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꼬마리 부위별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Xanthium strumarium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Par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6 no.4, 2013년, pp.609 - 614  

이연리 (대전보건대학교 식품영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꼬마리의 뿌리와 열매 부위별 항산화 활성의 검증을 통해 유효 생리활성 성분이 많은 부위를 탐색하고자 뿌리와 열매를 메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물질, 라디칼 소거능, in vitro에서 항암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뿌리보다는 열매 부위에 6배 가량 높은 함량이 나타났다. ABTS, DPPH, Hydroxyl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뿌리에서 $IC_{50}$% 6.02, 1.29, 3.88mg/ml이며, 열매에서는 0.81, 0.16, 0.44mg/ml로 열매에서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다. 항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방암세포(MCF-7), 위암세포(AGS), 폐암세포(A-549), 인체대장암세포(HCT-116), 간암세(Hep-G2) 및 전립선암(PC-3)에 처리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정도를 확인한 결과, 도꼬마리 열매와 뿌리 부위에 0.5mg/ml 농도에서 각각 26%, 36% 전립선 암세포 성장 억제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two parts (root and fruit) of Xanthium strumarium by means of measuring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 as well as determining $ABTS{\cdot}^+$, DPPH radical scavenging 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도꼬마리의 활성탐색 및 활용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연구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도꼬마리 뿌리와 열매 부위를 메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 및 항암 활성 검증을 통해 유효 생리활성 성분이 많은 부위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꼬마리는 약용 부위에 따라 어떻게 부르는가? 도꼬마리는 한국, 중국, 일본, 만주 등 아시아 전역에 걸쳐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야생하는 것도 있고, 전국에 재배하여 어린 잎은 식용으로도 한다(Kim 등 2003). 도꼬마리는 전초, 뿌리, 열매 등을 모두 약용으로 사용되는데, 약용 부위에 따라 전초를 창이, 열매를 창이자(蒼耳子), 뿌리를 창이근(蒼耳根)이라고 부른다(Song 등 1998). 창이자에 함유된 성분으로는 γ- lactone 구조를 가진 xanthinin과 carotenoid, alkaloid, saponine, xanthostrumarin, xanthostrunarin 및 oleic acid 등이 알려져 있다(Kim 등 2003).
도꼬마리는 어떤 풀인가? 도꼬마리(Xanthium strumarium L.)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며, 전체에 거센 털이 나 있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키는 1.5 m 정도이다. 꽃은 8~9월경에 황갈색을 띈 꽃이 줄기 끝에서 핀다. 열매는 대추씨와 비슷하고, 과피부분에 갈고리 모양의 억센털이 나 있으며, 들이나 길가에서 주로 자라는 자생력이 강한 한해살이 풀이다(Kang & Kim 2010). 도꼬마리는 한국, 중국, 일본, 만주 등 아시아 전역에 걸쳐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야생하는 것도 있고, 전국에 재배하여 어린 잎은 식용으로도 한다(Kim 등 2003).
도꼬마리의 열매인 창이자에는 어떤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가? 도꼬마리는 전초, 뿌리, 열매 등을 모두 약용으로 사용되는데, 약용 부위에 따라 전초를 창이, 열매를 창이자(蒼耳子), 뿌리를 창이근(蒼耳根)이라고 부른다(Song 등 1998). 창이자에 함유된 성분으로는 γ- lactone 구조를 가진 xanthinin과 carotenoid, alkaloid, saponine, xanthostrumarin, xanthostrunarin 및 oleic acid 등이 알려져 있다(Kim 등 2003). 이러한 성분을 가진 창이자는 해열, 발한, 진통, 산풍, 거습, 궤양성 피부병, 신경통 및 악성 종양에 효과가 있으며, 항균 효과로서는 티푸스균, 이질균, 황색포도상구균에 저해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어서 여러 종류의 질병에 민간요법으로 시용되고 있다(Yook CS 199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ruoma OI, Kaur H, Halliwell B. 1991. Oxygen free radicals and human disease. R Soc Health 111:172-177 

  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1199-1203 

  3. Choi IS, Kim KA, Yim JE, Kim YS. 2011. Calorie restriction and obesity under the regulation of SIRT1. Korean J Obes 20:170-176 

  4. Choi Y, Kim MH, Shin JJ, Park JM, Lee J.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723-727 

  5. Chu YH, Chang CL, Hsu HF. 2000. Flavonoid content of several vegetable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J Sci Food Agr 80:561-566 

  6. Chung SK, Osawa T. 1998. Hydroxyl radical scavengers from white mustard (Sinapis alba). Food Sci Biotechnol 7:209-213 

  7.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ohomolybdic compounds as colour reagents. J Biol Chem 12:239-249 

  8. Halliwell B, Gutteridge JM, Grootveld M. 1987. Methods for the measurement of hydroxyl radicals in biochemical systems: deoxyribose degradation and aromatic hydroxylation. Methods Biochem Anal 33:59-90 

  9. Heo SI, Wang MH.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effect of extracts from Taraxacum mongolicum H. Kor J Pharmacogn 39:255-259 

  10. Ishiyanma M, Tominaga H, Shiga M, Sasamoto K, Ohkura Y, Ueno KA. 1996 Combined assay of cell viability and in vitro cytotoxicity with a highly water-soluble tetrazoliumsalt, neutral red and ceystal violet. Biol Pharm Bull 19:1518-1520 

  11. Ismail A, Marjan ZM, Foong CW. 2004. Total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 in selected vegetables. Food Chem 87:581-586 

  12. Jeong CH, Nam EK, Shim KH. 2005. Chemical components in different parts of Erigeron annuus. J Korean Soc Food Sci Nutri 34:857-861 

  13. Joo SY. 2013. Antioxidant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512-519 

  14. Kang DH, Kim HS. 2010. Characterization and anti- Helicobacter pylori activity of Xanthium strumarium L. extract on lactic acid fermentation. KSBB J 25:244-250 

  15. Kawaguchi K, Mizuno T, Aida K, Uchino K. 1997. Hesperidin as an inhibitor of lipases from porcine pancreas and Pseudomonas. Biosci Biotechnol Biochem 61:102-104 

  16. Kim DI, Lee SH, Hur EY, Cho SM, Park HJ. 2005. Screening of natural plant resources with acetylcholinesterase inhib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423-432 

  17.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333-338 

  18. Kim HS, Shin OS. 1997. Isol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Xanthium strumarium L. extract.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183-188 

  19. Kim HS, Yu TS, Lee IS, Kim YW, Yeo SH. 2003. Screening of the antimicrobial and antitumor activity of Xanthium strumarium L. extract. Korean J Biotechnol Bioeng 18:55-61 

  20. Kim SH, Choi HJ, Oh HT, Chung MJ, Cui CB, Ham SS. 2008. Cytoprotective effect by antioxidant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Platycodon grandiflorum ethylacetate fraction in human HepG2 cells. Korean J Food Sci Techenol 40: 696-701 

  21. Kim YC, Rho JH, Kim KT, Cho CW, Rhee YK, Choi UK. 2008. Phenolic acid contents and ROS scavenging activity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Korean J Food Preserv 15:325-331 

  22. Lee SH, Hwang IG, Nho JW, Jang YD, Lee CH, Woo KS, Jeong H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rysanthemum indicum L., Chrysanthemum boreale M. and Chrysanthemum zawadskii K. powdered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824-831 

  23. Lee SJ, Chung HY, Lee IK, Yoo ID. 199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from ethanol extracts of Artemisia vulgari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31:815-822 

  24. Lee YM, Kang DG, Kim MG, Choi DH, Lee HS. 2004. Isolation of antioxidants from the seeds of Xanthium strumarium.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18: 792-796 

  25. Lodovici M, Guglielmi F, Meoni M, Dolara P. 2001. Effect of natural phenolic acids on DNA oxidation in vitro. Food Chem Toxicol 39:1205-1210 

  26. Min KC, Jhoo JW. 2010.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f Taraxacum officinale extracts on nitric oxide produ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5:206-212 

  27. Min YS, Park YS. 2010. Antioxidant activities of Xanthium strumarium fruit and stem extracts. The Journal of Applied Oriental Medicine 10:17-23 

  28. Moon EY, Park SY, Ahn MJ, Ahn JW, Zee OP, Park EK. 1991. Immunomodulating activies of water extract from Xanthium strumarium (II): Immunostimulating effects of the water layer after treated with chloroform. Archives of Pharmacol Research 14:217-224 

  29. Pak SY, Kim JW. 1992. Screening and isolation of the antitumor agents from medicinal plants (I). Korean J Pharmacogn 23:264-267 

  30. Park SM, Jung HJ, Han SH, Yeo SH, Kim YW, Ahn HG, Kim HS, Yu TS. 2005. Antifungal activity of extract from Xanthium strumarium L. against plant pathogenous fungi. Kor J Life Science 15:255-262 

  31.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cdot}^{+}$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1231-1237 

  32. Reiter RJ. 1995. Oxidative process and antioxidative defense mechanism in the aging brain. FASEB J 9:526-533 

  33. Song HJ, Ha HS, Kim TH, Shin MK. 1998. Inhibitory effect of immunoglobulin E production by Xanthium strumarium. Kor J Herbology 13:69-76 

  34. Stella SP, Ferrarezi AC, dos Santos KO, Monteiro M. 2011. Antioxidant activity of commercial ready-to-drink orange juice and nectar. J Food Sci 76:C392-C397 

  35. Van den Berg R, Haenen GR, Van den Berg H, Bast A. 1999. Applicability of an improve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assay for evalu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measurements of mixtures. Food Chem 66:511-517 

  36. Wong SP, Leong LP, Koh JH. 2006. Antioxidant activities of aqueous extracts of selected plants. Food Chem 99:775-783 

  37. Yook CS. 1990. Coloured Medicinial Plants of Korea. p.553. Academy Press.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