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 베이비부머들의 식생활 태도와 미래 식생활 요구도 조사
A Study on the Dietary Behaviors of Female Baby Boomers and the Needs for Future Perspectives of Dietary Lif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6 no.4, 2013년, pp.895 - 908  

남혜원 (수원여자대학교 외식산업과) ,  명춘옥 (오산대학교 호텔조리계열) ,  박영심 (신흥대학교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emale baby boomers' dietary habits and their attitudes together with their needs for future perspectives of dietary life. Our aim is to use these findings as a basic data when forecasting for food-related industries or policy making. A survey is being carri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요인들 중 하나인 흡연 여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최근 정부의 강력한 금연정책으로 우리나라의 전체 흡연 인구는 큰 폭으로 줄고 있다.
  • 식행동은 3끼 식사 여부와 장소 및 형태, 끼니를 거르는 이유, 외식 횟수, 식재료 구매 횟수 및 종류, 식사 준비 담당자와 소요 시간 등에 관하여 명목척도로 구성하였다. 미래 식생활 요구도는 가령에 따른 가사일, 특히 조리시의 문제점, 원하는 식사 형태, 시설급식에 대한 의견, 배달급식업체에 관한 인지도와 구입 의향, 지불 가능 금액 및 구입 시 고려사항 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 베이비붐 세대는 현재와 미래에 영향력 있는 주 소비계층으로 기존 노인세대와는 차별화된 식행동을 보이고, 다양한 라이프스타일로 새로운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측되는 바, 본 연구에서는 예비노년층인 50대 베이비부머 세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현재의 건강과 생활습관, 식습관 상태, 그리고 식생활 행동 양식 및 미래 식생활 요구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여성 베이비부머들의 현재와 미래의 식생활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조사 대상자를 베이비붐 세대로 한정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 중인 50대 여성을 편의추출하여 연구자들에 의해 작성된 설문지를 피설문자가 자가기입하도록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3년 6월 중에 이루어졌다.
  • 식습관이 만성퇴행성질환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건강증진재단의 건강길라잡이에서 실시하고 있는 방법을 기본으로 하여 식생활 습관을 평가하였다. 총 20문항으로 100점을 기준으로 하여 80점 이상이면 ‘우수’, 50~79점 사이는 ‘보통’, 50점 미만은 ‘불량’으로 판단하였다.
  • 식습관과 식행동은 식생활 전반을 지배하게 되므로 보다 나은 영양 및 건강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식습관 및 식행동을 평가분석하여 변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향후 고령인구의 절반에 해당되며, 기존의 노령 세대와 구별되는 여성 베이비부머들의 현황과 특징을 파악하고, 이들의 식생활 태도와 미래 식생활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가족의 식사와 건강을 책임지는 여성 베이비부머들의 다양한 욕구와 의식 변화들이 바람직한 식생활 관리 및 구매행동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고령사회에서 식생활 관련 산업에 마케팅적 지침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베이비붐이란? 베이비붐(Baby boom)이란 출생률이 다른 시기에 비해 현저하게 상승하는 인구학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Kim HN 2010; Cho WH 2012; Hwang SA 2012). 그 시기는 각 나라의 사정에 따라 달랐지만 통상적으로 미국의 경우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인 1946년부터 1965년 사이에 출생한 세대를 지칭하고 있고, 일본은 1947년부터 1949년 사이에 출생한 세대를 베이비붐 세대라 한다.
한국의 베이비붐 세대는 언제 태어난 세대를 의미하는가? 그 시기는 각 나라의 사정에 따라 달랐지만 통상적으로 미국의 경우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인 1946년부터 1965년 사이에 출생한 세대를 지칭하고 있고, 일본은 1947년부터 1949년 사이에 출생한 세대를 베이비붐 세대라 한다. 한국의 베이비붐 세대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이견이 있었으나, 한국전쟁이 종료된 이후 출산율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시점인 1955년에 태어나 산아제한이 시작되기 직전, 눈에 띄게 출생률이 둔화되었던 1963년까지의 출생자를 베이비붐 세대로 정의하는 것이 통상적이다(Kim HN 2010; Kim YW 2010; Hwang SA 2012; Park M 2012). 우리나라의 베이비붐 세대는 총 695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4.
우리나라의 베이비부머들의 특성은? 우리나라의 베이비부머들은 산업화, 민주화,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등 급격한 사회경제변화 속에서도 국가와 자신의 발전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던 성장 동력 세대이다. 이들의 특성은 현재의 고령세대에 비해 고학력 전문 집단이자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소비력을 가지고 있는 중상계층을 형성하고 있는 세대들이며, 가치관에 있어서는 가족 중심적이고 자녀 중심의 가치체계를 보유한다. 또한 자신들의 노후 보장과 자산의 안정적인 성장 및 보장 등을 주된 관심사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Cho WH 2012; Oh KS 2013).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기대수명이 크게 늘어나 한국의 베이비 붐 세대가 노년에 진입하기 시작하는 2018년에 고령사회로, 베이비붐 세대의 막내격인 1963년 출생자들이 노년기에 진입하게 되는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된다(통계청 2009, 통계청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e JY. 2013. Research on dietary behaviors of Korean housewives living in cities and demanding of community kitchen according to their life style. MS Thesis, Yonsei Uni. Seoul. Korea 

  2. Cho WH. 2012. A study on the preparation among baby boomers for old age according to their lifestyle: focusing on Daejeon area. MS Thesis, Korea Uni. Seoul. Korea 

  3. Choi HS. 2012. A research on how national medical examination service have effects on health promotion. MS Thesis, Hansung Uni. Seoul. Korea 

  4. Hwang SA. 2012.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retirement preparation. MS Thesis, Hoseo Uni. Cheonan. Korea 

  5. Hyun MS. 2013. Utilization and preference on the basic side dishes: survey of housewives in Seoul and Gyonggi area. MS Thesis, Hankyong Uni. Ansung. Korea 

  6. Jang YJ. 2008. Analysis on the practical use and cognition toward processed foods in the school meal service in Daejeon. MS Thesis, Kongju National Uni. Kongju. Korea 

  7. Jeong JH. 2012. The relationship of satisfaction with food related life, food service quality and quality of life. MS Thesis, Ewha Women's Uni. Seoul. Korea 

  8. Jung HK. 2011. Consumer survey and hazard analysis for the improvement of food hygiene and safety in purchase. MS Thesis, Korea Uni. Seoul. Korea 

  9. Kang HY. 2012. An analysis on working wives' use of HMR products developed by major companies and market shares through conjoint analysis. MS Thesis, Yonsei Uni. Seoul. Korea 

  10. Kim HC, Kim MR. 2005. Consumer attitudes towards food additives. J East Asian Soc Dieatary Life 15:126-135 

  11. Kim HK. 2007. The differences from blood lipid, body composition, fitness and function of pulmonary, depending on 20-30's women`s smoking. MS Thesis, Chungang Uni. Seoul. Korea 

  12. Kim HN. 2010. Life style with consumer values and consumer behaviors of baby-boom generation. MS Thesis, Ewha Womans Uni. Seoul. Korea 

  13. Kim YW. 2010. A study of Korean baby boom generation's preparation for aged life. MS Thesis, Sangji Uni. Wonju. Korea 

  14. Kwon HJ. 2007. An empirical study on women's drinking and alcohol addiction -focused on married middle aged women-.MS Thesis, Hoseo Uni. Asan. Korea 

  15. Lee HY. 2009. Understandings and recognition about consumption of processed foods and food additives by housewives in Busan area. MS Thesis, Kosin Uni. Busan. Korea 

  16. Lee JH. 2012. Analysis for drinking behavior in Korean adults and proposal of screening tool for at-risk drinking: result from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h.D. Thesis. Ewha Womans Uni. Seoul. Korea 

  17. Lee YJ. 2013. Dietary habit, nutrition knowledge and perception convenience foods of workers in Busan. MS Thesis, Dong-A Uni. Busan. Korea 

  18. Oh KS. 2013. Study on female from babyboom generation's perception and preparation for aged life. MS Thesis, Kwangwoon Uni. Seoul. Korea 

  19. Oh WK. 2008. A study on the HMR marketing strategy of dietary life style through analysis. MS Thesis, Kyonggi Uni. Suwon. Korea 

  20. Park M. 2012. The first generation of baby boomers on health behavior research. MS Thesis, Korea Uni. Seoul. Korea 

  21. Park SH. 2010. A study on influence and countermeasure of the retirement of baby boom generation. MS Thesis, Korea Uni. Seoul. Korea 

  22. Ryu PK. 2011. The study on eating habits as the degrees of obesity among married women in Changwon, Korea. MS Thesis, Inje Uni. Kimhae. Korea 

  23. Seo EH. 2012. Studies on demand for dietitian role and need for appointment of dietitian in silver town. MS Thesis, Kyungnam Uni. Changwon. Korea 

  24. Seo JH. 2011. The effect of parents' food consumption pattern on children's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 Daegu. Korea 

  25. Shin DH. 2010. Study on the difference in health card utilization amount and disease pattern beteen screening and non screening group check up program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MS Thesis, Korea Uni. Seoul. Korea 

  26. Son JE. 2013. Metropolitan workers cohabiting family members, according to age, gender, breakfast eating habits related behaviors and undernourished. MS Thesis, Konkuk Uni. Seoul. Korea 

  27. Yoo CK. 2003. Serum lipid profile and body weight changes after hormone replacement therapy in postmenopausal women. MS Thesis, Dongduk Women's Uni. Seoul. Korea 

  28. 국민건강보험 통계자료실. http://sis.nhis.or.kr/site/sis/ggog021m01?#38;open_main6&open_sub12&open_sub20). 2013.10.05. 방문 

  29. 농림수산식품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12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 조사. pp. 140-150 

  30.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1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 2차년도. pp. 52-53 

  31.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절주 및 알코올 정책수립을 위한 지표개발. pp. 3-5 

  32. 이미숙, 박영숙, 현화진, 김순경, 송은승, 이경애, 이선영, 현태선, 김희선, 윤은영. 2012. 리빙토픽 영양과 식생활. 교문사. pp. 7-10 

  33. 통계청. 2009. 향후 10년간 사회변화 요인분석 및 시사점. pp. 10 

  34. 통계청. 2010. 통계로 본 베이비붐 세대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pp. 17 

  35. 통계청. 2012 인구주택총조사에서 나타난 1인 가구 현황 및 특성. pp. 1 

  36. 통계청. 2012. 베이비부머 및 에코세대의 인구 ${\cdot}$ 사회적 특성분석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중심으로- pp. 1-36 

  37. 한국건강증진센터 건강길라잡이 http://www.hp.go.kr/hpPortalCont.dia?methodcontSubView&fldhlife01&pgid04_01_2. 2013.04.10. 방문 

  3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2. 식품 수급의 최근 동향과 시사점. pp. 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