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 및 중국산 감초(Glycyrrhiza uralensis), 그리고 우즈베키스탄산 감초(Glycyrrhiza glabra)를 대상으로 추출용매, 추출온도, 추출시간 등 추출조건별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들 추출물들의 추출 수율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여 최적의 추출조건을 선정하였다. 항산화 활성 중 자유 라디칼(1,1-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은 85% 에탄올$60^{\circ}C$에서 6 h 동안 추출한 조건에서 한국 감초로부터 얻은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46.05%)을 나타내었다. 루미놀 발광법을 이용한 추출물들의 총 항산화능 측정 실험과 피부 광노화에 중요한 $^1O_2$으로 유도된 세포막 손상에 대한 추출물들의 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한 실험 모두에서도 위의 조건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한국 감초는 ${\tau}_{50}$이 116.4 min으로 비교 물질인 (+)-${\alpha}$-tocopherol (28.5 min)보다 약 4 배나 높은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추출 수율은 18.75%로 우즈베키스탄 및 중국 감초보다 각각 1.2 배 및 2.5 배의 추출 수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항산화 소재로 화장품에 응용하기 위하여 감초로부터 추출물을 얻기 위한 최적의 조건은 85% 에탄올로 $60^{\circ}C$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임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work, licorice extracts were prepared using various extraction conditions such as extraction solvent, temperature, and time from Glycyrrhiza uralensis (G. uralensis) produced in Korea and China and Glycyrrhiza glabra (G. glabra) in Uzbekistan.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 was selected f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연쇄반응으로 인하여 세포는 파괴되고 피부노화는 가속화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rose-bengal의 광증감반응으로 생성된 1O2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 있어서 추출 조건별 감초추출물이 어느 정도 세포보호 작용이 있는지 세포 수준에서의 항산화능을 평가 비교하였다. 추출조건별 감초추출물의 비교물질로서 지용성 항산화제인 (+)-α-tocopherol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감초추출물을 화장품의 소재로 이용할 목적으로, 항산화활성이 높은 추출물을 얻기 위한 추출 조건을 확립할 목적으로 원산지별(한국, 중국 및 우즈베키스탄), 추출용매별(30% 및 85% 에탄올), 추출온도별(40 ℃ 및 60 ℃), 추출시간별(6 h 및 12 h) 조건으로 감초추출물을 제조하고 각각의 조건별 추출물에 대하여 추출 수율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함으로써 수율과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은 최적의 추출 조건을 확립하였다.
  • 감초와 같이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로부터 제품에 응용하기 위한 추출물을 제조할 때는, 추출물의 수율, 생물활성을 나타내는 유효 성분의 양 및 효능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재배 지역, 채취 시기, 추출조건 및 방법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18-20]. 본 연구에서는 감초추출물을 화장품의 소재로 이용할 목적으로,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추출물을 얻기 위한 추출조건을 확립할 목적으로 원산지별(한국, 중국 및 우즈베키스탄), 추출용매별(30% 및 85% 에탄올), 추출온도별(40 ℃ 및 60 ℃), 추출시간별(6 h 및 12 h) 조건으로 감초추출물을 제조하고 각각의 조건별 추출물에 대하여 추출 수율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함으로써 수율과 항산화활성이 가장 우수한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OS는 산화제/항산화제 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피부 세포 및 조직 손상을 주도하는 것은 반응성이 가장 큰 1O2와ㆍOH 등을 비롯한 ROS이다. 이들은 항산화효소와 비효소적 항산화제들로 구성된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함으로써 산화제/항산화제 균형을 산화상태 쪽으로 기울게 한다. 결과적으로 계속된 산화적 스트레스는 지질 과산화, 단백질 산화, 간질 성분을 파괴시키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화, 탄력 섬유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사슬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히알루론산 사슬의 절단, 멜라닌 생성반응 촉진, DNA 산화와 같은 생체 구성 성분들의 손상을 야기한다.
감초란 무엇인가? 감초는 콩과 식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아시아계에서 한약재로 많이 이용되는 약용 식물로 알려져 있다[8,9].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용되는 감초는 크게 두 종류(G.
한국 감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어떠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가? 또한 다른 균에 대해서도 한국 감초추출물은 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한국 감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항여드름 제제에 또는 파라벤류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방부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16]. 이어서 저자들은 항산화 및 항균활성이 우수한 한국산 감초추출물을 제품에 응용하기 위하여 감초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크림을 제조하고 이 크림에 대하여 온도별 저장 조건과 태양광선 하에서의 총 12주 동안 제품 안정성(pH, 점도, 흡광도 및 색도 변화)을 평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 N. Park, Skin aging and antioxidan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3(1), 75 (1997). 

  2. S. N. Park, Antioxidative properties of baicalein, component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and its application to cosmetics(I), J. Korean Int. Eng. Chem., 14(5), 657 (2003). 

  3. S. N. Park, Protective effect of isoflavone, genistein from soybean on singlet oxygen induc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3), 510 (2003). 

  4. S. N. Park, Effects of flavonoids and other phenolic compounds on reactive oxygen-mediated biochemical reactions,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 Seoul, Korea (1989). 

  5. K. Scharffetter-Kochanek, Photoaging of the connetive tissue of skin: its prevention and therapy, In: Antioxidants in disease mechanisms and therapy, Advances pharmacology, (H. Sies, eds), 639 (1997). 

  6. S. N. Park, S. Y. Kim, G. N. Lim, N. R. Jo, and M. H. Lee, In vitro skin permeation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flavonoids isoplated from Suaeda asparagoides extracts, J. Ind. Eng. Chem., 18(2), 680 (2012). 

  7. N. R. Jo, H. A. Gu, S. A. Park, S. B. Han, and S. N. Park, Cellular protective effect and liposome formulation for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of isoquercitrin,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8(2), 103 (2012). 

  8. T. S. Yoon, M. S. Cheon, S. J. Kim, A. Y. Lee, B. C. Moon, J. M. Chun, B. K. Choo, and H. K. Kim, Evaluation of solvent extraction on the anti-inflammatory efficacy,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8(1), 28 (2010). 

  9. E. Y. Ahn, D. H. Shin, N. I. Back, and J. A. Oh,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 from G. uralensis, Korea J. Food Sci. Technol., 30(3), 680 (1998). 

  10. J. H. Park, Q. Wu, K. H. Yoo, H. I. Yong, S. M. Cho, I. S. Chung, and N. I. Back, Cytotoxic effect of flavonoids from the roots of G. uralensis on human cancer cell lines, J. Appl. Biol. Chem., 54(1), 67 (2011). 

  11. K. Kenji, S. Mao, N. Rie, M. Takashi, and S. Yukihiri, Constituent properties of licorice derived from G. uralensis, G. glabra, and G. inflata identified by genetic information, Biol. Pharm. Bull., 30, 1271 (2007). 

  12. S. J. Kim, D. H. Kwoen, and J. H. Lee, Physiological activity/nutrition : Investig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 (G. glabra),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84 (2006). 

  13. H. K. Shim, M. H. Park, C. Choi, and M. J. Hae, Effect of G. glabra extracts on immune response, Korean J. Food Nutr., 10, 533 (1997). 

  14. J. He, L. Chen, D. Heber, W. Shi, and Q. Lu, Antibacterial compounds from G. uralensis, J. Nat. Prod., 69, 121 (2006). 

  15. S. B. Han, H. A. Gu, S. J. Kim, S. S. Kwon, H. S. Kim, S. H. Jeon, J. P. Hwang, and S. N. Park, Comparative study on antioxidative activity of G. uralensis and G. glabra extracts by country of origin,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9(1), 1 (2013). 

  16. H. J. Kim, J. Y. Bae, H. N. Jang, and S. N. Park, Comparative study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G. uralensis and G. glabra extracts with various countries of origin as natural antiseptic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1(3), 358 (2013). 

  17. H. J. Kim, H. N. Jang, J. Y. Bae, and S. N. Park, A study on the stability of the cream containing G. uralensis extrac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9(2), 117 (2013). 

  18. S. L. Shin and C. H. Lee, Screening of effective extraction conditions for increasing antioxidant activities from fronds of Osmunda japonica, Korean J. Plant Res., 24(2), 174 (2011). 

  19. M. M. Cowan, Plant products as antimicrobial agents, Clin. Microbiol. Rev., 12, 564 (1999). 

  20. J. H. Woo, S. L. Shin, Y. D. Chang, and C. H. Lee, Comparison of antioxidant effects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in flowers of Aster scaber, Aster maackii, Coreopsis lanceolata and Coreopsis tinctoria, Kor. J. Plant. Res., 22, 381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