in Patients Follow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6 no.2, 2013년, pp.100 - 111  

이혜경 (혜전대학교 간호학과) ,  박연숙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back pain prevention intervention program on reducing back pain of patients undergo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Method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관상동맥 중재술 후 침상 안정하는 동안 부동자세로 인해 환자들이 경험하는 요통 완화의 효과와, 출혈, 배뇨장애, 코티졸의 정도를 파악하여 요통예방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하게 되었다.
  • 본 연구는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후 침상 안정하는 환자에게 적용한 요통예방 중재 프로그램이 대상자의 요통완화와 출혈, 배뇨장애 및 코티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요통예방 중재 프로그램 적용이 관상동맥 중재술 후 대상자의 출혈 발생에 유의한 차이 없이 요통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은 환자에게 중재술 4시간 후부터 요통예방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요통과 출혈과 배뇨장애 및 코티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후 실험군은 요통에 대해 완화 효과가 대조군보다 효과적이었고, 출혈에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뇨장애 완화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코티졸 수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본 연구는 관상동맥 중재술 후 적용한 요통예방 중재 프로그램이 출혈의 증상 없이 요통완화와 배뇨장애, 코티졸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요통예방 중재 프로그램 적용이 경피적관상동맥 중재술 후 환자의 요통완화, 출혈, 배뇨장애, 코티졸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후 침상 안정하는 환자에게 적용한 요통예방 중재 프로그램이 대상자의 요통완화와 출혈, 배뇨장애 및 코티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요통예방 중재 프로그램 적용이 관상동맥 중재술 후 대상자의 출혈 발생에 유의한 차이 없이 요통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2. 관상동맥 중재술 후 요통예방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요통예방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과 출혈 정도에 차이가 없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골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 중재술의 장단점은 각각 무엇인가? 최근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요골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 중재술은 혈관 합병증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으나, 접근 방법에 있어 기술적인 어려움과 요골 동맥 접근을 위해 방사선 노출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Jolly, Amlani, Hamon, Yusuf, & Mehta, 2009). 반면 대퇴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 중재술은 접근이 용이하고, 신경손상이 적어 시술이 편리하다는 장점으로 자주 시행되고 있으나 대퇴동맥에 굵은 유도 도관을 삽입해 시술하게 되고 혈전예방을 위해서 항응고제를 투여하므로 출혈, 혈종, 가성 동맥류, 동정맥 누공, 대퇴동맥 혈전, 천자 부위의 감염 등과 같은 혈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Hoglund, Stenestrand, Todt, & Johansson, 2011).
관상동맥질환을 극복하기 위한 치료 기술 중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무엇인가? 1명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2). 이와 같이 심장질환의 사망률이 증가함에 따라 관상동맥질환을 극복하기 위한 치료 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시행되어 왔으나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이다.
NRS는 어떤 정보를 표시하는가? 관상동맥 중재술 후 침상안정을 취하는 환자에게 요통 자가 보고를 측정하기 위해 Melzack (1975)의 NRS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대상자가 스스로 자신이 느끼는 통증의 정도를 표시하는 것으로 왼쪽 끝 “전혀 아프지 않다”를 0으로 오른쪽 끝 “매우 아프다”를 10으로 하여 0에서 10까지의 수평선상을 균등하게 10개의 눈금으로 나누어 대상자가 느끼는 통증의 정도를 숫자로 표시하도록 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요통이 심한 것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llen, D. S., Marso, S. P., Lindsey, J. B., Kennedy, K. F., & Safely, D. M. (2011). Comparison of bleeding complications using arterial closure device versus manual compression by propensity matching in patients undergo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107 (11), 1619-1623. http://dx.doi.org/10.1016/j.amjcard.2011.01.049 

  2. Augustin, A. C., Quadros, A. S., & Samento-Leite, R. E. (2010). Early sheath removal and ambulation in patients submitted to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 randomised clinical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7 (8), 939-945.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10.01.004 

  3. Baith, R. W., Pllock, M. L., Lowenthal, D. T., Graves, J. E., & Limacher, M. C. (1994). Moderate- and high-intensity exercise lowers blood pressure in normotensive subjects 60 to 79 years of age.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73, 1124-1128. http://dx.doi.org/10.1016/0002-9149(94)90294-1 

  4. Chair, S. Y., Thompson, D. R., & Li, S. K. (2007). The effect of ambulation after cardiac catheterization on patient outcom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6 (1), 212-214.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6.01599.x 

  5. Cheng, K. K. Y., & Chair, S. Y. (2010). Prolonged bed rest duration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The World of Critical Care Nursing, 7 (2), 111-114. 

  6.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7. Hahn, S. W. (2002). The effects of exercise therapy an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for the alleviation of low back pain after coronary angiograph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4 (2), 222-232. 

  8. Hoglund, J., Stenestrand, U., Todt, T., & Johansson, I. (2011). The effect of early mobilisation for patient undergoing coronary angiography: A pilot study with focus on vascular complications and back pain.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10 (2), 130-136. http://dx.doi.org/10.1016/j.ejcnurse.2010.05.005 

  9. Huang, Y. H., & Chen, C. H. (2010). Nursing experience providing care for back pain follow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Hu Li Za Zhi The Journal of Nursing, 57 (2), S75-80. 

  10. Jolly, S. S., Amlani, S., Hamon, M., Yusuf, S., & Mehta, S. R. (2009). Radial versus femoral access for coronary angiography or intervention and the impact on major bleeding and ischemic ev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American Heart Journal, 157 (1), 132-140. http://dx.doi.org/10.1016/j.ahj.2008.08.023 

  11. Kim, M. H., Han, M. J., Lee, J. E., & Lee, J. M. (2007). Effects of exercise and ice pack therapy on discomfort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 (1), 185-196. 

  12. Kim, Y. S., & Bae, C. U. (2003). The effects of regular walking exercise and jogging exercise on plasma $\beta$ -endorphin, prolactin, cortisol. Journal of Korea Sport Research, 14 (3), 541-550. 

  13. Ko, E. J., Chae, Y. R., & Lee, D. S. (2008). Effects of exercise on relief of low back pain in patients on absolute bed rest after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 (2), 171-177. 

  14. Koh, C. K. (2007). Patients' anxiety in intensive care units and its related fac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4), 586-593. 

  15. Lasic, Z., Nikolsky, E., Kesanakurthy, S., & Dangas, G. (2005). Vascular closure devices: A review of their use after invasive procedures. American Journal of Cardiovascular Drugs, 5 (3), 185-200. 

  16. Lee, H. K., Kang, S. Y., & Lee, C. O. (2011). The effects of exercise therapy on low back pain, self-urination disorder, bleeding and hematoma in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 (1), 35-45. 

  17. Melzack, R. (1975). The McGill pain questionnaire: Major properties and scoring methods. Pain, 1 (3), 277-299. http://dx.doi.org/10.1016/0304-3959(75)90044-5 

  18. Moser, D. K., & Dracup, K. (1996). Is anxiety early after myocardial infarction associated with subsequent ischemic and arrhythmic events? Journal of Biobehavioral Medicine: Psychosomatic Medicine, 58 (5), 395-401. 

  19. Nam, S. Y., & Choi-Kwon, S. (2010). The effects of Fowler's position change on back pain and discomfort of the patients follow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7 (1), 55-64. 

  20. Park, J. S., Kim, E. S., & Park, C. J. (2004). The effects of the slow stroke back massage on discomfort in patients following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9 (2), 56-67. 

  21. Qiu, Y. G., Zheng, L. R., Chen, J. Z., Zhu, J. H., Zhang, F. R., Xu, Y., et al. (2003). Psychologic status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in patients suspected of coronary disease before and after coronary catheterization. Zhonghua Liu Xing Bing Xue Za Zhi, 24 (3), 224-228. 

  22. Reynolds, S., Waterhouse, K., & Miller, K. H. (2001). Head of bed elevation, early walking, and patient comfort after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20 (3), 44-51. 

  23. Schiks, I. E., Schoonhoven, L., Aengevaeren, W. R., Nogarede-Hoekstra, C., Achterberg, T., & Verheugt, F. W. (2009). Ambulation after femoral sheath removal in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 prospective comparison of early vs. late ambulatio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8 (13), 1862-1870.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8.02587.x 

  24. Scriver, V., Crowe, J., Wilkinson, A., & Meadowcroft, C. (1994).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 and/or alternating air mattress in the control of back pain after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The Journal of Acute and Critical Care: Heart & Lung, 23 (4), 308-316. 

  25. Statistics Korea. (2012).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Retrieved September, 25, 2013.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ndex.static 

  26. Trotter, R., Gallagher, R., & Donoghue, J. (2011). Anxiety in patients undergo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s. The Journal of Acute and Critical Care: Heart & Lung, 40 (3), 185-192. http://dx.doi.org/10.1016/j.hrtlng.2010.05.054 

  27. Yun, S. Y., & Cho, B. H. (2011). The effects of heat therapy on low back pain,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 (3), 348-3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