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구조 재사용 시스템을 위한 탈부착이 가능한 PC 슬래브 접합부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Removable PC Slab Connection for the Reusable Steel Structural System 원문보기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25 no.6 = no.127, 2013년, pp.649 - 658  

심현주 (현대제철) ,  오은지 (중앙대학교, 건축공학과) ,  이은택 (중앙대학교, 건축학부)

초록

최근 건축 분야에서도 친환경, 순환형 패러다임으로 전환되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구조체의 해체에 의해 재사용이 가능한 구조시스템을 도입하여 건설자재의 절감 및 재활용, 구조체의 장수명화를 통해 친환경 및 $LCCO_2$를 저감할 수 있는 강구조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부재의 재조합이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탈착이 가능한 바닥슬래브와 강재보 접합상세를 제안하고 구조성능 및 진동 등과 같은 동적 특성에 의해 사용성을 파악하고 평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n urgent issue of the global environment in the 21st century is the well-established paradigm of a sustainable and circulatory system.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it is important to approach sustainablity issues from a structural engineering point of view. The reusable steel structur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슬래브의 경우 재조립 및 재사용의 효율성은 높아지지만 구조성능 및 사용성에 대하여 평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접합상세에 관하여 중력방향 하중에 대하여 구조성능 및 사용성을 검토하고 횡하중에 대한 구조성능을 평가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강구조 재사용 시스템을 위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PC 슬래브와 강재보의 다양한 접합상세에 관하여 중력방향 하중에 대하여 구조성능 및 사용성을 검토하고 횡하중에 대한 구조성능을 평가하였다.
  • 이번 연구는 강구조시스템의 부재 재조립 및 재사용의 측면에서 접합상세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성능을 규명하기 위하여 중력방향 단조하중에 대한 구조성능 및 진동성능을 평가하고 접합상세별 횡하중을 부여하여 손상도를 가했을 경우에 대한 구조성능을 평가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손상정도에 따른 성능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콘크리트 현장타설은 어떤 문제가 있는가? 반면, 슬래브의 경우 강구조 건축에서는 강재보 위에 데크 플레이트를 깔고 스터드 볼트를 용접한 후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화시키는 방법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합성 슬래브 공법은 슬래브 시공 후 해체 시 슬래브뿐만 아니라 강재 기둥과 강재 보까지 손상을 줄 수 있다. 콘크리트 현장타설은 건물 해체 시 슬래브나 기둥, 보와 같은 주요부재들을 재사용하기 어렵게 하는 원인이며, 재사용할 수 있다하더라도 추가 비용이나 환경부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강구조 건축물에서 PC 슬래브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량을 최소로 감소시키고, 층고의 변경이나 해체 후 부재의 재사용을 가능하도록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강구조에서 재사용이 가능한 장수명 건축의 구현을 위해 필요한 것은? 강구조에서 재사용이 가능한 장수명 건축의 구현을 위해서는 구조시스템에 사용된 부재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조립·해체가 용이해야 한다. 기둥과 보 부재는 강재로 제작하게 되면 일부분 재사용이 가능하며 링패널과 외측 다이아프램을 사용 하면 재사용이 더욱 용이해진다.
본 연구에서 강구조 재사용 시스템을 위하여 구조성능 및 사용성을 검토하고 횡하 중에 대한 구조성능을 평가한 결과는? (1) PC 슬래브 단부에 강관을 삽입하여 강재보와 고력볼트접합을 수행한 슬래브가 중력방향 하중에 대하여 공칭강도 대비 15% 증가한 내력을 발휘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2) 1차 고유진동수를 평가한 결과 콘크리트 전단면에 대한 휨강성 EIg를 가지는 단순지지 슬래브로 평가할 수 있다. (3) 횡하중을 받는 PC 슬래브의 경우 접합부 형상의 경우 내력적 측면에서는 변단면(A-type)이 직사각형(B-type) 에 비해 17.2% 증가한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강관을 배치한 실험체들은 모두 최종 파단 후에도 초기 강성에 비해 60% 이상의 강성을 유지하였다. 정착철근의 경우는 D13 배력근을 2열로 배치한 경우 내력 뿐만 아니라강성저하가 초기 강성 대비 69%를 유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Ikaga Toshiharu (2009) New CASBEE tools to promote zero carbon buildings and cities in Japan, Proceedings of The 3 rd International Symposium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City Performance Evaluation. 

  2. Seo, M.K. (2009) For low-carbon green growth Green Home Project, Proceedings of the 3 rd International Symposium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City Performance Evaluation. 

  3. Fujita, M. and Iwata, M. (2006) Reuse system of building steel structures, Structure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Maintenance, Management, Life-Cycle Design and Performance, Vol. 4, No. 3, pp.207-220 (in Japanese) 

  4. Kanemitsu, T. (2007) Scenario for Recovering Nature and Motivating Building Production Service Market by "Adaptable Building"-Concept and Estimation by Analytical Simulation and Actual Project-, Journal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Vol. 122, No. 1558, pp.74-79 (in Japanese) 

  5. Nishimura, T., Sakamoto, S,, Tateishi, Y., and Kunugi, T. (2005) Structural Performance of a Steel Building with Removable Fully-Precast Concrete Slab, Technical Research Report of Shimizu Corporation, Vol. 82, pp. 43-52 (in Japanese). 

  6. 오상훈, 박해용(2013) 플레이트형 에너지 흡수장치를 가지는 기둥-보 접합부에 관한 연구,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5권, 제1호, pp.103-115. Oh, S.H. and Park, H.Y. (2013) A Study on Beam-to-Column Connections with Plate Type Energy Absorption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 25, No. 1, pp. 103-115 (in Korean). 

  7. 대한건축학회(1998) 합성데크 바닥구조 설계기준 안 및 해설.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98) Design Specification and Commentary of Composite Deck Slab System. 

  8. AISC/CISC (1997) Steel Design Guide Series 11, Floor Vibrations Due to Human Activity,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Chicago, IL. 

  9. Bares, R. (1971) Tables for the Analysis of Plates, Slabs and Diaphragms Based on the Elastic Theory, Bauverlag GmbH, Wiesbaden und Berlin, pp.62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