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직장 내 약자 괴롭힘과 부정적 감정성향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Focused on Bullying and Negative Affectivity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9 no.5, 2013년, pp.578 - 588  

한정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  양인순 (중앙대학교 대학원) ,  염영희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bullying, negative affectivity and burnout in the nurses.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389 nurses.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acute{e}$, Pearson Cor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직장 내 약자 괴롭힘과 부정적 감정성향 개념을 적용하여 간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은 학술적 및 실무적 측면에서 매우 가치 있는 작업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장 내 약자 괴롭힘, 부정적 감정성향과 소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병원 간호사의 소진에 관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조직 관리와 인력관리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진은 무엇을 지칭하는가? 간호사들의 이직 의도나 이직을 만드는 환경 요소 중 다수가 소진과 관련된 스트레스 요인으로 확인되었다(Cheung, 2004). 소진은 대인적인 접촉이 잦을 수밖에 없는 직무를 하는 직무담당자가 장시간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됨으로 인해 겪게 되는 부정적인 심리적 경험으로 부정적인 자아개념 및 근무태도, 환자에 대한 관심 소실 등의 현상을 포함하는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탈진의 증후군으로 지칭되고 있다(Maslach & Schaufeli, 1993). 외국에서는 최근 조직상황에서의 소진과 관련된 스트레스 요인으로 직장 내 약자 괴롭힘에 대한 연구결과가 보고되면서 직장 내 약자 괴롭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직장 내 약자 괴롭힘이 단순한 갈등과 다른 이유는? 직장 내 약자 괴롭힘에 대한 정의는 학자들마다 다양하며 합의되고 명확한 정의는 없다. 그러나 약자 괴롭힘은 더 자주 더 오랜 기간 동안 발생한다는 점에서 단순한 갈등과는 다르다는 것에서는 의견이 일치한다(Lutgen-Sandvik, Tracy, & Alberts, 2007). Leymann (1996)은 직장 내 약자 괴롭힘(bullying)은 일과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비난 받거나 굴욕을 당하거나 사직을 종용하는 암시를 받거나 일에 대한 과도한 모니터링, 주체할 수 없는 업무량, 누군가 고함을 치거나 갑작스럽게 화를 내는 것과 같은 직장 내 부정적 행동 경험으로 정의하였다.
Leymann은 직장 내 약자 괴롭힘을 어떻게 정의하는가? 그러나 약자 괴롭힘은 더 자주 더 오랜 기간 동안 발생한다는 점에서 단순한 갈등과는 다르다는 것에서는 의견이 일치한다(Lutgen-Sandvik, Tracy, & Alberts, 2007). Leymann (1996)은 직장 내 약자 괴롭힘(bullying)은 일과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비난 받거나 굴욕을 당하거나 사직을 종용하는 암시를 받거나 일에 대한 과도한 모니터링, 주체할 수 없는 업무량, 누군가 고함을 치거나 갑작스럽게 화를 내는 것과 같은 직장 내 부정적 행동 경험으로 정의하였다. 일반적으로 직장 내 약자 괴롭힘은 피해자가 스스로를 방어하고 학대를 중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최소 2가지의 부정적인 행위를 경험하고, 매주이거나 그 보다 자주, 6개월에서 그 이상 동안 발생한다(Lutgen-Sandvi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iken, L. H., Clarke, S. P., Sloane, D. M., Sochalski, J., & Silber, J. H. (2002). Hospital nurse staffing and patient mortality, nurse burnout, and job dissatisfactio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8, 1987-1993. 

  2. Alarcon, G., Eschleman, K. J., & Bowling, N. A. (2009).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variables and burnout: A metaanalysis. Work & Stress: An International Journal of Work, Health & Organizations, 23, 244-263. http://dx.doi.org/10. 1080/02678370903282600 

  3. Byun, D. S., & Yom, Y. H. (2009).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linical nurses: Focused on emotional lab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 , 444-454. 

  4. Cheung, J. (2004). The decision process of leaving nursing. Australian Health Review, 28, 340-248. 

  5. Cho, H. Y. (2002). Perfectionism tendency,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counsel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Korea. 

  6. Choi, H. Y. (2010). Concept analysis of burnout. Nursing Science, 22 (2), 27-38. 

  7. Einarsen, S., & Hole, H., & Notelaers, G. (2009). Measuring exposure to bullying and harassment at work: Validity factor structure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Negative Acts Questionnaire-Revised. Work & Stress: An International Journal of Work, Health & Organisation, 23 (1), 24-44. http://dx.doi.org/10.1080/02678370902815673 

  8. Einarsen, S., Hoel, H., & Zapf, D. (2011). The concept of bullying and harassment at work: Developments i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2nd ed.). Boca Raton, FL: CRC Press. 

  9.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10. Glaso?, L., & Notelaers, G. (2012). Workplace bullying, emotions, and outcomes. Violence and Victims, 27 (3), 360-377. http:// dx.doi.org/10.1891/0886-6708.27.3.360 

  11. Han, K. H. (2007). The moderating effects of negative affectiv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job characteristics and burnout outcomes. Daehan Journal of Business, 20, 1475- 1495. 

  12. June, K. J., & Byun, S. W. (2009). Nurse's burnout research throughout the past 10 yea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5, 305-313. 

  13. Karlson, B., Jonsson, P., Palsson, B., Abjornsson, G., Malmberg, B., Larsson, B., et al(2010). Return to work after a workplace- oriented intervention for patient son sick-leave for burnout - a prospective controlled study. BMC Public Health, 10 (1), 301-310. 

  14. Ko, J. W., & Seo, Y. J. (2002). Work rewards and occup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12, 77-98. 

  15. Laschinger, H. K., Grau, A. L., Finegan, J., & Wilk, P. (2010). New graduate nurses' experiences of bullying and burnout in hospital setting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 2732- 2742.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0.05420.x 

  16. Leymann, H. (1996). The content and development of mobbing at work.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5, 165-184. http://dx.doi.org/10.1080/135943 29608414853 

  17. Lutgen-Sandvik, P., Tracy, S. J., & Alberts, J. K. (2007). Burned by bullying in the American workplace: Prevalence, perception, degree and impact.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44. 837-862. http://dx.doi.org/10.1111/j.1467-6486.2007.00 715.x 

  18.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 99-113. http://dx.doi.org/10.1002/job.4030020205 

  19. Maslach, C., & Schaufeli, W. (1993). Historical and conceptual development of burnout. Washington, DC: Taylor & Frances. 

  20. Mckenna, B. G., Smith, N. A., Poole, S. J., & Coverdale, J. H. (2003). Horizontal violence: Experiences of registered nurses in their first year of practi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2 (1), 90-96. 

  21. Nam, W.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intention to leave among nurses in one university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22. Nam, W., Kim, J. W., Kim, Y. K., Koo, J. W., & Park, C. Y. (2010).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Negative Acts Questionnaire- Revised (NAQ-R) for nurses for the assessment of workplace bullying.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2, 129-139. 

  23. Quine, L. (2001). Workplace bullying in nursing profess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3 (4), 395-401. 

  24. Sa?, L., & Fleming, M. (2008). Bullying, burnout, and mental health amongst Portuguese nurses.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29, 411-426. http://dx.doi.org/10.1080/016128408019 04480 

  25. Simons, S. (2008). Workplace bullying experienced by nurses newly licensed in Massachusetts and the relationship to intention to leave the organization. Unpublishe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Boston. 

  26. Spooner-Lane, R., & Patton, W. (2007). Determinants of burnout among public hospital nurses. Australi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5 (1), 8-16. 

  27. Vahey, D. C., Aiken, L. H., Sloane, D. M., Clarke, S. P., & Vargas, D. (2004). Nurse burnout and patient satisfaction. Medical Care, 42, II57-II66. http://dx.doi.org/10.1097/01.mlr.00001 09126.50398.5a 

  28. Watson, D., & Tellegen, A. (1985). Toward a consensual structure of mood. Psychological Bulletin, 98, 219-235. 

  29. Watson, D., Clark, L.,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