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등 예비과학교사의 교육과정 설계에서 교육과정 자료의 활용 방식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Uses of Curriculum Materials in Curriculum Desig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3 no.7, 2013년, pp.1312 - 1328  

양찬호 (서울대학교) ,  배유진 (서울대학교) ,  노태희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사례연구를 통해 중등 예비과학교사의 교육과정 설계에서 교육과정 자료의 활용 방식을 조사하였다. 서울 소재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두 명의 예비과학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교수학습관에 대한 사전면담을 실시한 후, 교육실습 기간 동안 이루어진 각 예비교사의 수업을 관찰하였고, 모든 교수학습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업 실행 전후에 반구조화된 면담을 진행하였다. 예비교사들의 교육과정 자료의 활용 방식을 읽기, 평가, 응용의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두 예비교사의 교육과정 설계에서 교육과정 자료의 활용 방식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교육과정 자료에 대한 읽기의 방식에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두 예비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관점의 차이로부터 비롯되었다.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관점의 차이는 교육과정 자료의 응용 방식에도 영향을 미쳐서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해 적극적인 관점을 지닌 경우 '구성요소 추가'가, 소극적인 관점을 지닌 경우 '구성요소 변형'이 중요한 응용 방식이었다. 또한, 예비교사의 교수학습관에 따라 교육과정 자료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를 고려하는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평가에서의 이러한 차이는 '교사중심활동의 증가'와 '학생중심활동의 증가' 응용에서의 질적인 차이로 연결되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uses of curriculum materials in curriculum design through a case study. Two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t a college of education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interviewed them about their beliefs on teaching and learni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과정의 설계란? 최근에는 교사의 교육과정 활용을 교실 수준에서 실제로 이루어진 교육과정(enacted curriculum)의 측면에서 이해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반영하여 교사의 교수 활동을 설계(design)로 보는 관점(Brown, 2009; Forbes & Davis, 2010)은 교사의 교육과정 활용을 이해하는데 시사점이 크다. 설계는 교수 전반에서 끊임없이 일어나는 교사의 의사결정 과정으로, 교사는 주어진 교육과정을 그대로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교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 능동적인 과정에서 자신의 교육과정을 설계한다(Porter & Smithson, 2001; Remilliard, 2005). 이때, 교사가 교육과정 자료를 비판적으로 선택하고 분석하여 응용하는 것은 핵심적인 요소이다(Brown, 2009; Remillard, 2005).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것의 핵심요소는? 설계는 교수 전반에서 끊임없이 일어나는 교사의 의사결정 과정으로, 교사는 주어진 교육과정을 그대로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교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 능동적인 과정에서 자신의 교육과정을 설계한다(Porter & Smithson, 2001; Remilliard, 2005). 이때, 교사가 교육과정 자료를 비판적으로 선택하고 분석하여 응용하는 것은 핵심적인 요소이다(Brown, 2009; Remillard, 2005). 교육과정 자료란 교육과정을 구체화한 것으로 학교에서 주로 사용되는 교육과정 자료는 교과용 도서이다(권종미 등, 2001).
교육과정 자료란? 이때, 교사가 교육과정 자료를 비판적으로 선택하고 분석하여 응용하는 것은 핵심적인 요소이다(Brown, 2009; Remillard, 2005). 교육과정 자료란 교육과정을 구체화한 것으로 학교에서 주로 사용되는 교육과정 자료는 교과용 도서이다(권종미 등, 2001). 교과용 도서는 학생용 교재인 교과서와 교사용 교재인 교사용 지도서 뿐 아니라 함께 제공되는 수업 지도안, 활동지, 수업 진행 PPT 등을 포함하며, 학교 현장에서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주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강현석, 방기용 (2012). 교육과정 재구성 저해 요인 분석을 위한 탐색. 수산해양교육연구, 24(1), 123-135. 

  2. 권성기, 박승재 (1995). 교육대학생의 과학의 본성 개념과 구성주의 학습관의 연관성 및 변화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104-115. 

  3. 권종미, 정완호, 김영신 (2001).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개선 방향. 초등과학교육, 20(1), 75-90. 

  4. 김경순, 윤지현, 박지애, 노태희 (2011).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수업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나타난 교과교육학지식의 요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1), 99-114. 

  5. 김평국 (2005). 중등학교 교사들의 교과 내용 재구성 실태와 그 활성화 방향. 교육과정연구, 23(4), 91-130. 

  6. 박기용, 배영직, 강이철 (2009). 교육실습에서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3), 169-197. 

  7. 박성혜 (2008). 중등 교사양성과정의 교육실습에서 예비 교사들의 교과교육학지식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8(1), 169-189. 

  8. 박철용, 민희정, 백성혜 (2008).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41-648. 

  9. 서경혜 (2009).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교육과정연구, 27(3), 159-189. 

  10. 손승희 (2006). 교과내용 재구성의 의미와 발전 방향. 충남대학교 교육연구논총, 27(2), 109-125. 

  11. 손연아, 신종란, 민병미 (2007). 생물 예비 교사의 수업 시연에서 나타난 과학 수업 모형 적용 과정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3), 495-507. 

  12. 전주영, 홍영기 (2009). 교육과정 재구성 방법으로서 구조 중심 협동학습에 관한 사례 연구. 초등교육학연구, 15(2), 79-104. 

  13. 조자경, 박기용, 강이철 (2009). 교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수업설계 행위와의 관련성 탐색. 교육공학연구, 25(3), 1-33. 

  14. Beyer, C. J. (2009). Using reform-based criteria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dagogical design capacity for analyzing science curriculum materia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15. Beyer, C. J., & Davis, E. A. (2009). Using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to suppor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curricular planning: A comparison between two different forms of support. Curriculum Inquiry, 39(5), 679-703. 

  16. Brown, M. (2009). The teacher-tool relationship: Theorizing the design and use of curriculum materials. In J. T. Remillard, B. A. Herbel-Eisenmann, & G. M. Lloyd (Eds.), Mathematics teachers at work: Connecting curriculum materials and classroom instruction (pp. 17-36). NY: Routledge. 

  17. Brown, M., & Edelson, D. C. (2003). Teaching as design: Can we better understand the ways in which teachers use materials so we can better design materials to support their changes in practice? Evanston, IL: Center for Learning Technologies in Urban Schools. 

  18. Brown, S. L., & Melear, C. T. (2006). Investigation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beliefs and practices after authentic inquiry-based experienc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9), 938-962. 

  19. Chan, K. W., & Elliott, R. G. (2004). Relational analysis of personal epistemology and conception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0(8), 817-831. 

  20. Davis, E. A. (2006).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critique of instructional materials for science. Science Education, 90(2), 348-375. 

  21. Dow, P. B. (1991). Schoolhouse politics: Lessons from the Sputnik era.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2. Drake, C., & Sherin, M. G. (2006). Practicing change: Curriculum adaptation and teacher narrative in the context of mathematics education reform. Curriculum Inquiry, 36(2), 153-187. 

  23. Forbes, C. T., & Davis, E. A. (2008).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curricular role identity for science teaching. Science Education, 92(5), 909-940. 

  24. Forbes, C. T., & Davis, E. A. (2010). Curriculum design for inquir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mobilization and adaptation of science curriculum materia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7), 820-839. 

  25. Grossman, P. L., & Thompson, C. (2002). Visions of language arts: Curriculum materials as opportunities for secondary teacher learn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New Orleans, LA. 

  26. Kauffman, D., Johnson, S. M., Kardos, S. M., Lui, E., & Peske, H. G. (2002). “Lost at sea”: New teachers' experiences with curriculum and assessment. Teachers College Record, 104(2), 273-300. 

  27. Kwak, Y. (2001). Profile chance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beliefs about constructivist learning: Implications for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Ohio State University. 

  28. Lloyd, G. M., & Behm, S. L. (2005).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analysis of mathematics instructional materials. Action in Teacher Education, 26(4), 48-62. 

  29. Mulholland, J., & Wallace, J. (2005). Growing the tree of teacher knowledge: Ten years of learning to teach elementary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7), 767-790. 

  30. Ogan-Bekiroglu, F., & Akkoc H. (2009). Preservice teachers'instructional beliefs and examination of consistency between beliefs and pract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7(6), 1173-1199. 

  31. Porter, A. C., & Smithson, J. L. (2001). Defining, developing, and using curriculum indicators: Consortium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 (Report # RR-048), University of Pennsylvania. 

  32. Remillard, J. T. (2005). Examining key concepts in research on teachers'use of mathematics curricula.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5(2), 211-246. 

  33. Remillard, J. T., & Bryans, M. B. (2004). Teachers' orientations toward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 Implications for teacher learn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5(5), 352-388. 

  34. Schwarz, C. V., Gunckel, K. L., Smith, E. L., Covitt, B. A., Bae, M., Enfield, M., & Tsurusaki, B. (2008). Helpi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learn to use curriculum materials for effective science teaching. Science Education, 92(2), 345-377. 

  35. Sharan, Y., & Sharan, S. (1990). Group investigation expands cooperative learning. Educational Leadership, 47(4), 17-21. 

  36. Sherin, M. G., & Drake, C. (2009). Curriculum strategy framework: Investigating patterns in teachers'use of a reform-based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41(4), 467-500. 

  37. Slavin, E. R. (1990). Cooperative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Boston: Allyn and Bacon. 

  38. Spillane, J. P. (1998). Challenging instruction for "all students": Policy, practitioners, and practice. Evanston, IL: Institute for Policy Research, University of Northwestern. 

  39. Tsai, C. C. (2002). Nested epistemologies: Science teachers' beliefs of teaching, learning and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8), 771-78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