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조리법으로 제조한 연근, 김, 깻잎 부각의 지방질과 색소 특성
Characteristics on lipid and pigments of lotus root, dried laver, and perilla leaf bugak (Korean fried cuisine) made by Korean traditional recipe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9 no.6, 2013년, pp.805 - 814  

정이진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송영옥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라나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  최은옥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찹쌀풀과 생참기름 또는 밀가루풀과 콩기름을 사용하여 제조한 연근, 김, 깻잎 부각의 텍스쳐, 지방질 산화, 색소를 평가하고 튀김유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찹쌀풀과 생참기름으로 제조한 연근, 김, 깻잎 부각이 밀가루풀과 콩기름으로 제조한 부각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경도를 나타냈으며, 기름 흡수량은 다소 높았으나 공액이중산값과 아니시딘값으로 평가한 지방질 산화는 적었다. 부각 지방질의 산화 정도는 튀김유의 산화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부각의 지방산 조성은 튀김유의 지방산 조성과 유사하였다. 김 부각과 깻잎 부각은 클로로필카로티노이드를 다량 함유하였으며 찹쌀풀과 생참기름 또는 밀가루풀과 콩기름 등 제조 방법은 부각의 색소 함량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찹쌀풀과 밀가루풀 등의 튀김옷은 김과 깻잎 색소가 기름으로 용출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해 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tus root, dried laver, and perilla leaf bugak, Korean traditional fried cuisine, were prepared with fermented glutinous rice batter and unroasted sesame oil or wheat flour batter and soybean oil and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as evaluated. Bugak with fermented glutinous rice batter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기능성이 보고된 김, 깻잎, 연근을(Lee KI 등 1992, Kim JH와 Kim MK 1999, Cho SI 등 2003, Park SH 등 2005, Ko BS 등 2006, Sridhar KR와 Bhat R 2007, Oh S 등 2013, Yang SY 등 2013) 주재료로 하여 찹쌀풀과 생참기름을 이용한 전통 튀김 조리법과 밀가루풀과 콩기름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현대 튀김 조리법으로 부각을 만들고 부각과 튀김유의 산화 정도, 부각의 색소 등 이화학 특성을 평가함으로써 전통 부각의 우수성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각이란? 특히 튀김과 같이 유지를 사용해 조리한 음식은 좋은 맛, 향, 색, 바삭거리는 질감 등을 상승시켜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꾸준히 선호하고 있다. 부각은 우리의 전통 튀김음식으로, 채소 및 해초를 저장하기 위해 찹쌀풀을 발라 말린 후 기름에서 튀겨낸, 한식에서는 흔하지 않은 튀김 음식이다.
부각의 건강기능성은? 부각은 식품에 전체적으로 튀김옷을 입혀서 튀기는 일반적인 튀김과는 달리, 깻잎, 김, 동백잎 등 조직이 연하여 조리 시 조직의 손실이 많은 식재료의 모양을 유지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튀김옷을 입히는 것은 물론 튀김 과정 중 튀김옷이 흡수하는 기름의 양을 최소화하면서 바삭한 질감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부각 재료로 식이섬유는 물론 카로티노이드, 클로로필 등의 색소와 폴리페놀 등의 phytochemical들을 다량 함유한 김, 깻잎 등의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식품에 천연으로 함유된 기능성 성분의 섭취를 증가시킬 수 있는 좋은 튀김 식품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부각의 우수한 식품기능성 및 건강기능성에 대한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과학적 정보가 충분히 제시되지 않아 외국인은 물론 우리 국민들도 부각의 우수성에 대하여 충분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부각의 재료로 사용된 식재료는? 부각은 재료를 그대로 말리거나 풀칠을 하여 바싹 말렸다가 필요할 때 튀겨서 먹으며, 전통적으로 깻잎, 동백잎, 연근, 감자, 당근, 고추, 국화잎 등 거의 모든 채소와 김,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를 주로 사용하였다(Cho EJ와 Park SH 1994, Park BH 등 2001). 또한 부각의 튀김옷의 재료로는 찹쌀로 밥을 지어 주재료에 붙여 말리기도 하고, 찹쌀로 풀을 쑤어 주재료에 발라 말려 두었다가 사용하였으며, 열전달 매개체로 참기름 등을 이용한 기록이 있다(이성우 198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bousalham A, Fotiadu F, Buono G, Verger R. 2000. Surface properties of unsaturated non-oxidized and oxidized free fatty acids spread as monomolecular films at an argon/water interface. Chem Phys Lipids 104(1): 93-99 

  2. An S, Choe E. 2011. Effects of adding unrefined oil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 tuna oil-enriched emuls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7(3): 39-49 

  3. AOAC. 2000.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7thed. Arlington. Virginia. USA 

  4. AOCS. 1998. Official methods and recommended practices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4thed. AOCS Press. Champaign. IL. USA 

  5. Barrett AH, Kaletunc G. 1998. Quantitative description of fracturability changes in puffed corn extrudates affected by sorption of low levels of moisture. Cereal Chem 75(5): 695-698 

  6. Bourne MC. 2002. 2nd. Chapter 4. Principles of objective texture measurement. In 'Food Texture and Viscosity: Concept and Measurement'. Academic Press, San Diego, California, USA. pp 107-188 

  7. Cho EJ, Park SH. 1994. A study on eating habits of the Buddist priesthood in Seoul and Kyongnam - I. Dietary pattern and special food. Korean J Diet Cult 9(2): 111-118 

  8. Cho SI, Kim HW. 2003. Beneficial effect of Nodus neoumbinis rhizomatis extracts on cisplatin-induced kidney toxicity in rats. Korean J Herbology 18(4): 127-134 

  9. Choe E, Min DB. 2006. Mechanisms and factors for edible oil oxidation. Compr Rev Food Sci F 5(4): 169-186 

  10. Choe E, Min DB. 2007. Chemistry of deep-fat frying oils. J Food Sci 72(5): 77-86 

  11. Chung J, Lee J, Choe E. 2004. Oxidative stability of soybean and sesame oil mixture during frying of flour dough. J Food Sci 69(7): 574-578 

  12. Chung JS, Lee YS, Choe EO. 2006. Effects of sesame oil addition to soybean oil during frying on the lipid oxidative stability and antioxidants contents of the fried dough during storage in the dark. J Food Sci 71(3): 222-226 

  13. Dogan SF, Sahin S, Sumnu G. 2005. Effects of soy and rice flour addition on batter rheology and quality of deep-fat fried chicken nuggets. J Food Engr 71(1): 127-132 

  14. Folch J, Lees M, Sloane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 from animal tissue. J Biol Chem 226(1): 497-502 

  15. Kim I, Choe E. 2005. Effects of bleaching on the properties of roasted sesame oil. J Food Sci 70(1): 48-52 

  16. Kim JH, Kim MK. 1999. Effect of dried leaf powders and ethanol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nd Aster scaber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J Korean Nutr Soc 32(5): 540-551 

  17. Ko BS, Jun DW, Jang JS, Kim JH, Park S. 2006. Effect of Sasa Borealis and white lotus roots and leaves on insulin action and secretion in vivo. Korean J Food Sci Technol 38(1): 114-120 

  18. Ko YR, Shon MY, Chung KS, Wang SB, Kang SK, Park SK. 2009. Changes in sugar level, acidity, viscosity, and color of lactic acid bacteria - fermented waxy rice paste containing colored agro-food products, Korean J Food Preserv 16(2): 266-275. 

  19. Lee J, Lee S, Lee H, Park K, Choe E. 2002. Spinach (Spinacia oleracea) powder as a natural food-grade antioxidant in deep-fat-fried products. J Agric Food Chem 50(20): 5664-5669 

  20. Lee J, Lee Y, Choe E. 2008. Effects of sesamol, sesamin, and sesamolin extracted from roasted sesame oil on the thermal oxidation of methyl linoleate. LWT-Food Sci Technol 41(10): 1871-1875 

  21. Lee JY, Choe E. 2009. Effects of phosphatidylcholine and phosphatidylethanolamine on the photooxidation of canola oil. J Food Sci 74(6): 481-486 

  22. Lee KI, Rhee SK, Park KY, Kim JO. 1992. Antimutagenic compounds identified from perilla leaf. J Korean Soc Food Nutri 21(3): 302-307 

  23. Lee SW. 1985. Hankookyorimunhwasa (Korean Food Cultural History). Kyomunsa. pp 307-308 

  24. Maksimovic'Z, Malencic D, Kovacevic N. 2005.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ydis stigma extracts. Biores Technol 96(8): 873-877 

  25. Manning WM, Strain HH. 1943. Chlorophyll d, a green pigment of red algae. J Biol Chem 151: 1-19 

  26. Meguro M, Ito H, Takabayashi A, Tanaka R, Tanaka A. 2011. Identification of the 7-Hydroxymethyl Chlorophyll a reductase of the Chlorophyll cycle in Arabidopsis. The Plant Cell 23(9): 3442-3453 

  27. Mukprasirt A, Herald TJ, Seib PA. 2002. Pasting characteristics of rice flour-based batter compared to wheat flour-based batter. J Food Quality 25(2): 139-154 

  28. Oh S, Choe E. 2013. Effects of water activity on the lipid oxidation and antioxidants of dried laver (Porphyra) during storage in the dark. J Food Sci 78(8): 1144-1151 

  29. Oh SJ, Kim JI, Kim HS, Son SJ, Choe E. 2013.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ried laver, Dolgim. Korean J Food Sci Technol 45(4): 403-408 

  30. Park BH, Choi HK, Cho HS. 2001. A study on the oxidative stabil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bugak made of aqueous green t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3): 557-564 

  31. Park SH, Shin EH, Koo JG, Lee TH, Han JH. 2005. Effects of Nelumbo nucifera on the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and blood pressure in rats. J East Asian Dietary Life 15(2): 49-56 

  32. Porta R, Mariniello L, Pierro PD, Sorrentino A, Giosafatto VC. 2012. Water Barrier Edible Coatings of Fried Foods. J Biotechnol Biomater 2:e116. doi:10.4172/2155-952X.1000e116 

  33. Reddy RK, Subramanian R, Zakiuddin Ali S, Bhattacharya KR. 1994. Viscoelastic properties of rice-flour pastes and their relationship to amylose content and rice quality. Cereal Chem 71(6): 548-552 

  34. Sridhar KR, Bhat R. 2007. Lotus-a potential nutraceutical source. J Agri Technol 3(1): 143-155 

  35. Thyrann T, Lightner DA. 1995. Oxidation of pyrrole ${\alpha}$ -methyl to formyl with ceric ammonium nitrate. Tetrahedron Lett 36(25): 4345-4348 

  36. Yang SY, Kang JH, Lee KW. 2013. Protective effect of functional Perilla frutescens hot-water extract against tert-butyl hydroperoxide-induced liver oxidative damage in rats. J. Fd Hyg. Safety 28(2): 146-1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