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경제에 부동산 가격의 변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fluctuations in the price of real estate for a digital economy 원문보기

디지털정책연구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11 no.11, 2013년, pp.59 - 70  

최정일 (성결대) ,  이옥동 (성결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디지털 경제를 맞이하여 대부분 자산을 부동산에 투자하고 있어 향후 부동산 가격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다양한 변수들이 주택 등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으로 세대주와 생산가능인구, 금리, 주가지수 등 4가지 변수들을 선정하여 어느 변수가 서울아파트 가격에 얼마나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실증적으로 서울아파트가격의 결정모형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주가지수만 서울아파트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대주나 생산가능인구는 기존의 연구처럼 서울아파트와 방향성은 동일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립변수 중에서 서울아파트 가격의 결정요인으로 주가지수만 주요 변수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결과 향후 주택 등 부동산시장의 예측하기 위해서는 주식시장의 전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people invest most of their asset in real estate, there is high interest in changing in housing and real estate prices in the future for a digital economy. Various variables are affecting the housing and real estate market. Among them, four variables : households, productive population, interes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주택 등 부동산 시장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몇 가지 변수들을 선정하여 살펴보고 향후 부동산 시장을 예측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실증적으로 서울아파트 가격의 결정모형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아파트를 비롯하여 부동산시장이 거래가 감소하면서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변수들 중에서 세대주, 생산가능 인구, 금리, 주가지수 등의 변수를 선정하여 어느 변수가 서울아파트 가격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인구구조를 대표하는 세대주와 생산가능인구의 변동이 부동산 가격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논문과 달리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해 거시경제지표인 금리와 주가지수를 비롯하여 인구구조인 세대주와 생산가능인구를 포함시키고 있다. 세대주와 생산가능인구의 변동이 부동산 가격변동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주식시장이 상승하면 유동성이 풍부해지면서 그 유동성이 주택 등 부동산시장으로 유입되어 서울아파트 가격이 상승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연구결과 인구구조 및 경제변수의 변화가 주택가격에 영향을 준다는 대립가설을 채택할 수 있다. 향후 주택 등 부동산시장의 예측하기 위해서는 주식시장의 전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의 대립가설은 "인구구조 및 경제변수의 변화가 주택가격에 영향을 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구구조를 나타내는 변수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습니까? 인구구조의 변화는 주택의 수요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인구구조를 나타내는 변수로는 총인구수와 고령화지수, 세대주수, 생산가능인구, 출산률 등이 있다. 인구가 증가하거나 인구가 유입되는 지역은 주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주택가격이 상승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주식시장은 부동산시장과 어떠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까? 주식시장은 부동산시장에 비해 9개월에서 10개월 선행하여 움직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주가지수가 상승(하락)하면 일정기간 후행하여 부동산 가격이 오르는(내리는) 것으로 나타나 주가지수와 부동산 시장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경제변수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습니까? 다양한 경제변수들이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경제변수에는 국내총생산, 금리, 환율, 물가, 실업률, 국제 수지, 부동산대출금, 가계부채, 부동산정책, 공급물량, 주택제고량, 주가지수 등이 있다. 경제변수는 경제생활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경제가 호전되어 자금사정이 좋아지면 주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가격이 상승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 Park, A study on the Fluctuation in Real Estate Price of Korea, Property Appraisers Papers, Korea Association of Property Appraisers, Vol. 12, No. 2, pp.69-90, 2002. 

  2. E. C. Jeong, The impact of consumer sentimental on sales price of housing. Journal of the Korea Estate, The Korea Estate Analysis Association, Vol. 16, No. 3, pp. 5-20, 2010. 

  3. H. J. Chi, Circulative Relation of Stock, Bond, Real Estate Markets to Business Cycle, Korea Management Review, Korea Academy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 27, No. 5, pp. 1277-1296, 1999. 

  4. J. H. Jo, S. C. No, Y. J. Kim, Effect of Psychological Factor for Volatility of a Housing Price,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45, No. 6, pp. 45-58, 2010. 

  5. J. H. Yoon, The Fluctuation factor in Real Estate Price, Planning and Polic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Vol. 139, pp. 52-56, 1993. 

  6. K. S. Song, M. O. Jeong, S. Y. Le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Purchase Price Composite Index and Korea Stock Price Index & Industry Group Indices on the Stock Market, School Paper, Korea Real Estate Academy. Vol. 48, pp. 77-93, 2012. 

  7. Y. S. Han, K. H. Han, J. H. Lee, A Study on the Causality of Housing Price Variations, Korea Urban Bulletin, Korea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Vol. 23, No. 2, pp. 199-219, 2010. 

  8. Kook Min Bank : www.kbstar.com 

  9. Statistics Korea : www.kostat.go.kr 

  10. The Bank of Korea : www.bok.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