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로자의 우울 관련 요인: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행태, 근무환경을 중심으로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Workers by Socio-economic Factors, Health Behaviors, and Characteristics of Work Environment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0 no.5, 2013년, pp.125 - 138  

이현경 (국립서울병원 정신보건연구과) ,  손민성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보건정책관리학전공) ,  최만규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보건정책관리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workers in South Korea by socio-economic factors, health behaviors, and working conditions. Methods: Study subjects include 4,251 adults (19 and older) who are currently working using the data from 2009 N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근로자들의 우울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근로자가 겪고 있는 우울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관련 요인을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근로자 우울의 원인을 모색하기 위해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행태, 근무환경 등의 우울 관련 요인을 확인하고, 근로자들의 우울을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2009)의 원자료에서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만 19세 이상 성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표본의 일반성과 대표성이 높다고 하겠다. 또한 이 연구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정신건강 관련 선행연구들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근로자의 사회 경제적 특성, 건강행태, 근무환경 등 우울 관련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실효성 있는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개발과 수립, 집행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 이 연구는 우리나라 근로자의 우울 관련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그들의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행태, 근무환경에 따라 우울 관련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로자의 건강유지 증진 관련 연구의 추세는 어떻게 바뀌고 있는가? 근로자의 건강유지 증진과 관련해서 과거에는 근무환경에 따른 신체적 손상과 질병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면, 최근에는 근로자의 근무환경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도 근로자들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해 직무스트레스, 불평등, 직장 내 리더십과 대인관계 등에 관한 정책과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에서 근로자들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해 하고 있는 노력은 무엇인가? 근로자의 건강유지 증진과 관련해서 과거에는 근무환경에 따른 신체적 손상과 질병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면, 최근에는 근로자의 근무환경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도 근로자들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해 직무스트레스, 불평등, 직장 내 리더십과 대인관계 등에 관한 정책과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OECD(Orgah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통계 결과, 우울 등의 정신질환의 경우, 특히 주요 경제활동 연령대인 30-50대의 유병률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약 3배 높은 것으로 보고되 었고, 특히 한국은 하위권을 차지하여 한국인 근로자들의 정신건강이 심각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08).
근로자들에게 정신질환 중에서도 특히 우울이 위험한 이유는? 최근에는 근로자의 정신질환 중에서도 특히 우울이 대표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Bender & Farvolden, 2008; Wang, 2005). 근로자들의 우울은 삶의 질 저하 등 개인적인 건강문제 뿐만 아니라 인식의 불명확성, 능률저하, 자존감 상실 등 복합적인 원인 때문에 기업과 사회에 복잡하고 심각한 피해를 주고, 간접적으로는 기업의 생산성 감소 등 사회적 비용을 초래하고 있다(Bender & Farvolden, 2008; Stewart, Ricci, Chee, Hahn, & Morganstein, 2003). 최근 하버드 의과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한 달동안 근로자 100명 당 6명이 결근을 하는데 이러한 결근의 주요 원인 중에서 35-45%가 우울 등의 정신건강 문제라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ender, A., & Farvolden, P. (2008). Depression and the workplace: A progress report. Current Psychiatry Reports, 10(1), 73-79. 

  2. Charbonneau, A., Bruning, W., Titus-Howard, T., Ellerbeck, E., Whittle, J., Hall, S., & Munro, S. (2005). The community initiative on depression: Report from a multiphase work site depression interventio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7(1), 60-67. 

  3. Cho, J. J., Kim, J. Y., Chang, S. J., Fiedler, N., Koh, S. B., Crabtree, B. F., & Choi, Y. H. (2008).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in Korean employees.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82(1), 47-57. 

  4. Heo, H. T., Kim, D. W., Lee, J. S., Jo, H. A., Jang, S. S., Kim, S. Y., & Kim, I. A. (2012). An association between working schedules and depression in public sector employees.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4(4), 347-355. 

  5. Hong, J., Knapp, M., & McGuire, A. (2011). Income-related inequalities in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suicidal behaviour: 1 10-year trend following economic crisis. World Psychiatry, 10(1), 40-44. 

  6. Jang, I. S. (2009). A study on the correlation among occupational stress, depression, health - related behavior and type a behavior patterns of male workers at a steel factor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2), 153-164. 

  7. Joh, K. O., Park, T. J., Oh, J. I., Paek, D. M., Park, J. S., & Cho, S. I. (2011).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physical and chemical hazard exposures and mental health problem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3(3), 287-297. 

  8. Kang, J. H., Jung, S. O., Yoon, Y. K., Roh, M. Y., Choi, Y. H., & Kim, J. E. (2011). The relationships among depression level, stres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Korea navy sailors. Journal of Militry Nursing Research, 29(2), 66-76. 

  9. Kim, H. R. (2009). Implication of health behaviors in socioeconomic health inequalities and policy direc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49(4), 36-47. 

  10. Kim, H. J., & Song, I. H. (2010). Depressive mood, suicidal ideation, and alcohol drinking behavior among married employees. Mental Health & Social Work, 36, 1-30. 

  11. Kim, J. H., Hyun, M. Y., & Kim, S. Y. (2009). Job stress,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2), 219-231. 

  12. Kim, M. J. (2011). Countermeasures of workplace stress in Japan. International Labor Brief, 11, 80-98. 

  13. Kim, S. S., Chung, Y., Subramanian, S., & Williams, D. R. (2012). Measuring discrimination in South Korea: Underestimating the prevalence of discriminatory experiences among female and less educated workers? PloS one, 7(3), e32872. 

  14. Ko, S. D., Son, A. R., & Choi, Y. S.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the geriatric depression to the elderly's general characteristic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6(1), 3-10. 

  15. Kolstad, H. A., Hansen, A. M., Kærgaard, A., Thomsen, J. F., Kaerlev, L., Mikkelsen, S., & Kristensen, A. S. (2011). Job strain and the risk of depression: Is reporting biased?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73(1), 94-102. 

  16.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KOSIS). (2010). Retrieved from http://kosis.kr/ 

  17. Lee, H. J., Eo, Y. S., Park, N. H., & Lee, G. Z. (2002). Factors discriminating nurses' depression among pers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6), 867-877. 

  18. Lee, H. J., Kahng, S. K., & Lee, J. Y. (2008).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position and health behavior on geriatric depressive symptom.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8(4), 1129-1145. 

  19. Lee, H. K., Sohn, M. S., & Choi, M. K. (2012). Factors affecting the mental health of the aged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12), 672-682. 

  20. Lee, K. J., & Ji, Y. H. (2011).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laughter therapy program for the relief and treatment of the job stress(PTSD) of police officers. A collection of Police Science, 6(1), 69-93. 

  21. Lee, S. C., Kim, J. K., Kim, T. J., & Kim, D. G. (2012). Healthy workplace criteria: Mental health.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860. 

  22. Mudgal, J., Guimaraes-Borges, G. L., Diaz-Montiel, J. C., Flores, Y., & Salmeron, J. (2006). Depression among health workers: The role of social characteristics, work stress, and chronic diseases. Salud Mental, 29(5), 1-8. 

  23.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2008). Employment outlook 2008. Retrieved from http://www.oecd.org/statistics 

  24. Park, C. K., & Lee, J. L. (2011).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of depression of Korean adult male and female. Health and Social Science, 29, 99-128. 

  25. Park, K. O. (2004). Work environments and work conditions associated with stress symptoms among Korean manufacturing factory worker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30(3), 272-282. 

  26. Park, J. H., Lee, M. K., & Jang, Y. E. (2010). A study on the effect of job stress of employees to depression: moderating effect of quantities and frequencies of dringking.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11(1), 1-14. 

  27. Sanne, B., Mykletun, A., Dahl, A., Moen, B. E., & Tell, G. S. (2005). Testing the job demand-control-support model with anxiety and depression as outcomes: The Hordaland health study. Occupational Medicine. 55(6). 463-473. 

  28. Spek, V., Cuijpers, P., Nyklicek, I., Riper, H., Keyzer, J., & Pop, V. (2007). Internet-based cognitive behaviour therapy for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Medicine, 37(3), 319-328. 

  29. Stewart, W. F., Ricci, J. A., Chee, E., Hahn, S. R., & Morganstein, D. (2003). Cost of lost productive work time among US workers with depressio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9(23), 3135-3144. 

  30. Talala, K., Huurre, T., Aro, H., Martelin, T., & Prattala, R. (2008). Socio-demographic differences in self-reporte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25- to 64-year-old Finns. Social Indicators Research , 86(2), 323-335. 

  31. Talala, K., Huurre, T., Aro, H., Martelin, T., & Prattala, R. (2009). Trends in socio-economic differences in self-reported depression during the years 1979?2002 in Finland.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44(10), 871-879. 

  32. Theorell, T., Osika, W., Leineweber, C., Hanson, L. L. M., Horwitz, E. B., & Westerlund, H. (2013). Is cultural activity at work related to mental health in employees?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86, 1-8. 

  33. Wang, J. (2005). Work stress as a risk factor for major depressive episode. Psychological Medicine, 35(6), 865-871. 

  34. Wang, J., Schmitz, N., Dewa, C., & Stansfeld, S. (2009). Changes in perceived job strain and the risk of major depression: Results from a population-based longitudinal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69(9), 1085-1091. 

  35. Wang, P. S., Simon, G. E., Avorn, J., Azocar, F., Ludman, E. J., McCulloch, J., & Kessler, R. C. (2007). Telephone screening, outreach, and care management for depressed workers and impact on clinical and work productivity outcome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8(12), 1401-1411. 

  36. Yoon, S. H. (2009).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in Clinical Nurses -Using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5(3), 463-4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