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변별과제에서 초등학생의 안구운동 분석을 통한 발견적 주의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the Heuristic Attention Model Based on Analysis of Eye M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Discrimination task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3 no.7, 2013년, pp.1471 - 1485  

신원섭 (서울교육대학교) ,  신동훈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변별과제를 해결하는 동안 초등학생의 안구운동을 분석하여 발견적 주의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 6학년 20명이었고 모두 부모의 동의 절차를 거친 자발적인 지원자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변별과제는 권재술과 김범기(1994)가 개발한 과학탐구능력 검사지에서 아이트래킹으로 실험 가능한 두 과제를 선택하였다. 학생들의 안구운동의 수집은 SMI사의 iView X TM RED 120 Hz를 사용하였고 실험설계와 분석은 동사의 Experiment 3.2와 BeGaze 3.2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학생들의 모든 안구운동은 응시시간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과 문제해결과정에서 학생개인의 인지사고과정을 추론하는 정성적인 분석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실험 자료의 시각정보의 복잡한 정도에 따라 인지적 부담이 가중되었고 대상을 재인하는 관점 의존적이었다. 둘째, 실험 자료의 제시로 상향식주의가 발화되었고 하향식주의에 의해 의도적이고 목표지향적인 안구운동과 혼란 주의에 의한 안구운동을 구분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인간의 주의와 안구운동을 도식할 수 있었다. 셋째, 압축된 시선흐름(compressed scan-path)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문제해결전략을 도출하였다. 넷째,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발견적 주의 모델(HAM)을 개발하였다. 이 발견적 주의 모델은 앞으로 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을 분석하는데 효과적인 분석관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AM (Heuristic Attention Model) by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eye movements according to the science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discrimination task. Science achievement was graded by the results of the Korea national achievement t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 전문가 2명, 초등 과학교육전공 석사 학위자 3명으로 구성된 전문가집단을 구성하였고 과제 선정과 실험 설계, 실험결과 분석방법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협의과정을 거쳤다. 실험설계는 독일 SMI(Senso Motoric Instruments)사의 Experiment 3.
  • 본 연구에서는 변별과제를 해결하는 동안 초등학생의 안구운동을 분석하여 발견적 주의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 6학년 20명이었고 모두 부모의 동의 절차를 거친 자발적인 지원자였다.
  • 만약 문제해결을 위한 정확한 문제해결전략이 없거나 하향식주의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 학생들은 과제의 시각정보에 의존한 상향식주의에 의한 안구운동을 하거나 과제해결과 상관없는 혼란적인 안구운동을 보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변별과제를 해결하는 동안의 안구운동을 분석하여 초등학생들의 시각정보에 따른 인지적 부담(cognition load)과 문제해결전략(question solving strategy)을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안구운동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과 정성적인 분석을 통해 주의와 안구운동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 관계를 바탕으로 발견적 주의 모델(heuristic attention model)을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변별과제를 해결하는 동안의 안구운동을 분석하여 초등학생들의 시각정보에 따른 인지적 부담(cognition load)과 문제해결전략(question solving strategy)을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안구운동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과 정성적인 분석을 통해 주의와 안구운동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 관계를 바탕으로 발견적 주의 모델(heuristic attention model)을 개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주의모델 개발은 학생들의 인지발달 또는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시각주의의 패턴을 명시화할 수 있는 발판을 제시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육자료 개발에 기초적인 연구로서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가정은 학생들에게 과제가 제시되면 먼저 과제의 특성이 학생들의 상향식주의를 이끌 것이고 동시에 과제의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의도적이고 목표지향적인 하향식주의가 점화되고, 그 이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개인의 인지모델에서 전략이 발현되어 문제해결과정 동안 안구운동을 이끌어간다는 것이다. 만약 문제해결을 위한 정확한 문제해결전략이 없거나 하향식주의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 학생들은 과제의 시각정보에 의존한 상향식주의에 의한 안구운동을 하거나 과제해결과 상관없는 혼란적인 안구운동을 보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각은 어떤 감각기관인가? 시각은 인간에게 필요한 정보 수집과 뇌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가장 핵심적인 감각기관이다(최경주와 박민철, 2011). 시각정보는 망막의 시세포(cone cell and rod cell)를 통해 시신경에 전달되고 외측슬상핵 (lateral geniculate nucleus)을 거쳐 1차 시각피질 (visual cortex)에 전달된다(이민호, 2009; Snowden et al.
특징통합이론의 특징은? , 1989, Wolfe, 1994)이다. 특징통합이론은 시각정보의 여러 시각적 요소의 특징들로부터 전주의적 처리(pre-attentive process)와 이 특징을 통합하는 초점 주의(focal attention)로 시선결정모델을 제안했지만, 시각요소의 결합적인 탐색에서 병렬적 수행관점과 통합의 방법과 절차 등에 대한 정확한 메커니즘을 밝혀내지 못했다(이민호, 2009). 안내 탐색은 복잡한 시각적 결합상황에서 여러 가지 시각 요소로부터 돌출성 지도(salience map)를 구성함으로써 특징통합이론의 단점을 보완하여 인간의 병렬적인 탐색관점을 발전시켰다.
‘what path’와‘where path’란 무엇인가? 시각정보의 전달 경로는 단일 경로를 거치는 것이 아니라 그 정보의 특성과 유형에 따라 다른 경로를 가진다. 사람은 어떤 대상을 재인하고 확인하기 위해 1차 시각피질에서 측두엽 (temporal lobe)으로 연결된 복측 경로(ventral route)를 이용하고 대상의 공간적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1차 시각피질에서 후두정엽으로 연결된 배측 경로(dorsal route)를 이용한다(이민호, 2009). 이를 ‘what path’와‘where path’라고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권재술, 김범기(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2. 박민철, 최경주(2005). 모션 기반 선택적 주의 시스템. 한국콘텐츠학회지, 5(6), 87-96. 

  3. 박상재, 신장규, 이민호(2002). 독립성분해석 알고리즘을 이용한 칼라영상에서의 상향식 선택적 주의 집중 시각 모델. 경북대학교 센서기술연구소, 13(1), 150-154. 

  4. 손영숙, 이현구, 옥애니, 김민식(2003). 선택적 주의와 관점의 변화가 무의미 도형의 재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5(2), 259-274. 

  5. 신동훈(2006). 생물학 가설 생성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감성의 생성 과정 설명을 위한 신경 인지적 모형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2), 232-245. 

  6. 신원섭, 신동훈(2012). 초등 교사들의 과학교과서 그래프 이해 과정에 대한 안구 운동 분석. 초등과학교육, 31(3), 386-397. 

  7. 신원섭, 신동훈(2013). 관찰 문제에서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에 따른 안구운동 분석. 초등과학교육, 32(2), 185-197. 

  8. 신원섭, 신동훈, 전영석(2013). UX관점에서 Eyetracking을 이용한 교육용 게임 UI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7(2), 211-224. 

  9. 이민호(2009). 선택적 주의집중 인공시각 시스템. 전자공학회지, 36(11), 52-65. 

  10. 이유부, 이석한(2013). 상향식 돌출과 하향식 단서 결합 기반 시각주의를 이용한 얼굴검출. 정보과학학회지, 40(2), 99-107. 

  11. 정범수, 이민호(2004). 인체의 상향식 선택적 주의 집중 시각 기능을 모방한 능동 스테레오 감시 시스템의 개발. 한국센서학회지, 13(2), 144-151. 

  12. 조인수(1998). 시각변별과제 전이조작에 따른 정신지체아의 선택적 주의집중과 학업성취수준 변화. 발달장애학회지, 2, 1-14. 

  13. 최경주, 박민철(2011). 인간의 주의시각에 기반한 시각정보 선택방법. 멀티미디어학회지, 14(3), 378-391. 

  14. 최경주, 이일병(2005). 인간의 시각적 주의 특성에 바탕을 둔 현저한 영역 탐지. 정보과학학회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31(2), 189-202. 

  15. 최민영(2003) 사용자의 시각적 인지 특성에 기초한 시선 추적 분석 방법에 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16(4), 197-206. 

  16. 최현동, 신원섭, 신동훈(2012). 초등과학영재와 일반 아동의 분류 과정에서 나타나는 안구 운동 패턴의 차이. 초등과학교육, 31(4), 501-512. 

  17. Choi, S. B., Ban, S. W., & L, M. (2004). Human-Like Selective Attention Model with Reinforcement and Inhibition Mechanism.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3316, 694-699. 

  18. Cook, M., Wiebe, E. N., & Carter, G. (2011). Comparing visual representation of DNA in two multimedia presentations. Journal of Educational Multimedia and Hypermedia, 20(1), 21-42. 

  19. Corbetta, M., Shulman, G. L., Miezin, F. M., & Petersen, S. E. (1995), Superior cortex activation during spatial attention shifts and visual feature conjunction. Science 270, 802-805. 

  20. Goldberg, J. H., & Kotval, X. P. (1999). Computer interface evaluation using eye movements: Methods and construct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4(6), 631-645. 

  21. Haciomeroglu, E. S., & Chicken, E. (2012). Visual thinking and gender differences in high school calculus.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 Technology. 43(3), 303-313. 

  22. Henderson, J. M. (1992). Visual attention and eye movement control during reading and picture viewing. In K. Rayner (Ed.), Eye movements and visual cognition: scene perception and reading (pp. 260-283). New York: Springer-Verlag. 

  23. Holmqvist, K., NystrOm, M., Anderson, R., Dewhurst, R., Jarodzka, H., & van de Weijer, J. (2011). Eye tracking : A comprehensive guide to methods and measures, pp. 9-144. Oxford University Press. 

  24. Itti, L., Koch, C., & Niebur, E. (1998). A model of saliencybased visual attention for rapid scene analysis. IEEE Trans. Patt. Anal. Mach. Intell, 20(11), 1254-1259. 

  25. Liu, C. J., & Shen, M. H. (2011). The influence of different representations on solving concentration problems at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20, 621-629. 

  26. Moore, T., & Fallah, M. (2001). Control of eye movements and visual attention. Proceeding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SA. 98, 1273-1276. 

  27. Muller, H. J., & Krummenacher, J. (2006). Visual search and selective attention. VISUAL COGNITION, 14(4/5/6/7/8), 389-410. 

  28. Navalpakkam, V., & Itti, L. (2002) A Goal Oriented Attention Guidance Model. Biologically Motivated Computer Vision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2525, 453-461. 

  29. Rauthmann, J. F., Seubert, C. T., Sachse, P., & Furtner, M. R. (2012). Eyes as windows to the soul: Gazing behavior is related to personal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6, 147-156. 

  30. Senso Motoric Instruments. (2011a). BeGaze Manual version 3.1. 

  31. Senso Motoric Instruments. (2011b). iView XTM Manual. 

  32. Slykhuis, D. A., Wiebe, E. N., & Annetta, L. A. (2005). Eyetracking students’attention to powerpoint photo- graph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4(6), 509-520. 

  33. Snowden, R., Tnompson, P., & Troscianko, T. (2011). Basic vision : An introduction to visual perception. 오성주 역, 학지사, 2013. 

  34. Tang, H., & Pienta, N. (2012). Eye-Tracking Study of Complexity in Gas Law Problem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89(8), 988-994. 

  35. Treisman, A., & Gelade, G. (1980). A Feature-integration Theory of Attention. Cognitive Psychology, 12, 97-136. 

  36. Treisman, A. (1986). Features and objects in visual processing. Scientific American 255, November, 106-115. 

  37. Tsai, M. J., Hou, H. T., Lai, M. L., Liu, W. Y., & Yang, F. Y. (2012). Visual attention for solving multiple- choice science problem: An eye- tracking analysis. Computer & Education, 58, 375-385. 

  38. Tsotsos, J. K., Culhane, S. M., Wai, W., Lai, Y., Davis, N., & Nuflo, F. (1995). Modeling visual attention via selective tuning. Artificial Intelligence, 78, 507-545. 

  39. Wolfe, J. M., & Horowitz, T. S. (2004). What attributes guide the deployment of visual attention and how do they do it? Nature Review: Neuroscience, 5(6), 495-501. 

  40. Wolfe, J. M. (1994). Guided search 2.0: A revised model of visual search.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1(2), 202-238. 

  41. Wolfe, J. M., Cave, K. R., & Franzel, S. L. (1989). Guided search: An alternative to the feature integration model for visual search.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15(3), 419-43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