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the cannabinoid receptor 1 (CNR1) gene could be an important candidate gene for schizophrenia. According to linkage studies, this gene is located on chromosome 6q14-q15, which is known to harbor the schizophrenia susceptibility locus (locus 5, SCZ5, OMIM 803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 조현병의 파과형군은 CNR1 유전자와 강한 연관관계를 보였는데, (AAT)n의 반복수가 9개인 allele은 파과형 조현병의 위험인자였으며, 17개인 allele은 강한 역위험인자로, 파과형 조현병의 감수성에 대해 방어적인 요소였다. 이 연구는 (AAT)n 미소부소체의 다형성이 조현병 전체와는 유의미한 연합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조현병의 파과형 아형에서 편집형 아형과 다르게 (AAT)n 삼핵산 반복 다형성과 유의한 연관성을 나타냈다는 결과를 처음 보고한 것이다. (AAT)n 미소부소체는 CNR1 암호 영역의 16 kb 가량의 아래 부위에 위치한다.
  • 이러한 선행연구들에 따라 CNR1 유전자의 다형성과 조현병 감수성의 관련성을 검증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직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우리는 한국인 조현병 환자군과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여 두 군 사이에서 CNR1 유전자 다형성 중 하나인 (AAT)n 미소부소체의 분포 차이가 나타나는지 조사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현병의 원인으로 여겨지는 것들은 무엇이 있는가? 지금까지, 조현병의 원인에 대해 고전적인 도파민 가설, N-Methyl-D-aspartic acid 수용체 가설, 그리고 최근의 신경 발달학 가설 등 여러 가지 가설들이 제안되었다. 그 중에서 ‘카나비노이드(cannabinoid) 가설’은 대마초 사용자들의 임상적인 증상들로부터 추론되었고, 조현병의 약물학적 원인들 중의 하나로 발전되어 왔다.
조현병의 유병류은 어느 정도인가? 조현병은 대개 늦은 청소년기 혹은 초기 성인기에 발병하며 망상이나 환각, 연상의 이완, 부적절하거나 둔마된 정동, 그리고 지각의 왜곡과 같은 정신병적 증상을 나타낸다. 이 질병은 만성적이고 심각한 정신질환이며 평생 유병률은 전 세계적으로 1%이다. 조현병 환자의 행동은 심각하게 손상되며,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결과를 낳는다.
조현병의 증상은? 조현병은 대개 늦은 청소년기 혹은 초기 성인기에 발병하며 망상이나 환각, 연상의 이완, 부적절하거나 둔마된 정동, 그리고 지각의 왜곡과 같은 정신병적 증상을 나타낸다. 이 질병은 만성적이고 심각한 정신질환이며 평생 유병률은 전 세계적으로 1%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arayiorgou M, Gogos JA. A turning point in schizophrenia genetics. Neuron 1997;19:967-979. 

  2. Ujike H, Morita Y. New perspectives in the studies on endocannabinoid and cannabis: cannabinoid receptors and schizophrenia. J Pharmacol Sci 2004;96:376-381. 

  3. Sewell RA, Ranganathan M, D'Souza DC. Cannabinoids and psychosis. Int Rev Psychiatry 2009;21:152-162. 

  4. Martinez-Gras I, Hoenicka J, Ponce G, Rodriguez-Jimenez R, Jimenez-Arriero MA, Perez-Hernandez E, et al. (AAT)n repeat in the cannabinoid receptor gene, CNR1: association with schizophrenia in a Spanish population. Eur Arch Psychiatry Clin Neurosci 2006;256:437-441. 

  5. Liskow B. Marihuana deterioration. JAMA 1970;214:1709. 

  6. Henquet C, Rosa A, Krabbendam L, Papiol S, Fananas L, Drukker M, et al. An experimental study of catechol-o-methyltransferase Val158Met moderation of delta-9-tetrahydrocannabinol-induced effects on psychosis and cognition. Neuropsychopharmacology 2006;31:2748-2757. 

  7. Henquet C, Di Forti M, Morrison P, Kuepper R, Murray RM. Geneenvironment interplay between cannabis and psychosis. Schizophr Bull 2008;34:1111-1121. 

  8. Ranganathan M, D'Souza DC. The acute effects of cannabinoids on memory in humans: a review. Psychopharmacology (Berl) 2006;188:425-444. 

  9. Gardner EL. Cannabinoid interaction with brain reward systems. The neurobiological basis of cannabinoid abuse. In: Murphy L, Bartke A, editors. Marijuana/Cannabinoids: Neurobiology and Neurophysiology. Boca Raton, FL: CRC Press;1992. p.275-335. 

  10. Pazos MR, Nunez E, Benito C, Tolon RM, Romero J. Functional neuroanatomy of the endocannabinoid system. Pharmacol Biochem Behav 2005;81:239-247. 

  11. Gardner EL. Endocannabinoid signaling system and brain reward: emphasis on dopamine. Pharmacol Biochem Behav 2005;81:263-284. 

  12. Bossong MG, van Berckel BN, Boellaard R, Zuurman L, Schuit RC, Windhorst AD, et al. Delta 9-tetrahydrocannabinol induces dopamine release in the human striatum. Neuropsychopharmacology 2009;34:759-766. 

  13. Eggan SM, Lewis DA. Immunocytochemical distribution of the cannabinoid CB1 receptor in the primate neocortex: a regional and laminar analysis. Cereb Cortex 2007;17:175-191. 

  14. Auclair N, Otani S, Soubrie P, Crepel F. Cannabinoids modulate synaptic strength and plasticity at glutamatergic synapses of rat prefrontal cortex pyramidal neurons. J Neurophysiol 2000;83:3287-3293. 

  15. Matsuda LA, Lolait SJ, Brownstein MJ, Young AC, Bonner TI. Structure of a cannabinoid receptor and functional expression of the cloned cDNA. Nature 1990;346:561-564. 

  16. Cao Q, Martinez M, Zhang J, Sanders AR, Badner JA, Cravchik A, et al. Suggestive evidence for a schizophrenia susceptibility locus on chromosome 6q and a confirmation in an independent series of pedigrees. Genomics 1997;43:1-8. 

  17. Gadzicki D, Muller-Vahl K, Stuhrmann M. A frequent polymorphism in the coding exon of the human cannabinoid receptor (CNR1) gene. Mol Cell Probes 1999;13:321-323. 

  18. Dawson E. Identification of a polymorphic triplet repeat marker for the brain cannabinoid receptor gene: use in linkage and association studies. Psychiat Genet 1995;5:S50. 

  19. Ponce G, Hoenicka J, Rubio G, Ampuero I, Jimenez-Arriero MA, Rodriguez-Jimenez R, et al. Association between cannabinoid receptor gene (CNR1) and childhood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Spanish male alcoholic patients. Mol Psychiatry 2003;8:466-467. 

  20. Comings DE, Muhleman D, Gade R, Johnson P, Verde R, Saucier G, et al. Cannabinoid receptor gene (CNR1): association with i.v. drug use. Mol Psychiatry 1997;2:161-168. 

  21. Li T, Liu X, Zhu ZH, Zhao J, Hu X, Ball DM, et al. No association between (AAT)n repeats in the cannabinoid receptor gene (CNR1) and heroin abuse in a Chinese population. Mol Psychiatry 2000;5:128-130. 

  22. Ujike H, Takaki M, Nakata K, Tanaka Y, Takeda T, Kodama M, et al. CNR1, central cannabinoid receptor gene, associated with susceptibility to hebephrenic schizophrenia. Mol Psychiatry 2002;7:515-518. 

  23. Tsai SJ, Wang YC, Hong CJ. Association study of a cannabinoid receptor gene (CNR1) polymorphism and schizophrenia. Psychiatr Genet 2000;10:149-151. 

  24. Chavarria-Siles I, Contreras-Rojas J, Hare E, Walss-Bass C, Quezada P, Dassori A, et al. Cannabinoid receptor 1 gene (CNR1) and susceptibility to a quantitative phenotype for hebephrenic schizophrenia. Am J Med Genet B Neuropsychiatr Genet 2008;147:279-284. 

  25. Almeida B, Fernandes S, Abreu IA, Macedo-Ribeiro S. Trinucleotide repeats: a structural perspective. Front Neurol 2013;4:1-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