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과 관련요인
Factors related with Health Literacy in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4 no.4, 2013년, pp.377 - 387  

안지숙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부) ,  김혜련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양숙자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ealth literacy levels of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and factors related with health literacy in them among othe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thods: Data were drawn from 671 immigrant women who came from China, Vietnam, the Philippine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문해력 수준을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건강문해력 수준을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규명 함으로써, 결혼이주여성의 적극적인 건강관리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그럼에도 이들은 자신 뿐 아니라 가족구성원의 건강도 돌봐야 하는 부담을 떠안는 경우가 많아, 적극적인 건강관리에 필요한 적절한 건강문해력을 갖춰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건강문해력 측정도구인 REALM의 shortened version인 REALM-R을 번안 후 사용하여 국내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건강문해력 수준과 관련있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수준과 이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건강문해력 측정도구인 REALM의 shortened version인 REALM-R을 번안 후 사용하여 국내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건강문해력 수준과 관련있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 이상으로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수준과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결과해석 시 제한점이 있는데, 대상자 선정 시 보건소나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편의추출했다는 점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문해력이란 어떤 능력인가? 건강문해력이란 건강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필요한 건강정보와 서비스를 획득, 이해, 처리하여 적절한 건강행동으로 수행하는 능력을 뜻하며, 성공적인 보건의료소비자가 되기 위한 필수적인 능력이다(Ad Hoc Committee on Health Literacy for the Council on Scientific Affairs, 1999). 가장 널리 인용되는 자료 중 하나인 Institute of Medicine (IOM) 의 보고서(2004)에 따르면 건강문해력이 낮은 사람은 예방적 검진을 안 하는 경향이 높고, 만성질환 이환 가능성이 높으며 상대적으로 입원기간이 길고 응급실 이용률이 높다.
2012년 기준 결혼이주여성은 몇 명인가? 국내 결혼이주여성은 2012년 127,540명으로 전체 국내거주 외국인주민의 13.7%를 차지하고 있으며(Korea Immigration Service, 2013),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의 조사문항은 무엇인가? 결혼이주여성의 건강 관련 선행연구, 우리나라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3년마다 실시하는 조사내용(‘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을 바탕으로 조사지를 개발하였다. 조사문항은 거주 지역, 한국 체류기간, 출신국, 나이, 결혼상태, 동거가족, 학력, 직업, 가구 월소득, 한국어 수준 및 주관적 건강감 등 총 11개 문항을 포함하였다. 한국어 수준은 ‘거의 이해하지 못한다’, ‘간단한 단어를 말하는 정도이다’, ‘생활에 필요한 짧은 대화가 가능한 정도이다’, ‘거의 모든 상황에서 불편함 없이 말할 수 있는 정도이다’의 4점 척도로, 주관적 건강감은 ‘매우 좋다’(5점)에서 ‘매우 나쁘다’(1점)의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 Hoc Committee on Health Literacy for the Council on Scientific Affairs. (1999). Health literacy: Report of the council on scientific affair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1 (6), 552-557. 

  2. Andrus, M. R., & Roth, M. T. (2002). Health literacy: A review. Pharmacotherapy, 22 (3), 282-302. 

  3. Bass, P. F., Wilson, J. F., & Griffith, C. H. (2003). A shortened instrument for literacy screening.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8 (12), 1036-1038. 

  4.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 Davis, T. C., Long, S. W., Jackson, R. H., Mayeaux, E. J., George, R. B., Murphy, P. W., et al. (1993). 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ine: A shortened screening instrument. Family Medicine, 25 (6), 391-395. 

  6. Garbers, S., & Chiasson, M. A. (2004). Inadequate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Spanish as a barrier to cervical cancer screening among immigrant Latinos in New York city. Preventing Chronic Disease, 1 (4), 1-10. 

  7. Institute of Medicine. (2004). Health literacy: A prescription to end confusion (2004004829).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8. Jastak, S., & Wilkinson, G. S. (1993). Wide range achievement test-revised 3. Wilmington, DE: Jastak Associates. 

  9. Jeong, K. W. (2009). A study on the linguistic ability and cultural adaptation of female married immigrant in Korea.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34, 89-111. 

  10. Kim, H. R., Hwang, N. M., Chang, I. S., Yoon, K. J., & Kang, B. J. (2008). Reproductive health status and policy agenda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in Korea (2008-66). 

  11. Seoul: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al Affairs. Kim, H. R., Yeo, J. Y., Jeong, J. J., & Baek, S. H. (2012). Health statu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health policy recommendations (2012-10). Seoul: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al Affairs. 

  12. Kim, S. K., Kim, Y. K., Cho, A. J., Kim, H. R., Lee, H. K., Seol, D. H., et al. (2009). A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 (2010-06). Seoul: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Ministry of Justic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13. Kim, S. S., Kim, S. H., & Lee, S. Y. (2005). Health literacy: 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2 (4), 215-227. 

  1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Marriage immigrants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cohort II.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5. Korea Immigration Service. (2013). Annual statistics 2012. Seoul: Author. 

  16. Kreps, G. L., & Sparks, L. (2008). Meeting the health literacy needs of immigrant population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71 (3), 328-332. 

  17. Lee, H. S., Park, H. J., & Lee, S. J. (2003). A study on the adult literacy in Korea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urvey among OECD countries.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13 (2), 193-219. 

  18. Lee, S. H., Chang, K. H., Han, H. S., Park, B. K., & Kim, S. S. (2012). The relationship of health literacy of female married migrants in Busan with their attitudes towards health. Female Studies, 22 (1), 165-200. 

  19. Lee, S. H., Choi, E. H. R., Je, M. J., Han, H. S., Park, B. K., & Kim, S. S. (2011). Comparison of two versions of KHLAT for improvement strategi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 (3), 57-65. 

  20. Lee, T. W., & Kang, S. J. (2008). Health literacy in the Korean elderly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8 (4), 847-863. 

  21.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3).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 Retrieved June 15, 2013, from the http://www.law.go.kr/lsSc.do?menuId0&p1&subMenu1&nwYn1&query%EB%8B%A4%EB%AC%B8%ED%99%94%E A%B0%80%EC%A1%B1%EC%A 7%80%EC%9B%90%EB%B 2%95&x49&y11#liBgcolor1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Guidelines for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ject. Seoul: Author. 

  23. Nguyen, G. T., & Bowman, M. A. (2007). Culture, language, and health literacy: Communicating about health with Asians and Pacific islanders. Family Medicine, 39 (3), 208-210. 

  24. Park, J. Y., & June, K. J. (2011). Influencing factors on functional health literacy among the rural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2 (1), 75-85. 

  25. Ratzan, S., & Parker, R. M. (2000). Introduction. In C. R. Selden, M. Zorn, S. Ratzan, & R. M. Parker(Eds.), Current bibliographies in medicine: Health literacy (pp. 5-7). Bethesda, MD: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6. Song, E. S., & Choi, Y. R. (2008, November). Maternal and perinatal problems and prognosis of newborns in marriage immigrant women.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Seoul. 

  27. Yang, S. J. (2010-a). Health status, health care utilization and related factors among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4(2), 323-335. 

  28. Yang, S. J. (2010-b).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anemia among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 (5), 2579-2593. 

  29. Yang, S. J., Kim, J. A., Kim, S. N., Choi, H. Y., Park, C. S., & Dahn, H. J. (2009). Health concept, health status and health service utilization of marital immigrant women in urban and rural areas in Korea (09-37).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Management Center for Health Promotion. 

  30. Yang, Y., & Wang, H. (2003). Life and health concerns of Indonesian women in transnational marriage in Taiwa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1 (3), 167-17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