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학교육인증을 위한 프로그램 레벨의 CQI 구현 방안
A Method Enabling Program-Level CQI for Accredit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16 no.4, 2013년, pp.21 - 29  

심춘보 (순천대학교 공과대학) ,  박동국 (순천대학교 공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redit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as initiated by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ABEEK) centers around three key issues: program outcomes, assessment/evaluation thereof, and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CQI). Most engineering departments, however, are neither adequ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과목 → 학년 → 프로그램으로 이어지는 3 계층 구조의 CQI를 제안하게 되었다.
  • 이렇게 프로그램 전 교과과정을 일련의 성장 프로세스로 보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단위 교과목에서 학년, 학년에서 프로그램 전체로 이어지는 CQI가 필요하며, 본 논문은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국내 대학의 CQI는, 각 교과목의 CQI 보고서와 4학년 종합설계/캡스톤디자인 교과목 평가 결과라는 두 가지 문서화로 머물고 있으며, 이들 간의 유기적 연결이 희박하다.
  • 이하 각 절에서는, CQI의 기본자료라고 할 수 있는 학습성과 성취도를 어떻게 측정하고 활용할 것인지와, 교과목/학년/프로그램 CQI를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에 관해 자세히 기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성과는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학습성과(PO)는 성장형 학습성과와 완수형 학습성과로 나눌 수 있다. 완수형 학습성과는 비록 그 학습성과가 저학년 교과목에서 다루어지더라도, 그 성취도의 측정 결과를 졸업예정자들의 학습성과 달성도 여부를 판단하는 데 바로 쓸 수 있다고 본다.
국내 대학들의 공익인증 구현사례를 조사해 본 결과 CQI 체계는 대개 어떤 측면에 집중되어 있는가? • 재학생/졸업생/산업체 설문 • 졸업예정자 학습성과 성취도 측정 및 달성도 여부 결정(4학년 종합설계/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이용) • 위 결과를 프로그램 교육목표/프로그램 학습성과/교육과정의 개선에 반영ƒ 단위 교과목 안에서 학생들의 학습성과 성취도를 측정/평가하고, 그 결과를 다음 학년 동일 교과목의 개선에 반영
공학인증이란? 공학인증이란, 학생들이 4년의 교과과정을 이수해가면서 학습 성과에 해당되는 능력을 어떻게 습득하고 향상시켜 가는지를 꾸준히 관찰/평가하여 약점/문제점이 있다면 이에 대한 적절한 개선책을 마련하고 시행함으로써, 학생들이 학습성과를 달성하고 졸업할 수 있도록 하자는 체계적인 CQI 교육체계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각 교과목 안에서 학습성과를 계획하고 운영한 결과인 학생들의 학습성과 성취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작업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11). 2011년 평가위원 워크숍, 판정가이드 II - 인증기준 3,4,5. 

  2. ABET (2004). Guidelines to Institutions, Team Chairs and Program Evaluators on Interpreting and Meeting the Standards Set Forth in Criterion 3 of the Engineering Accreditation Criteria. 

  3. ABET (2007). Criteria for Accrediting Engineering Programs: Effective for Reviews During the 2007-2008 Accreditation Cycle. 

  4. ABET (2012). Criteria for Accrediting Engineering Programs: Effective for Reviews During the 2012-2013 Accreditation Cycle. 

  5. Albridge, M. D. (2007). [RE: ABET Questions]. 

  6. Kranov, Ashley Ater, Milligan, Michael, & Sussman, Joseph (2011). ABET Presents - Dispelling Myths: Common Misconceptions About ABET & Accredittion. Presentation at the 2011 ASEE Annual Conference, Vancouber, BC, Canada. 

  7. Danielson, S., & Rogers, B. (2007). A methodology for direct assessment of student attainment of program outcomes. Proceedings of 2007 ASEE Annual Conference and Exposition, Honolulu, HI. 

  8. Maki, P. L. (2004). Assessing for Learning: Building a Sustainable Commitment Across the Institution. Stylus Publishing. 

  9. Mead, P. F., Turnquest, T. T., & Wallace, S. D. (2006). Work in Progress: Practical Framework for Engineering Outcomes Based Teaching and Assessment - A Catalyst for the Creation of Faculty Learning Communities. Proceedings of the 36th ASEE/IEEE Frontiers in Education Conference (FIE 2006). 

  10. Memon, Q. A., Harb, A., & Khoja, S. (2012). Specialization- Specific Course Assessments Integrated for Program Assessment. Education Research International, 2012. 

  11. Soundarajan, N. (1999). Engineering Criteria 2000: The impact on engineering education. Proceedings of the 29th ASEE/IEEE Frontiers in Education Conference (FIE 99). 

  12. Soundarajan, N. (2004). Program assessment and program improvement: closing the loop. 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29(5): 597-610. 

  13. Prados, J. W., Peterson, G. D. & Lattuca, L. R. (2005). Quality assurance of engineering education through accreditation: The impact of Engineering Criteria 2000 and its global influence.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94(1), 165-184. 

  14. Rahemi, H., & Seth, N. (2008). Student Learning Outcomes: An Integrated Continuous Improvement Process for Course and Program Assessment.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2(2), 54-62. 

  15. Shryock, K. J., & Reed, H. L. (2009). ABET Accreditation - Best Practices for Assessment. Proceedings of the 2008 ASEE Gulf-Southwest Annual Conference, The University of New Mexico, Albuquerqu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