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멜라노마세포(B16F10)에서 노간주나무의 tyrosinase, MITF, TRP-1 및 TRP-2 발현 저해능
Down-regulation of Tyrosinase, MITF, TRP-1, and TRP-2 Expressions by Juniperus rigida Sieb. in Murine B16F10 Melanoma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3 no.12 = no.164, 2013년, pp.1445 - 1453  

이수연 (호서대학교 한방화장품과학과) ,  전혜지 (호서대학교 한방화장품과학과) ,  이인철 (서원대학교 화장품과학과) ,  이진영 (호서대학교 한방화장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람의 피부는 자외선, 오염된 공기, 화학제품 등 환경에 끊임없이 노출된다. 특히 자외선은 피부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주어 주름, 잔주름, 피부거침, 피부건조와 같은 현상을 발생시켜 피부노화를 유발시킨다.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 49.4%, 에탄올 추출물에서 80.0%의 효과를 나타내어 열수 추출물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의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노간주나무 에탄올 추출물이 B16F10 흑세포종에 대하여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 및 tyrosinase, MITF, TRP-1, TRP-2의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이 더 높은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노간주나무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이용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uman skin is constantly exposed to ultraviolet (UV) radiation, polluted air, and chemical products. UV rays, in particular, will affect the skin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causing wrinkles, fine lines, rough skin, and xeroderma, thereby resulting in skin aging.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미백활성이 있으며, 피부에 안전한 소재인천연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한국 전역에 자생하고 있는 노간주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약리활성 및 피부메커니즘을 검증한 후, 새로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의 melanin 생성으로 인한 순기능과, 과도한 생성으로 나타날 수 있는 역기능은? 자외선을 받으면 피부에서 색소침착이 증가되는데, 색소침착이 증가하는 것은 자외선 흡수에 의한 피부 세포의 손상을 억제할 목적으로 melanin 생성이 증가된 결과이다. Melanin은 피부와 머리카락의 색상을 결정하는 주요한 인자이며 자외선으로부터 피부세포를 보호하기 위한 역할을 가지고 있지만, 과도한 멜라닌의 축적은 주근깨, 기미와 같은 과색소 현상을 유발하고 피부노화를 촉진시킨다[9]. Melanin 합성은 아미노산의 하나인 tyrosine을 기질로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에 의해 3,4-dihydroxyphenylalanine (DOPA)를 거쳐 DOPA quinone으로 전환되고 자동산화반응과 효소반응으로 DOPA chrome을 거쳐 흑갈색의 공동합체인 멜라닌을 생성하게 된다 [21].
자외선을 받으면 색소침착이 증가되는데, 이러한 이유는 무엇인가? 자외선을 받으면 피부에서 색소침착이 증가되는데, 색소침착이 증가하는 것은 자외선 흡수에 의한 피부 세포의 손상을 억제할 목적으로 melanin 생성이 증가된 결과이다. Melanin은 피부와 머리카락의 색상을 결정하는 주요한 인자이며 자외선으로부터 피부세포를 보호하기 위한 역할을 가지고 있지만, 과도한 멜라닌의 축적은 주근깨, 기미와 같은 과색소 현상을 유발하고 피부노화를 촉진시킨다[9].
자외선은 피부에 어떠한 현상을 발생시키는가? 사람의 피부는 자외선, 오염된 공기, 화학제품 등 환경에 끊임없이 노출된다. 특히 자외선은 피부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주어 주름, 잔주름, 피부거침, 피부건조와 같은 현상을 발생시켜 피부노화를 유발시킨다.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 4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n, B. J., Lee, C. E., Son, J. H., Lee, J. Y., Choi, G. H. and Park, T. S. 2005. Antioxidant, anticancer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of extracts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T.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280-284. 

  2. An, B. J., Lee, C. E., Son, J. H., Lee, J. Y., Park, T. S., Park, J. M., Bae, H. J. and Pyeon, J. R. 2005. Antioxidant, anticancer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Naesohwangryntang and its ingredients. Korean J Herbology 20, 17-26. 

  3. Bentley, N. J., Eisen, T. and Goding, C. R. 1994. Melanocyte- specific expression of the human tyrosinase promoter: activation by the microphthalmia gene product and role of the initiator. Mol Cell Biol 14, 7996-8006. 

  4. Carmichael, J., DeGraff, W. G., Gazdar, A. F., Minna, J. D. and Mitchell, J. 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5. Choi, B. W., Lee, B. H., Kang, K. J., Lee, E. S. and Lee, N. H. 1998. Screening of the tyrosinase inhibitors from marine algae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Pharmacogn 29, 237-242. 

  6. Choi, W. H., Chun, H. J., Seung, H. B. and Woo, H. W. 2003. Effect of proliferation inhibition on B16F10 melanoma cell by chloroform extract from Cornis fructus. Appl Pharmacol 11, 151-156. 

  7. Chun, H. J., Choi, W. H., Baek, S. H. and Woo, W. H. 2002. Effect of quercetin on melanogenesis in melan-a melanocyte cells. Korean J Pharmacogn 33, 245-251. 

  8. Curto, E. V., Kwong, C., Hermersdorfer, H., Glatt, H., Santis, C., Virador, V., Hearing, V. J. Jr. and Dooley, T. P. 1999. Inhibitors of mammalian melanocyte tyrosinase: in vitro comparisons of alkyl esters of gentisic acid with other putative inhibitors. Biochem Pharmacol 57, 663-672. 

  9. Gilchrest, B. A. and Eller, M. S. 1999. DNA photodamage stimulates melanogenesis and other photoprotective responses. J Investiq Dermatol Symp Proc 4, 35-40. 

  10. Ivengar, R. and McEvily, A. J. 1992. Anti-browning agents: alternatives to the use of sulfites in foods. Trends Food Sci Technol 3, 60-63. 

  11. Jeon, H. S., Lee, Y. S. and Kim, N. W. 2009.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Torreya nucifera seed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8. 

  12. Jo, J. O., Kim, S. M. and Kim, K. S. 1999. Analysis of asarone, coumarin and thujone in medicinal plants used in brewing a Korean traditional folk Wine. Agric Chem Biotechnol 42,210-217. 

  13. Kim, T. W. 1996. The woody plants of Korea. pp. 49, Kyohaksa, Seoul, Republic Korea. 

  14. Lee, C. B. 1990. Dendrology. pp. 110-112, Hyangmoonsa, Seoul, Republic Korea. 

  15. Lee, H. J., Lee, E. O., Lee, Y. H., Kim, K. H., Lee, J. H., Baek, N. I., Ra, J. C. and Kim, S. H. 2004. Anti-tumor activity of Korean oldenlandiae Herba and Radix. Korean J Pharmacogn 35, 110-115. 

  16. Lee, Y. S., Joo, E. Y. and Kim, N. W. 2006. Polyphenol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Lespedeza bicolor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3, 616-622. 

  17. Oh, H. C., Lim, K. S., Hwang, C. Y., Youn, I. H. and Kim, N. K. 2007. A study on the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and whitening effect of Bombysis Corpus. J Korean Orient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 1-13. 

  18. Park, J. G., Kramer, B. S., Steinberg, S. M., Carmichael, J., Collins, J. M., Minna, J. D. and Gazdar, A. F. 1987. Chemosensitivity testing of human colorectal carcinoma cell lines using a tetrazolium-based colorimetric assay. Cancer Res 47, 5875-5879. 

  19. Pavel, S. and Muskiet, F. A. 1983. Eumelanin (precursor) metabolites as markers for pigmented malignant melanoma: a preliminary report. Cancer Detect Prev 6, 311-316. 

  20. Prota, G. 1980. Recent advances in the chemistry of melanogenesis in mammals. J Invest Dermatol 75, 122-127. 

  21. Seo, E. J., Hong, E. S., Choi, M. H., Kim, K. S. and Lee, S. J. 2010.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s of Ramnus yoshinoi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750-754. 

  22. Spitzer, J. A. 1994. Cytokine stimulation of nitric oxide formation and differential regulation in hepatocytes and nonparenchymal cells of endotoxemic rats. Hepatology 19, 217-228. 

  23. Ukeda, H., Maeda, S., Ishii, T. and Sawamura, M. 1997. Spectrophotometric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based on tetrazolium salt 3'-1-(phenylamino)-carbonyl-3,4-tetrazolium]- bis(4-methoxy-6-nitro) benzenesulfonic acid hydrate reduction by xanthine-xanthine oxidase. Anal Biochem 251, 206-209. 

  24. Yagi, A., Kanbara, T. and Morinobu, N. 1987. Inhibition of mushroom-tyrosinase by aloe extract. Planta Med 53, 515-517. 

  25. Yang, E. S., Hwang, J. S., Choi, H. C., Hong, R. H. and Kang, S. M. 2008. The effect of genistein on melanin synthesis and in vivo whitening.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6, 72-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