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벼 도열병균의 대표 균주 및 벼의 저항성 유전자형 선발
Selection of Representative Magnaporthe oryzae Isolates and Rice Resistant Gene Types for Screening of Blast-resistant Rice Cultivars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9 no.4, 2013년, pp.243 - 253  

고재덕 (국립식량과학원 작물환경과) ,  김병련 (충남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  이세원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노재환 (국립식량과학원 맥류사료작물과) ,  신동범 (국립식량과학원 작물환경과) ,  정지웅 (국립식량과학원 답작과) ,  조영찬 (국립식량과학원 벼육종재배과) ,  한성숙 (국립식량과학원 작물환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벼 도열병은 안정적인 쌀 생산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병으로, 도열병 방제에는 저항성 품종의 육종이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되었다. 병원균의 꾸준한 수집과 이들을 이용한 저항성 검정 테스트는 신품종 육성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과정이다. 1985년 이래 우리나라의 도열병균은 8개의 판별품종을 이용한 레이스 판별시스템을 구축하여 분류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판별품종은 유전자형이 연구된 바 없어 새로운 레이스 출현이나 병 저항성 붕괴 등에 대하여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신속하게 대처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유전자형이 밝혀진 단인자 저항성 계통과 우리나라에서 수집된 200개 균주의 병원성 반응을 분석하여, 새로운 판별 품종 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24개의 단인자 저항성 계통의 병원성 반응을 통해 9개의 대표 저항성 유전자를 선발하였으며, 이에 따른 10개의 대표균주 그룹과 그 저항성 반응을 인덱스화 하고 30개의 한국형 대표균주를 선발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도열병 저항성 검정 및 벼 신품종 육종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ice blast is one of the most serious disease threatening stable production of rice. Breeding of resistant cultivars has been used as the most effective and useful method to controll rice blast caused by Magnaporthe oryzae. To collect rice blast isolates in fields and test their pathogenicity on ne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기존의 판별품종은 유전자형이 연구된 바 없어 새로운 레이스 출현이나 병 저항성 붕괴 등에 대하여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신속하게 대처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유전자형이 밝혀진 단인자 저항성 계통과 우리나라에서 수집된 200개 균주의 병원성 반응을 분석하여, 새로운 판별 품종 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24개의 단인자 저항성 계통의 병원성 반응을 통해 9개의 대표 저항성 유전자를 선발하였으며, 이에 따른 10개의 대표균주 그룹과 그 저항성 반응을 인덱스화 하고 30개의 한국형 대표균주를 선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가 포장에서 도열병의 발병 감소의 원인은? 우리나라에서 벼 도열병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196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는 잎도열병뿐만 아니라 특히 이삭도열병이 벼 수량 감소에 주원인인 것으로 알려졌는데, 최근에는 이러한 잎도열병이나 이삭도열병도 발생이 감소하고 있다(Lee 등, 2009). 농가 포장에서 도열병의 발병 감소의 원인은 질소질 비료를 적게 주는 재배기술이 전국적으로 보급되었기 때문이다. 도열병 발생이 감소한 이유로는 질소질 비료를 줄이면서 벼가 강하게 자랐기 때문인 것도 있으나 이러한 결과는 단순하게 한 가지 요인으로만 설명할 수는 없다.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현재 판별품종을 통한 레이스 판별의 단점들은 무엇이 있는가? 이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세계적으로 도열병균의 병원형을 레이스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1980년도부터 현재까지 ‘Tetep’ 등의 8개 한국형 판별품종으로 레이스를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육종사업을 진행해 왔다(Lee 등, 1987). 그러나 이때 만들어진 한국형 판별품종은 유전자형이 연구된 바 없어 새로운 레이스 출현이나 병 저항성 붕괴 등에 대하여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재빠르게 대처하기가 어려웠다.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현재 판별품종을 통한 레이스 판별의 단점들이 발견됨에 따라 도열병균의 집단구조 분석 및 변화예측을 위하여 1990년대에 시작되어 최근까지 분자생물학적 표지(molecular marker)를 이용하거나 트랜스포존을 이용한 DNA finger printing으로 MGR586- RFLP, RAPD, Pot2 PCR 등이 시도되었다(George 등, 1998; Hamer 등, 1989; Hamer와 Givan, 1990; Park 등, 2008).
국내 벼 육성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기는? 그동안 도열병 발생 감소에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은 병 저항성 품종 육성이다(Cho 등, 2009). 1960년대부터 국내 벼 육성이 시작된 이래 도열병 저항성을 중시하지 않은 적이 없다. 약 50여 년간 국내에서는 벼 도열병 저항성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매년 3−8개의 도열병 저항성 품종을 육성 보급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andong, J. M. and Ou, S. H. 1966. The physiologic races of Pyricularia oryzae Cav. in the Philippines. Philip. Agric. 49:655-667. 

  2. Cho, Y. C., Roh, J. H., Kim, B. R., Choi, I. S., Kim, M. K., Han, S. S., Fukuta, Y., Hwang, H. G. and Kim, Y. G. 2005. Reaction of resistance genes of monogenic lines to rice blast (Magnaporthe grisea). Korean J. Breed. 37: 155-161. 

  3. Cho, Y. C., Kwon, S. W., Choi, I. S., Lee, S. K., Jeon, J. S., Oh, M. G., Roh, J. H., Hwang, H. G. and Kim, Y. G. 2007. Identification of major blast resistance genes in Korean rice varieties (Oryza sativa L.) using molecular markers. J. Crop Sci. Biotech. 10: 265-276. 

  4. George, M. L., Nelson, R. J., Zeigler, R. S. and Leung, H. 1998. Rapid population analysis of Magnaporthe grisea by using rep-PCR and endogenous repetitive DNA sequences. Phytopathology 88: 223-229. 

  5. Hamer, J. E., Farrall, L., Orbach, M. J., Valent, B. and Chumley, F. G. 1989. Host species-specific conservation of a family of repeated DNA sequences in the genome of a fungal plant pathogen. Proc. Natl. Acad. Sci. USA. 86: 9981-9985. 

  6. Hamer, J. E. and Givan, S. 1990. Genetic mapping with dispersed repeated sequences in the rice blast fungus: mapping the SMO locus. Mol. Gen. Genet. 223: 487-495. 

  7. Han, S. S. 1996. Genetic variabil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Korean isolates of Pyricularia grisea. Ph.D. thesis. Tokyo University of Agriculture, Tokyo, Japan. 

  8. Hayashi, N. and Fukuta, Y. 2009. Proposal for a new international system of differentiating races of blast (Pyricularia oryzae Cavara) by using LTH monogenic lines in rice (Oryza sativa L.). JIRCAS Working Report 63: 11-15. 

  9. Lee, E. J., Ryu, J. K., Yeh, W. H., Han, S. S. and Lee, Y. H. 1987. Proposal of a new method for differentiating pathogenic races of Pyricularia oryzae cavara in Korea. RDA J. Agri. Sci. (PM & U). 29: 206-213. (In Korean) 

  10. Lee, S. W., Cho, Y. C., Roh, J. H., Shim, H. S., Ra, D. S. and Han, S. S. 2010. Recent changes of pathotype distribution in rice blast fungus and analysis of resistance genes for breeding program. Proc. 2010 KSCS Fall Meeting. 129 pp. (In Korean) 

  11. Lee, Y. H., Ra, D. S., Yeh, W. H., Choi, H. W., Myung, I. S., Lee, S. W., Lee, Y. H., Han, S. S. and Shim, H. S. 2009. Survey of major disease incidence of rice in Korea during 1999-2008. Res. Plant Dis. 16: 183-190. (In Korean) 

  12. Park, S. Y., Milgroom, M. G., Han, S. S., Kang, S. and Lee, Y. H. 2008. Genetic differentiation of Magnaporthe oryzae populations from scouting plots and commercial rice fields in Korea. Phytopathology 98: 436-442. 

  13. Tsunematsu, H., Yanoria, M. J. T., Ebron, L. A., Hayashi, N., Ando, I., Kato, H., Imbe, T. and Khush, G. G. 2000. Development of monogenic lines of rices for blast resistance. Breeding Sci. 50: 229?2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