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민들레(Taraxacum mongolicum H.) 추출액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 개발 및 기능성 성분
Preparation of Functional Beverage by Using Dandelion (Taraxacum mongolicum H.) Extracts and Its Functional Component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3 no.6, 2013년, pp.733 - 741  

송노을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유향덕 (전북생물산업진흥원 (주) 단데리온) ,  백상호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뛰어난 생리 활성을 가진 전통 민들레 착즙액이 고유의 쓴맛으로 인하여 가공식품으로 활용되는 형태는 매우 제한되어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음용하기 편리하고 기호도가 높으며, 항산화 활성과 기능적인 면에서도 뛰어난 새로운 형태의 음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민들레 음료 제조 시 민들레 추출액의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음료의 관능평가를 거쳐 가장 선호도가 높은 10% 민들레 추출액 함유 음료의 pH, 당도, 수분함량, 고형분 함량과 기능성 성분인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 및 silibinin 함량을 분석하여 품질 특성을 검토하였다. 민들레 추출액이 10% 함유된 기능성 음료(C10)의 경우, 수분 함량은 $99.6{\pm}0.5%$를 보였으며, 당도의 경우, 민들레 추출액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대조군 음료(C0)가 $0.8^{\circ}Brix$를 나타냈으나, C10의 경우 $0.7^{\circ}Brix$로 감소하였다. pH는 C0에서 3.4이었으나, 10% 민들레 추출액의 첨가에 의해 C10에서 3.7로 증가하였다. C10의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총 페놀 함량은 $295.8{\pm}5.8mg/L$이었고,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22.8{\pm}18.4mg/L$, DPPH 라디칼 소거 항산화능$98.2{\pm}0.6%$로 나타나, C0보다 높은 기능성을 가지므로 고기능성 음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간 보호 효과를 가지는 약학 성분인 silibinin의 함량이 민들레 추출액에서 $2.9{\pm}0.1mg/L$로 분석된 결과, C10에는 약 $0.3{\pm}0.04mg/L$의 silibinin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functional beverages with dandelion (Taraxacum mongolicum H.) extracts.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10% water extracts of dandelion containing beverage, which was the highest value of overall preference, was chosen for further examinations. Moisture c...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영양학적, 기능적 가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고유의 쓴맛으로 인해 가공식품으로의 개발이 제한적인 고기능성 소재인 민들레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의 하나로 민들레 유래의 추출물의 쓴맛을 보완하면서 고유의 고항산화 기능성을 보유한 기능성 음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민들레의 품종 중 토종민들레로 알려진 T.
  • 본 연구에서는 뛰어난 생리 활성을 가진 전통 민들레 착즙액이 고유의 쓴맛으로 인하여 가공식품으로 활용되는 형태는 매우 제한되어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음용하기 편리하고 기호도가 높으며, 항산화 활성과 기능적인 면에서도 뛰어난 새로운 형태의 음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민들레 음료 제조 시 민들레 추출액의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음료의 관능평가를 거쳐 가장 선호도가 높은 10% 민들레 추출액 함유 음료의 pH, 당도, 수분함량, 고형분 함량과 기능성 성분인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 및 silibinin 함량을 분석하여 품질 특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민들레란? 민들레(Taraxacum mongolicum H.)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과 식물로써 우리나라 전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식물체의 잎, 뿌리, 꽃 등 모든 부위가 식용 가능한 식물이다. 한방에서 포공영이라 하여 해열, 해독과 이뇨에 효과가 있으며, 염증이나 종기를 낫게 하며, 간과 담낭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서양에서는 담즙 분비 촉진과 항류마티스, 이뇨 등의 작용을 하는 약제로 사용되어 왔다(Yang & Jeon 1996).
한방에서 민들레를 부르는 이름은? )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과 식물로써 우리나라 전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식물체의 잎, 뿌리, 꽃 등 모든 부위가 식용 가능한 식물이다. 한방에서 포공영이라 하여 해열, 해독과 이뇨에 효과가 있으며, 염증이나 종기를 낫게 하며, 간과 담낭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서양에서는 담즙 분비 촉진과 항류마티스, 이뇨 등의 작용을 하는 약제로 사용되어 왔다(Yang & Jeon 1996). 국내에 분포하는 대표적인 식용 가능한 민들레로는 제주도에서만 서식하고 보통 민들레보다는 약간 작은 크기의 좀민들레(T.
민들레에 함유된 성분은? 민들레의 주요 성분으로는 hydroxycinnamic acid, chicoric acid, monocaffeyltartaric acid, chlorogenic acid 등이 있으며, 잎 부위는 coumarins, cichoriin, aesculin, 비타민 C(50~70 mg/ 100 g), 비타민 D(5~9 mg/100 g)를, 꽃 부위는 luteolin 7-glu- coside, quercetin, 그리고 luteolin 등을 함유하고 있다(Williams et al 1996). 최근 천연물 유래 기능성, 생리활성물질의 개발과 허브산업의 활성화에 기인하여 기존의 민들레 추출물에 대한 여러 가지 생리활성과 약리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2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p 127-130. 

  2. Bae JH, Kim KJ, Kim SM, Lee WJ, Lee SJ (2000) Development of the functional beverage containing the Prunus mume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713-719. 

  3. Baek SE (2008) Sensory properties of low calorie ssanhwa beverages containing sweetener-relative sweetness and sensory properties of ssanghwa beverages sweetened with glucosyl stevia, acesulfame-K and aspartame. Korean J Food & Nutr 21: 190-196. 

  4. Barreto JF, Wallace SN, Carrier DJ, Clausen EC (2003) Extraction of nutraceuticals from milk thistle. Appl Biochem Biotechnol 108: 881-889. 

  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6. Carmela L, Davide F (2011) Silybin and the liver: from basic research to clinical practice. World J Gastroenterol 17: 2288-2301. 

  7. Duan L, Carrier DJ, Clausen EC (2004) Silymarin extraction from milk thistle using hot water. Appl Biochem Biotechnol 114:559-568. 

  8.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9. Han EK, Lee JY, Jung EJ, Jin YX, Chung CK (2010)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Taraxacum officina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580-1586. 

  10. Han SH, Hwang JK, Park SN, Lee KH, Ko KI, Kim KS, Kim KH (2005) Potential effect of solvent fractions of Taraxacum mongolicum H. on protection of gastric mucosa.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84-89. 

  11. Ho C, Choi EJ, Yoo GS, Kim KM, Ryu SY (1998) Desacetylmatricarin, an anti-allergic component from Taraxacum platycarpum. Planta Medica 64: 577-578. 

  12. Hu C, Kitts DD (2003) Antioxidant, prooxidant and cytotoxic activities of solvent-fractionated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flower extracts in vitro. J Agric Food Chem 51: 301-310. 

  13. Hudec J, Burdova M, Lubomir K, Komora L, Macho V, Kogan G, Turianica I, Kochanova R, Lozec O, Haban M, Chlebo P (2007) Antioxidant capacity changes and phenolic profile of echinacea purpurea, nettle (Urtica dioica L.), and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after application of polyamine and phenolic biosynthesis regulators. J Agric Food Chem 55: 5689-5696. 

  14. Jung DO, Park YK (1999) The study of soft drinks production and functional food in onions. Korean J Soc Food Sci15: 158-162. 

  15. Kang MJ, Seo YH, Kim JB, Shin SR, Kim KS (2000)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araxacum officinale consumed in Korea. Korean J Soc Food Sci 16: 182-187. 

  16. Kang MJ, Kim KS (2001) Current trends of research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dandelion. Food Industry and Nutrition 6: 60-67. 

  17. Koh YJ, Cha DS, Choi HD, Park YK, Choi IW (2008) Hot water extraction optimization of dandelion leaves to increase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83-289. 

  18. Koh YJ, Park YK, Kim YS, Cha DS, Choi HD (2009) Preparation of hot water extracts of dandelion leaves to increase anti-inflammatory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391-395. 

  19. Lee EB, Kim JK, Kim OK (1993) The antigastritic effect of Taraxaci herba. Korean J Pharmacogn 24: 313-318. 

  20. Mascolo N, Autore G, Capasso F, Menghini A, Fasulo MP (1987) Biological screening of Italian medicinal plants for anti-inflammatory activity. Phytother Res 1: 28-31. 

  21. Oh SH, Choi HS (2002) Sweeteners Handbook. Hyoilbooks, Seoul. pp 176-287. 

  22. Park, CS (2005) Compon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wdered green tea cultivated in Hwagae area. Korean J Food Preserv 12: 36-42. 

  23. Takasaki M, Konoshima T, Tokuda H, Masuda K, Arai Y, Shiojima K, Ageta H (1999a)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Taraxacum plant. I. Biol Pharm Bull 22: 602-605. 

  24. Takasaki M, Konoshima T, Tokuda H, Masuda K, Arai Y, Shiojima K, Ageta H (1999b)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Taraxacum plant. II. Biol Pharm Bull 22: 606-610. 

  25. Williams CA, Goldstone F, Greenham J (1996) Flavonoids, cinnamic acids and coumarins from the different tissues and medicinal prepapations of Taraxacum officinale. Phytochemistry 42: 121-127. 

  26. Yang KS, Jeon CM (1996) Effect of Taraxacum coreanum Nakai on low 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Korean J Pharmacogn 27: 267-263. 

  27. Yoon TJ (2008) Effect of water extracts from foot of Taraxacum officinale in innate and adaptive immune responses in mice. Korean J Food Nutr 21: 275-2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