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결혼이주여성 대상 건강문해력 연구 동향
Research Trend Analysis of Health Literacy on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4, 2020년, pp.613 - 620  

안지숙 (경남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국내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건강문해력 연구의 실태와 동향을 확인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웹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총 107편의 관련 연구가 검색되었고 이 중 선정기준에 부합한 10편을 최종 분석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에 대한 연구는 간호학 등 보건의료계열에서 실시된 연구가 많았다. 대다수가 조사연구였으며 중재연구는 없었다. 베트남, 중국, 필리핀 등 주요 출신국 여성이 포함된 연구가 많았고, 접근성 등의 이유로 200명 미만의 대상자를 일부 지역에서 편의 표집한 연구가 많았다. 건강문해력 측정 도구로는 KHLAT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추후 연구를 위해 학제 간 교류를 통해 보건의료계열과 타 분야와의 공동연구가 필요하며, 현장 실무자가 연구에 적극 참여하는 환경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사회 기반의 건강문해력 향상 중재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전국 단위의 폭넓은 대상자를 포함한 연구가 더욱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건강문해력 도구 적용 상의 방법론적 일관성을 높이고 나아가 표준화된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and trends of health literacy research conducted on female marriage immigrant in South Korea over the past 10 years. A total of 107 related studies were searched through the web database, and 10 of them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finally an...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 동향 분석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이며, 연구의 내용, 주제, 준거 등을 객관적, 체계적, 계량적으로 분석, 기술하는 방법이다[10]. 본 연구는 국내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건강 문해력 연구 실태와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내용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국내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건강문해력 연구의 실태와 동향을 확인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총 10편의 연구가 진행된 것으로 확인되었고 간호학 등 보건의료계열에서 실시된 연구가 많았다.
  •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대한 연구 실태와 동향을 탐색하여 향후 관련 연구 확산 및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2010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국내에서 수행된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여성가족부 주관 하에 다문화가족의 실태 및 현황 파악을 위해 3년 주기로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가 실시되고 있다[18]. 이러한 국가단위의 대규모 조사 시 건강문해력도 함께 조사한다면 접근성의 문제에 따른 제한점이 크게 해소될 것이므로, 이에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에 건강문해력 평가 문항을 추가할 것을 제안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국내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실시된 건강문해력 연구의 실태와 동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한 연구 과제와 방향성을 확인하고 관련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marriage. Retrieved September 20, 2020,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430. 

  2. Cho ES, Yang SJ. Factors related to the Health literacy of Chinese and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20:34(2):225-237. 

  3. Kang SJ, Hyung NK. Trends and level in health literacy research on immigrants in Korea: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20;31(3):322-336. 

  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arriage immigrants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cohort II. [Seoul]: Ewha Womans University;2011. 

  5. Kim HR, Hwang NM, Chang IS, Yoon KJ, Kang BJ. Reproductive health status and policy agenda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in Korea. [Seoul]: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al Affairs;2008. 

  6. Ad Hoc Committee on Health Literacy for the Council on Scientific Affairs. Health literacy: Report of the council on scientific affair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999;281(6), 552-557. 

  7. Donkin A, Goldblatt P, Allen J, Nathanson V, Marmot M. Global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BMJ Global Health. 2018;3(1):e000603. 

  8. Institute of Medicine. Health literacy: a prescription to end confusion.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2004. 

  9. Kim HR, Yeo JY, Jeong JJ, Baek SH. Health statu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health policy recommendations. [Seoul]: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al Affairs;2012. 

  10. Rubin A, Babbie ER.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ork. [CA]:Thomson Higher Education;2008. 

  11. Kim SS, Kim SH, Lee SY. Health literacy: 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5;22(4):215-227. 

  12. Lee SH, Choi HR, Je MJ, Han HS, Park BK, Kim SS. Comparison of two versions of KHLAT for improvement strategi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1;28(3):57-65. 

  13. An JS. Development of a health literacy assessment scale for Asian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doctoral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4. 

  14. Yang SJ, Chee YK.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of the Health Literacy Index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HLI-FMI) in Korea. Women & Health. 2017;57(8):1007-1030. 

  15. Davis TC, Long SW, Jackson RH, Mayeaux EJ, George RB, Murphy PW. 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ine: a shortened screening instrument. Family Medicine. 1993;25(6), 391-395. 

  16. Cho MJ, Kim HJ.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motional experience of married migrant women.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2020;6(1):191-199. 

  17. Kim YM, Ko CB. Effects of holistic healthcare home visit interven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couple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IJACT). 2019;7(1):155-161. 

  18.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National multicultural family survey. [Seoul];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