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Health Literacy Assessment Scale for Asian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6 no.4, 2015년, pp.330 - 341  

안지숙 (경남대학교 간호학과) ,  양숙자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 self-report measure for easy assessing of the health literacy of Asian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Methods: After a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s, and content validity evaluation, 14 preliminary items were generated. These were translated into Chine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정보를 읽고 이해하는 기능적(functional) 건강문해력 뿐 아니라 보건의료상황에서의 의사소통과 관련된 상호적(interactive) 건강문해력 및 건강정보 활용과 관련된 비판적(critical) 건강문해력까지 포함하는 Nutbeam[14]의 건강문해력 모델을 적용하여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건강문해력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결혼이주여성의 낮은 한국어 수준을 감안하여 출신국어로 번역된 자가보고(self-reported) 형태의 간편한 도구를 개발하여 응답자의 부담을 줄이고 보건의료현장에서의 적용편이성(feasibility)을 높이고자 한다. 개발된 도구를 통해 측정된 결과는 대상자-보건의료제공자 간 의사소통 전략 마련 및 다문화가정을 위한 보건교육자료와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등에 유용하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DeVellis[15]의 도구개발 절차에 근거하여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DeVellis[15]의 도구개발 절차에 근거하여 문헌고찰, 초점집단 인터뷰 및 내용타당도 검정을 통해 구성된 문항을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Nutbeam[14]의 건강문해력 모델을 적용하여 기능적ㆍ상호적ㆍ비판적 건강문해력을 포함하는,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건강문해력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1차 기능적 · 상호적 건강문해력 요인, 2차 기능적 · 상호적 건강문해력 요인, 비판적 건강문해력 요인의 3개요인, 총 10개 문항으로 구성된 최종 도구가 선정되었고, 이는 61.
  • 본 연구에서는 A시 한글교육센터에 출석 중인 결혼이주여성 8명, 다문화가정 자조모임에 참석하는 결혼이주여성 5명,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하는 결혼이주여성 7명 등 총 20명을 대상으로 예비문항의 이해도와 설문지 응답 소요시간을 확인하는 사전 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예비문항에 대한 이해도는 ‘매우 어렵다’(1점)~‘매우 쉽다’(5점)의 5점 척도로 평가하였고, 3점 이하로 평가된 문항은 그 이유를 확인 후 수정 ·보완하기로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측정도구를 개발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정보를 읽고 이해하는 기능적(functional) 건강문해력 뿐 아니라 보건의료상황에서의 의사소통과 관련된 상호적(interactive) 건강문해력 및 건강정보 활용과 관련된 비판적(critical) 건강문해력까지 포함하는 Nutbeam[14]의 건강문해력 모델을 적용하여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건강문해력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결혼이주여성의 낮은 한국어 수준을 감안하여 출신국어로 번역된 자가보고(self-reported) 형태의 간편한 도구를 개발하여 응답자의 부담을 줄이고 보건의료현장에서의 적용편이성(feasibility)을 높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문해력이란? 건강문해력이란 건강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필요한 건강정보와 서비스를 획득하고 이해하며 처리하는 능력을 뜻한다[1]. 건강문해력이 낮은 경우 건강검진을 하지 않거나 만성질환에 이환될 가능성이 커지는 등 결과적으로 건강수준이 저하되고 의료비 지출이 증가되며[1,2], 따라서 건강문해력은 개인과 가족, 집단, 나아가서는 국가의 건강을 결정짓는요인이라 할 수 있다[1].
건강문해력은 어떤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가? 건강문해력이란 건강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필요한 건강정보와 서비스를 획득하고 이해하며 처리하는 능력을 뜻한다[1]. 건강문해력이 낮은 경우 건강검진을 하지 않거나 만성질환에 이환될 가능성이 커지는 등 결과적으로 건강수준이 저하되고 의료비 지출이 증가되며[1,2], 따라서 건강문해력은 개인과 가족, 집단, 나아가서는 국가의 건강을 결정짓는요인이라 할 수 있다[1].
한국형 건강 문해 측정도구 KFHLT의 한계는 무엇인가? 국내에서는 Kim 등이 REALM을 번역 후 수정 ․ 보완하여 개발한 KHLAT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11], Lee가 개발한 ‘한국형 건강 문해 측정도구’[12], Kim과 Lee가 개발한 KFHLT (Korea Functional Health LitreacyTest)[13] 등의 도구가 있다. 그러나 이 도구들은 단순 단어인지 검사도구[11]이거나 노인 대상 측정도구[13]라는 한계가있고, 문항 수가 15~24개에 이르고 일부 문항은 지문을 포함하고 있으며[12,13], 측정 소요시간이 국내 일반 성인 기준으로 15~20분 정도로 길어[12] 결혼이주여성에게 적용하기에 다소 무리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Institute of Medicine. Health literacy: A prescription to end confusion.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04. 345 p. 

  2. Baker DW. The meaning and the measure of health literacy.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006;21(8):878-883. http://dx.doi.org/10.1111/j.1525-1497.2006.00540.x 

  3. Yip MP. A health literacy model for limited English speaking populations: Sources, context, process, and outcomes. Contemporary Nurse. 2012;40(2):160-168. http://dx.doi.org/10.5172/conu.2012.40.2.160 

  4. Korea Immigration Service. Korea immigration service statistics 2014. Seoul: Korea Immigration Service; 2015. 796 p. 

  5. Kim HR, Hwang NM, Chang IS, Yoon KJ, Kang BJ. Reproductive health status and policy agenda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in Korea. Policy Report. Seoul: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al Affairs; 2008 December. Report No.: 2008-12. 

  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arriage immigrants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cohort II. Research Report.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December. Report No.: 136. 

  7. Kim HR, Yeo JY, Jeong JJ, Baek SH. Health statu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health policy recommendations. Research Report. Seoul: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al Affairs; 2012 October. Report No.: 2012-10. 

  8. Ferguson B. Health literacy and health disparities: The role they play in maternal and child health. Nursing for Women's Health. 2009;12(4):287-298. http://dx.doi.org/10.1111/j.1751-486X.2008.00343.x 

  9. Davis TC, Long SW, Jackson RH, Mayeaux EJ, George RB, Murphy PW, et al. 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ine: A shortened screening instrument. Family Medicine. 1993;25(6):391-395. 

  10. Parker RM, Baker DW, Williams MV, Nurss JR. The Test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Adults (TOFHLA): A new instrument for measuring patient's literacy skills.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1995;10(10):537-541. 

  11. Kim SS, Kim SH, Lee SY. Health literacy: 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5;22(4):215-227. 

  12. Lee TW.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ealth literacy improvement program for the low-income elderly with hypertension. Research Report. Seoul: Yonsei University &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Technology; 2010 March. Report No.: 2007-0053325. 

  13. Kim SH, Lee EJ. The influence of functional literacy on perceived health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2):195-203. 

  14. Nutbeam D. Health literacy as a public goal: A challenge for contemporary health education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into the 21st century.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000;15(3):259-267. http://dx.doi.org/10.1093/heapro/15.3.259 

  15. DeVellis R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2nd ed. CA: Sage; 2003. 171 p. 

  16. Weiss BD, Coyne C, Michielutte R, Davis TC, Meade CD, Doak LG, et al. Communicating with patients who have limited literacy skills: Report of the National Work Group on literacy and health. Journal of Family Practice. 1998;46(2):168-176. 

  17. 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1986;35(6):382-386. 

  18.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Policy Report.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3 January. Report No.: 2012-59. 

  19. Jeong KW. A study on the linguistic ability and cultural adaptation of female married immigrants in Korea.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2009;34(1):89-111. 

  20. Tinsley HE, Tinsley DJ. Uses of factor analysis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987;34(4):414-424. 

  21. Seong TJ. Modern fundamental statistic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s. 5th ed. Seoul: Kyoyook Books; 2007. 510 p. 

  22. Arozullah AM, Yarnold PR, Bennett CL, Soltysik RC, Wolf MS, Ferreira RM,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hort-form, 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ine. Medical Care. 2007;45(11):1026-1033. http://dx.doi.org/10.1097/MLR.0b013e3180616c1b 

  23.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ealth Information National Trends Survey (HINTS) [Internet]. Maryland: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3 [cited 2013 September 20]. Available from: http://hints.cancer.gov/ 

  24. Kim HW. Model construction of maternal identity in primigravida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6. 142 p. 

  25. Davidshofer KR, Murphy CO. Psychological testing: Principles and applications. 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2005. 696 p. 

  26. Costello AB, Osborne JW. Best practic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recommendations for getting the most from your analysi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and Evaluation. 2005;10(7):1-9. 

  27. Hair JF, Anderson RE, Tatham RL, Black WC.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Prentice Hall; 2010. 899 p. 

  28. Wang HS, Han GS, Yang MH. A survey on language and accultur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Research Report. Seoul: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05 December. Report No.: 2005-1-10. 

  29. Seol DH, Kim YT, Kim HM, Yoon HS, Lee HK, Yim KT, et al. Foreign wives' life in Korea: Focusing on the policy of welfare and health. Research Repor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5 January. Report No.: 11-1460000-002610-01. 

  30. Choi WS, Baek ES. The status and education of literacy in Korea. Research Report.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990 December. Report No.: RR9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