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백제문화제 활성화을 위한 문화상품에 관한연구 (백제문화상품전국공모전분석을통하여)
A Study on the Cultural Goods for Vitalization Baekje Cultural Assets (Through the Analysis of National Contest Exhibition for Baekje Cultural Goods) 원문보기

디지털정책연구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11 no.11, 2013년, pp.667 - 673  

이재호 (공주대학교 조형디자인학과) ,  박승철 (공주대학교 조형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제문화제는 옛 백제의 도읍지였던 공주와 부여 지역의 역사적 기반을 바탕으로 백제문화를 재조명하고 전통문화를 계승한다는 목적 하에 개최되어 왔다. 백제의 문화를 소개하고 교육하며, 한국을 대표하는 역사문화축제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지역문화발전의 계기를 마련하여 지역공동체의 문화적 정체성 확립에 기여하여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역사문화축제인 백제문화가 당면한 문제점으로 역사문화축제가의 의미 혹은 활용방안 등에 대한 인식 부족이 있다. 이는 당초 취지와 목적에 동떨어진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목소리가 크다. 따라서 백제문화제의 다양한 경연프로그램 중 백제역사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백제문화에 대한 우수성과 독창성을 바탕으로 국제적 관심을 유도하여 백제문화상품에 대한 참신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디자인 창작열을 높인 우수한 인재를 발굴하고자 백제문화상품 전국공모전을 개최하고 있으며, 본 필자는 백제문화상품 전국공모전 통한 입상작의 문화 상품으로써 문화콘텐츠 산업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백제문화상품 전국 공모전에 관한 백제문화제 일반적 고찰, 국내 문화상품 사례를 통해, 백제문화상품 전국 공모전을 활용한 백제 역사, 문화, 재인식하고 찬란한 백제의 역사적 가치를 문화상품으로써 대중들의 관람, 소비, 홍보, 체험 등으로써 대중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aekjae Culture Festival was first held with the objective to re-explore and succeed the traditions of Baekjae culture based on history of Baekjae's seat of government, Gongju and Buyeo. It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regional culture and establishment of cultural identity of local c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백제문화제 축제 경연 프로그램 중 백제문화상품전국공모전 통한 입상작품의 활용 방향과 공예체험활동, 전시를 통한 홍보 효과 및 소비 등 공모전의 취지에 맞게 대중들에게 활성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앞서서 백제문화상품 공모전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제시를 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제시를 하였으며, 그 중에 공모전을 통한 입상작들의 상품화 및 활용 방향에 대해 신중히 생각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공모전에 홍보 및 마케팅, 백제공예관, 아트 샵, 체험학습장등 건립 및 추진하여 관람객들과 시민 등 볼거리 및 체험을 통한 백제 역사에 대한 교육의 장으로 가졌으면 한다.
  • 본 연구는 백제 문화제 축제의 활성화를 위한 경연 프로그램 중 백제문화상품 전국 공모전 중심으로 문화상품으로써 입상작품 활용 방향, 공예체험활동, 전시, 디자인특허를 통한 홍보효과, 관람, 소비등 활성화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하여 백제문화제의 유래 및 연혁과 문화제의 개요를 각종 문헌 자료, 국내 학위 논문 자료 또 국내 우수한 문화상품 공모전 사례를 분석하고 관련 자료 등을 참고하여 백제문화상품 전국공모전을 대중화와 지역의 특색, 이미지를 문화상품으로써 활성화하는데 발전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조망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화상품의 역할은 무엇인가? 지역의 문화는 단지 눈으로 보이는 것뿐만 아니라 오랜 역사와 전통에 기반을 둔 정신적 유산을 포함하며, 새로운 세기에 대처하기 위하여 변화하며 발전하는 사회의 동적인 움직임을 함께 의미한다. 문화상품은 지역의 문화적 수준을 나타내는 하나의 척도로서 구전을 통해 지역을 알리는 홍보의 메신저 역할을 하여,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제공하여 관광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1] 이러한 중요성에 불구하고 현재 지역 축제 및 관광지에서 판매되고 있는 공예문화상품의 지역별로 차별화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며 체험활동, 관람, 소비, 홍보등 지역의 의미지의 일괄된 상품으로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
현재 지역 축제 및 관광지에서 판매되고 있는 공예문화상품의 현실은 어떠한가? 문화상품은 지역의 문화적 수준을 나타내는 하나의 척도로서 구전을 통해 지역을 알리는 홍보의 메신저 역할을 하여,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제공하여 관광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1] 이러한 중요성에 불구하고 현재 지역 축제 및 관광지에서 판매되고 있는 공예문화상품의 지역별로 차별화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며 체험활동, 관람, 소비, 홍보등 지역의 의미지의 일괄된 상품으로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 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백제문화제의 기원인 '백제대제' 당시 지역주민들은 무엇을 하였는가? 백제문화제는 1955년 부여 지역 유지들에 의하여 ‘백제대제집행위원회’가 구성되어 ‘백제대제’를 거행한 것이 기원이 된다. 당시 부여 지역 주민들은 자발적으로 성금을 모아 부소산성에 제단을 설치하여 백제 말의 3충신인성충(成忠), 흥수(興首), 계백(階伯)에게 제향을 올렸으며, 백제 멸망 시 강물에 몸을 던진 백제 연인들의 위로하는 ‘수륙제’를 거행하였고, 이후 1965년도 주최로 이양된 뒤 규모가 더운 커졌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Jung Jaewook, "A Lesson from Baekje Cultural Festival during the past half-century and Development Plan Guidelines, Academic Symposium of 50th Anniversary Baekje Cultural Festival", P,109 2004 

  2. Kim, Changgon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of the Culture & Tourism Festival Management", Institute of Current Welfare in Gwangju University, P.3, 2000 

  3. Huh, Gabjoong "The Measures to Strengthe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Local Tourism Products", Korea Tourism Institute, 1997 

  4. "The 21st century Strategy for the Culture of the Goods",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rourism, P.44, 1999 

  5. "The result report of 1999 Cheongju International Craft Biennale" P.44-46 

  6. www.baekje.org 

  7. www.koreacraft.org 

  8. www.cheongjabiennale.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