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미꽃의 향기정도에 따른 주요성분 및 꽃잎 세포의 미세구조
Volatile Compounds and Ultrastructure of Petal Epidermal Cells According to Scent Intensity in Rosa hybrida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1 no.5, 2013년, pp.590 - 597  

이영순 (경기도농업기술원 원예산업연구과) ,  이윤혜 (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임성희 (경기도농업기술원 원예산업연구과) ,  박건환 (경기도농업기술원 원예산업연구과) ,  최숙영 (경기도농업기술원 원예산업연구과) ,  홍혜정 (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고정애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장미 꽃의 향기정도에 따른 주요성분과 향기발산 위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향기정도는 약한 품종('필립'과 '비너스베리'), 중간 선발계통('GR07-135') 및 강한 품종('허니블루') 3수준으로 구분되었다. 품종과 선발계통 별 주요 향기성분은 '필립'은 3,5-dimethoxytoluene(DMT)와 benzene,1,3,5-trimethoxy 성분이었으며, '비너스베리'는 megastigma-4,6(Z),8(E)-triene 성분이었고, 'GR07-135'는 DMT, benzene,1-ethenyl-4-methoxy 및 phenylethylalcohol 성분이었으며, '허니블루'는 germacrene-D와 DMT 성분이었다. 향축면 표피세포는 원추형의 유두상 돌기 모양이 있었고 배축면 표피세포는 편평한 모양이었다. 3품종과 1선발계통 모두 두꺼운 세포벽이 있었고, '허니블루'를 제외한 2품종과 1선발계통은 왁스로 덮인 큐티클층이 있었다. 향축면 표피세포에 '필립'은 전분립이, '비너스베리'는 오스미움 소체가, 'GR07-135'은 전분립, 색소체액포가, '허니블루'는 색소체낭, 색소체 및 액포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방향성 장미 꽃 향기의 주요성분은 품종에 따라 달랐으며, 생성과 발산은 유두돌기가 있는 향축면 표피 세포내의 색소체와 액포가 관련되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inciple component and emission localization of volatile compound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scent intensity of rose flower. Scent intensity in cultivars and bred-line of Rosa hybrida was divided into three levels; light ('Feel Lip', 'Venus Berry'), medium ('GR07-135'), strong ('Honey Blu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장미육종 시 향기특성을 선발에 활용하고 꽃 향기의 이용도를 높이고자 향기정도가 다른 품종의 주요 향기성분 차이와 꽃잎 세포 미세구조 관찰의 비교를 통하여 향기 생성과 발산에 관련된 세포 소기관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꽃잎에서 장미 향기는 어디서 생성되는가? 장미 향기는 꽃의 기관 중 꽃잎이 수술과 꽃받침에 비하여 5배 이상 함유하고 있으며 꽃잎의 원추형 유두돌기(conical-papillate) 모양을 가지고 있는 향축면 표피(adaxial epidermis) 세포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Scalliet et al., 2006; Stubbs and Francis, 1971).
불가리아에서는 장미 꽃잎에서 추출한 향기가 어떤 형태로 사용되고 있는가? 불가리아에서는 1870년대부터 천연 향기와 향료의 원료로서 향기가 많은 R. damascena를 대량 생산하여 장미수(rose water), 장미 기름(attar of rose), 정유(essential oils) 형태로 향기산업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Zuker et al., 1998).
향기가 강한 장미는 꽃잎의 향축면 표피세포 내의 색소체에서 어떤 성분이 생성되는가?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향기가 강하게 발산되는 장미 품종은 꽃잎의 향축면 표피세포 내의 색소체에서 DMT 성분과 germacrene-D, nerol, β-citronellol, geraniol 등의 terpene 그룹의 성분이 생성되고 액포에서 분리 저장하여 향을 발산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방향성 장미육종과 장미 꽃잎을 산업화에 이용할 때에는 꽃잎의 세포학적 특성에 따라 향기 생성에 관련된 색소체가 많으며, 향기를 분리 저장하는 큰 액포가 많고, 강한 향을 발산하는 향기성분을 많이 발현될 수 있도록 이들 소기관들과 성분생성과 관련된 향기유전자의 발현 효소가 존재하는 품종들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udino, S., J.C. Caissard, V. Bergougnoux, F. Jullien, J.L. Magnard, G. Scalliet, J.M. Cock, and P. Hugueney. 2007. Production and emission of volatile compounds by petal cells. Plant Signal Behavior 2:525-526. 

  2. Bent, E. 2007. Fragrance is unpredictable, but breeder undeterred. Floraculture Intl. September:32-33. 

  3. Bergougnoux, V., J.C. Caissard, F. Jullien, J.L. Magnard, G. Scalliet, J.M. Cock, P. Hugueney, and S. Baudino. 2007. Both the adaxial and abaxial epidermal layers of the rose petal emit volatile scent compounds. Planta 226:858-866. 

  4. Caissard, J.C., C. Joly, V. Bergougnoux, P. Hugueney, M. Mauriat, and S. Baudino. 2004. Secretion mechanism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specialized cells of aromatic plants. Cell Biol. 2:1-15. 

  5. Flament, I., C. Debonneville, and A. Furrer. 1993. Volatile constituents of roses, p. 269-281. In: R. Teranishi, R.G. Buttery, and H. Sugisawa (eds.). Bioactive volatile compounds from plants. ACS Symp. Ser. 525.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6. Giulia, B., N. Monica, A.L. Alexa, and R. Anna. 2006. Development of a headspace-solid phase micro extraction method to monitor change in volatile profile of rose (Rosa hybrida cv. David Austin) petals during processing. J. Chromatogr. A 1159:190-197. 

  7. Guterman, I., M. Shalit, N. Menda, D. Piestun, M. Dafny-Yelin, G. Shalev, E. Bar, O. Davydov, M. Ovadis, M. Emanuel, J. Wang, Z. Adam, E. Pichersky, E. Lewinsohn, D. Zamir, A. Vainstein, and D. Weiss. 2002. Rose scent: Genomics approach to discovering novel floral fragrance-related genes. Plant Cell 14:2325-2338. 

  8. Joichi, A., K. Yomogida, K.I. Awano, and Y. Ueda. 2005. Volatile components of tea-scented modern roses and ancient Chines roses. Flavour Fragr. J. 20:152-157. 

  9. Kim, H.J., K. Kim, N.S. Kim, and D.S. Lee. 2000. Determination of floral fragrance of Rosa hybrida using solid-phase trapping-solvent 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J. Chromatogr. A 902:389-404. 

  10. Kolosova, N., D. Sherman, D. Karlson, and N. Dudareva. 2001. Cellular and subcellular location of S-adenosy-L-methionine: benzoic acid carboxyl methyltransferase, the enzyme responsible for biosynthesis of the volatile ester methylbenzoate in snapdragon flowers. Plant Physiol. 126:956-964. 

  11. Kwon, M.K., J.Y. Ko, and Y.Y. Han. 2004.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of cultivars, culture method and flowering stage of Rosa hybida by using electronic nose. Kor. J. Hort. Sci. Technol. 22(Suppl. I):132. (Abstr.) 

  12. Lee, Y.S., S.J. Kim, and K.J. Kim. 2008.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according to the flowering stages of rose using gas-chromatography mass. Kor. J. Hort. Sci. Technol. 26:501-507. 

  13. Lavid, N., J. Wang, M. Shalit, I. Guterman, E. Bar, T. Beuerle, N. Menda, S. Shafir, D. Zamir, Z. Adam, A. Vainstein, D. Weiss, E. Pichersky, and E. Lewinsohn. 2002. O-methyltransferases involved in the biosynthesis of volatile phenolic derivatives in rose petals. Plant Physiol. 129:1899-1907. 

  14. Magali, C.M., J. Frederic, H. Philippe, and B. Sylvie. 2007. Fragrance heritability in Hybrid Tea roses. Scientia Hort. 113:177-181. 

  15. Picone, J.M., R.A. Clery, N. Watanabe, H.S. Mac Tavish, and C.G.N. Turnbull. 2004. Rhythmic emission of floral volatiles from Rosa damascene semperflorens cv. Quatre Saision. Planta 219:468-478. 

  16. Scalliet, G., C. Lionnet, M.L. Bechec, L. Dutronc , J.L. Magnaed, S. Baudino, V. Bergougnoux , F. Jullien, P. Chambrier, P. Vergne, C. Dumas, J.M Cock, and P. Hugueney. 2006. Role of petal specific orcinol O-methyltransferases in the evolution of rose scent. Plant Physiol. 140:18-29. 

  17. Scalliet, G., N. Journot, F. Jullien, S. Baudino, J.L. Magnaed, S. Channeliere, P. Vergne, C. Dumas, M. Bendahmane, J.M. Cock, and P. Hugueney. 2002. Biosynthesis of the major scent component 3,5-dimethoxytoluene and 1,3,5-trimethoxybenzene by novel rose O-methyltransferases. FEBS Lett. 523:113-118. 

  18. Stubbs, J.M. and M.J.O. Francis. 1971. Electron microscopical studies of rose petal cells during flower maturation. Planta Medica 20:211-218. 

  19. Weston, E.L. and K.A. Pyke. 1999. Developmental ultrastructure of cells and plastids in petals Walflower. Ann. Bot. 84:763-769. 

  20. Xiang, L., J.A. Milc, N. Pecchioni, and L.Q. Chen. 2007. Genetic aspects of floral fragrance in plants. Biochem. (Moscow) 72:351-358. 

  21. Zuker, A., T. Tzfira, and A. Vainstein. 1998. Genetic engineering for cut-flower improvement. Biotechnol. Adv. 16:33-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