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현병 환자의 인지기능과 뇌 사건유발전위의 관계
Cognitive Abilities and Auditory Event Related Potential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원문보기

생물정신의학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v.19 no.3, 2012년, pp.115 - 120  

김가영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민정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채정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Event-related potentials have been suggested as an objective marker for brain functions in psychiatric disorders.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300, the mismatch negativity (MMN), the loudness dependence of the auditory evoked potential (LDAEP), demogra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제까지 조현병 환자에서 P300과 인지기능의 연관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MMN, LDAEP 및 인지기능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현병 환자들에게서 청각자극 ERP로 측정한 P300, MMN, LDAEP와 신경인지학적 기능들이 얼마나 서로 연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본 저자들은 임상 환경에서 얻을 수 있는 병력 및 약물력, 총괄기능평가척도(global assessment functioning, 이하 GAF)로 평가되는 조현병 환자의 상태와 ERP 지표와의 상관관계도 조사하였다.
  • 연구는 2010년 3월부터 2011년 7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ERP를 시행받은 환자의 의무기록을 조사한 후향적 연구이다. 이 중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IV-TR(이하 DSMIV-TR)17)에 의거해 조현병으로 진단받은 18세 이상 65세 미만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 원숭이를 대상으로 하였던 Javitt 등35) 은 장기 기억 수용 및 작동 기억 능력과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는 NMDA 수용체 체계 및 MMN의 관련성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NMDA 수용체 체계와 연관되어 있는 MMN 역시 조현병의 정신병리와 연관이 있을 것이라 추측 하게 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조현병 환자의 인지기능 수행과 MMN과의 유의한 연관성은 찾지 못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 사건유발전위의 장점은 무엇인가? 뇌 사건유발전위(event related potential, 이하 ERP)는 특정한 시간 내 자극 제시를 처리하는 뇌의 전기적 활동을 조사 하는 신경생리학적 방법 중 하나로, 단시간에 일어나는 인지정보 처리 과정(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을 이해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ERP는 자극을 주었을 때 발생하는 짧은 시간 내의 뇌의 전기적 처리과정을 해석할 수 있으며 동시에 측정한 인지기능의 행동 변인과의 관련성을 평가할 수 있을 정도로 시간 해상도가 뛰어난 장점이 있다. 조현병 환자에서 활발히 연구되었던 P300은 특정 자극을 준 후 300~400 msec 후에 최고치에 도달하는 파형을 얻는 방식으로 측정하는 ERP2)로 특정 자극과 관련한(state-task specific) 주의력과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조현병은 어떤 손상이 큰 질환인가? 조현병은 양성 증상, 음성 증상 및 인지기능 저하1)를 동반하며 기능손상이 현저한 정신병적 질환으로, 최근 환자들의 조기 사회 복귀 및 재활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여러 문제 영역 중에서 특히 인지기능 이해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뇌 사건유발전위란 무엇인가? 뇌 사건유발전위(event related potential, 이하 ERP)는 특정한 시간 내 자극 제시를 처리하는 뇌의 전기적 활동을 조사 하는 신경생리학적 방법 중 하나로, 단시간에 일어나는 인지정보 처리 과정(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을 이해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ERP는 자극을 주었을 때 발생하는 짧은 시간 내의 뇌의 전기적 처리과정을 해석할 수 있으며 동시에 측정한 인지기능의 행동 변인과의 관련성을 평가할 수 있을 정도로 시간 해상도가 뛰어난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Homayoun S, Nadeau-Marcotte F, Luck D, Stip E. Subjective and objective cognitive dysfunction in schizophrenia-is there a link? Front Psychol 2011;2:148. 

  2. King FA. Handbook of Behavioral Neurobiology. New York: Plenum Press;1978. p.345-363. 

  3. Ford JM, Mathalon DH, Marsh L, Faustman WO, Harris D, Hoff AL, et al. P300 amplitude is related to clinical state in severely and moderately ill patients with schizophrenia. Biol Psychiatry 1999;46:94-101. 

  4. Walhovd KB, Fjell AM. The relationship between P3 and neuropsychological function in an adult life span sample. Biol Psychol 2003;62:65-87. 

  5. Jausovec N, Jausovec K. Correlations between ERP parameters and intelligence: a reconsideration. Biol Psychol 2000;55:137-154. 

  6. McCarley RW, Faux SF, Shenton ME, Nestor PG, Adams J. Event-related potentials in schizophrenia: their biological and clinical correlates and a new model of schizophrenic pathophysiology. Schizophr Res 1991;4:209-231. 

  7. Turetsky BI, Colbath EA, Gur RE. P300 subcomponent abnormalities in schizophrenia: I. Physiological evidence for gender and subtype specific differences in regional pathology. Biol Psychiatry 1998;43:84-96. 

  8. Coburn KL, Shillcutt SD, Tucker KA, Estes KM, Brin FB, Merai P, et al. P300 delay and attenuation in schizophrenia: reversal by neuroleptic medication. Biol Psychiatry 1998;44:466-474. 

  9. Kok A. On the utility of P3 amplitude as a measure of processing capacity. Psychophysiology 2001;38:557-577. 

  10. Gaspar PA, Ruiz S, Zamorano F, Altayo M, Perez C, Bosman CA, et al. P300 amplitude is insensitive to working memory load in schizophrenia. BMC Psychiatry 2011;11:29. 

  11. Linden DE. The p300: where in the brain is it produced and what does it tell us? Neuroscientist 2005;11:563-576. 

  12. Naatanen R, Escera C. Mismatch negativity: clinical and other applications. Audiol Neurootol 2000;5:105-110. 

  13. Winkler I, Reinikainen K, Naatanen R. Event-related brain potentials reflect traces of echoic memory in humans. Percept Psychophys 1993;53:443-449. 

  14. Shenton ME, Kikinis R, Jolesz FA, Pollak SD, LeMay M, Wible CG, et al. Abnormalities of the left temporal lobe and thought disorder in schizophrenia. A quantit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N Engl J Med 1992;327:604-612. 

  15. Juckel G, Gudlowski Y, Muller D, Ozgurdal S, Brune M, Gallinat J, et al. Loudness dependence of the auditory evoked N1/P2 component as an indicator of serotonergic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a replication study. Psychiatry Res 2008;158:79-82. 

  16. Ngan ET, Yatham LN, Ruth TJ, Liddle PF. Decreased serotonin 2A receptor densities in neuroleptic-naiv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 PET study using [(18)F]setoperone. Am J Psychiatry 2000;157:1016-1018. 

  1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criteria from DSM-IV-TR.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00. p.297-316. 

  18. Yang E, Kim JH, Lee SH. Smoking behavior and loudness dependence of the auditory evoked potential among male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Korean J Psychopharmacol 2011;22:89-95. 

  19. Polich J, Howard L, Starr A. Effects of age on the P300 component of the event-related potential from auditory stimuli: peak definition, variation, and measurement. J Gerontol 1985;40:721-726. 

  20. Polich J, Howard L, Starr A. P300 latency correlates with digit span. Psychophysiology 1983;20:665-669. 

  21. Duncan-Johnson CC, Kopell BS. The Stroop effect: brain potentials localize the source of interference. Science 1981;214:938-940. 

  22. Dichter GS, van der Stelt O, Boch JL, Belger A. Relations among intelligence, executive function, and P300 event related potentials in schizophrenia. J Nerv Ment Dis 2006;194:179-187. 

  23. Ford JM, Pfefferbaum A, Roth W. P3 and schizophrenia. Ann N Y Acad Sci 1992;658:146-162. 

  24. Iwanami A, Okajima Y, Kuwakado D, Isono H, Kasai K, Hata A, et al. Event-related potentials and thought disorder in schizophrenia. Schizophr Res 2000;42:187-191. 

  25. Mathalon DH, Ford JM, Rosenbloom M, Pfefferbaum A. P300 reduction and prolongation with illness duration in schizophrenia. Biol Psychiatry 2000;47:413-427. 

  26. Mathalon DH, Ford JM, Pfefferbaum A. Trait and state aspects of P300 amplitude reduction in schizophrenia: a ret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Biol Psychiatry 2000;47:434-449. 

  27. Ilan AB, Polich J. P300 and response time from a manual Stroop task. Clin Neurophysiol 1999;110:367-373. 

  28. Wickens C, Kramer A, Vanasse L, Donchin E. Performance of concurrent tasks: a psychophysiological analysis of the reciprocity of information-processing resources. Science 1983;221:1080-1082. 

  29. Rossi A, Daneluzzo E, Mattei P, Bustini M, Casacchia M, Stratta P. Wisconsin card sorting test and Stroop test performance in schizophrenia: a shared construct. Neurosci Lett 1997;226:87-90. 

  30. Yu YW, Chen TJ, Chen MC, Tsai SJ, Lee TW. Effect of age and global function score on schizophrenic p300 characteristics. Neuropsychobiology 2005;51:45-52. 

  31. Pallanti S, Quercioli L, Pazzagli A. Relapse in young paranoid schizophrenic patients: a prospective study of stressful life events, P300 measures, and coping. Am J Psychiatry 1997;154:792-798. 

  32. Hegerl U, Juckel G, Muller-Schubert A, Pietzcker A, Gaebel W. Schizophrenics with small P300: a subgroup with a neurodevelopmental disturbance and a high risk for tardive dyskinesia? Acta Psychiatr Scand 1995;91:120-125. 

  33. Farde L, Nordstrom AL, Wiesel FA, Pauli S, Halldin C, Sedvall G. Positron emission tomographic analysis of central D1 and D2 dopamine receptor occupancy in patients treated with classical neuroleptics and clozapine. Relation to extrapyramidal side effects. Arch Gen Psychiatry 1992;49:538-544. 

  34. Huntley GW, Vickers JC, Morrison JH. Cellular and synaptic localization of NMDA and non-NMDA receptor subunits in neocortex: organizational features related to cortical circuitry, function and disease. Trends Neurosci 1994;17:536-543. 

  35. Javitt DC, Steinschneider M, Schroeder CE, Arezzo JC. Role of cortical N-methyl-D-aspartate receptors in auditory sensory memory and mismatch negativity generation: implications for schizophrenia. Proc Natl Acad Sci U S A 1996;93:11962-11967. 

  36. Oades RD, Dittmann-Balcar A, Zerbin D, Grzella I. Impaired attention-dependent augmentation of MMN in nonparanoid vs paranoid schizophrenic patients: a comparison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nd healthy subjects. Biol Psychiatry 1997;41:1196-1210. 

  37. Baldeweg T, Klugman A, Gruzelier J, Hirsch SR. Mismatch negativity potentials and cognitive impairment in schizophrenia. Schizophr Res 2004;69:203-217. 

  38. Mihailescu S, Palomero-Rivero M, Meade-Huerta P, Maza-Flores A, Drucker-Colin R. Effects of nicotine and mecamylamine on rat dorsal raphe neurons. Eur J Pharmacol 1998;360:31-36. 

  39. Park YM, Lee SH, Kim S, Bae SM. The loudness dependence of the auditory evoked potential (LDAEP) in schizophrenia, bipolar disorder, major depressive disorder, anxiety disorder, and healthy controls.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2010;34:313-3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