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찰에 근거한 어린이집 영아반의 일과유형분류 및 일과유형별 영아의 놀이성과 교사 특성
Playfulness of Infa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ccording to Daily Routine Types based on Observation in Infant Classes in Child Care Center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9 no.4, 2013년, pp.185 - 210  

박찬화 (한국무역보험공사 kids-sure 어린이집) ,  권연희 (부경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나종혜 (한남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최목화 (한남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초록

본 연구는 영아반의 하루 일과를 관찰하여 실내자유놀이, 실외놀이, 집단활동 및 낮잠 휴식 등의 일과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들이 진행된 시간들을 바탕으로 하루일과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일과유형에 따라 영아의 놀이성, 교사의 학력 및 경력, 교사행동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영아반의 일과유형은 '실내 외놀이 지향형'과 '낮잠 휴식 및 집단활동 지향형' 등 2가지로 분류되었다. 일과유형별 영아의 놀이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실내 외놀이 지향형'이 '낮잠 휴식 및 집단활동 지향형'보다 영아의 놀이성 전체점수와 하위영역인 신체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모감각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리고 일과유형에 따라 교사의 학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사의 경력에서는 '실내 외놀이 지향형' 학급의 교사경력이 '낮잠 휴식 및 집단활동 지향형' 학급의 교사경력보다 유의하게 더 많았다. 교사의 상호작용행동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실내 외놀이 지향형' 일과의 교사가 '낮잠 휴식 및 집단활동 지향형'의 일과를 운영하는 교사보다 긍정적 지도행동과 중립적 지도행동을 유의하게 더 많이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observe and categorize daily routines of infant classes in daycare centers based on quantity of indoor and outdoor free play, group activities and nap/rest and explore differences in infants' play and teacher's behavior according to daily routine types. A team of tra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아반의 하루 일과는 어떻게 운영해야 하는가? 영아반의 하루 일과는 영아의 개별적 요구를 반영하여 영아의 심리 및 신체적 리듬에 맞추어 안정감을 형성하도록 운영해야 한다(이영자 등, 2012). 이러한 일과운영은 영아의 연령, 성, 기관의 유형, 보육기관의 질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이경미, 2009).
일과란? 일과란 ‘날마다 규칙적으로 하는 일정한 일’ (Naver, 국어사전)로 정의 된다. 여기에서 ‘날마다’의 의미가 곧 ‘일상’이므로 하루의 일과는 ‘일상 하는 일’이라고도 할 수 있다(이경미, 2008).
영아반의 일과가 어린이집마다 다르게 진행될 수 있는 이유는? 영아반의 하루 일과는 영아의 개별적 요구를 반영하여 영아의 심리 및 신체적 리듬에 맞추어 안정감을 형성하도록 운영해야 한다(이영자 등, 2012). 이러한 일과운영은 영아의 연령, 성, 기관의 유형, 보육기관의 질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이경미, 2009). 그러므로 영아반의 일과가 어린이집마다 다르게 진행될 수 있으며 대다수의 영아반이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하여 일과를 운영한다할지라도 위의 변인과 더불어 각 어린이집의 교육철학과 제반 여건에 따라 다소 다른 양상을 보일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김명순, 김길숙, 박찬화(2012). 유아용 놀이성 평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33(2), 69-89. 

  2. 김민영, 손수민(2009). 만 2세 영아의 놀이성과 보육시설 기관적응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5), 65-89. 

  3. 권연희, 최목화, 박찬화(2012). 어린이집 유아반의 일과 유형분류 및 일과 유형별 교사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1(5), 837-848. 

  4. 김주혜(2008). 유아의 놀이성과 놀이행동 및 교사-유아 관계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혜경, 김홍은, 문혁준, 박은혜, 유애열, 임혜영 등(2008). 효과적인 영아보육을 위한 지침서 서울: 다음세대. 

  6. 김현정(2003). 우리나라 유아의 일상생활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김현주, 김영옥(2010). 유아교육기관 일과운영에서 전이(transition)의 내용과 의미, 유아교육연구, 30(6), 25-50. 

  8. 김희경, 유미숙(2010).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놀이성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1(5), 115-130. 

  9. 나은숙, 양옥승(2007). 자유놀이시간에 나타난 유아들의 흥미. 유아교육연구, 27(1), 281-304. 

  10. 남도향(2005). 영아 놀이성과 아버지-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박재환, 김희재, 김문겸, 윤일성, 박광준, 문소정(2002). 한국과 일본의 일상생활. 부산 : 부산대학교 출판부. 

  12. 박찬화, 나종혜, 권연희, 최목화(2013). 일일보육계획안에 따른 일과유형 분류 및 일과유형별 보육프로그램의 특성. 대한가정학회지, 51(1), 45-57. 

  13. 심숙영, 김점연(2005). 유아의 놀이행동과 놀이성에 대한 보육 프로그램의 질 평가 변인예측.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1), 361-383. 

  14. 안효진, 임연진(2010). 유아의 놀이성, 적응, 그리고 문제 행동과의 관계성 연구. 아동학회지, 31(2), 53-68. 

  15. 우수경(2008). 유아의 성, 기질, 정서능력 및 사회적 능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259-280. 

  16. 유미, 유미숙(2008).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 11(4), 53-63. 

  17. 유애열(1994). 유아의 상상놀이와 교사의 개입에 관한 관찰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유영의(2006). 유아의 정서지능과 놀이성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3), 239-257. 

  19. 유희진, 김희정, 김문정, 조혜주(2007). 육아지원기관의 교육 보육활동 분석. 서울: 육아 정책 연구소. 

  20. 육아정책연구소 (2010). 1세 보육프로그램. 서울 : 육아정책연구소. 

  21. 이경미(2009).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가 경험하는 하루일과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이기숙(2006). 유아교육과정. 서울: 법문사. 

  23. 이연실(2010). 유아의 놀이성과 지기조절과의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3(4), 75-91. 

  24. 이영자, 이종숙, 신은수, 곽향림, 이정옥(2012). 1, 2세 영아프로그램의 계획 및 운영. 서울: 다음세대. 

  25. 이현경(2008). 영아 놀이에서 교사의 개입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회지, 12(2), 33-56. 

  26. 이학식, 임지훈(2009). SPSS 16.0 매뉴얼. 서울: 법문사. 

  27. 일상문화연구회(1998). 일상 속의 한국문화: 자기 성찰의 사회학 2. 서울: 나남. 

  28. 조수영(2010). 만 2세 영아의 놀이성, 놀이수준과 어머니의 언어유형간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최혜영(2004). 아동의 또래상호작용과 교사신념 및 교사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0. Arnett, J. (1989). Caregivers in day-care centers: Does training matter?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 Psychology, 10(4), 541-552. 

  31. Barnett, L. A. (1990). Developmental benefits of play for childre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2(2), 138-153. 

  32. Barnett, L. A. (1991). The playful child: Measurement of a disposition to play. Play & Culture, 4(1), 51-74. 

  33. Bredekamp, S., & Copple, C. (1997).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34.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35. DeBord, K., Hestenes, L., Moore, R., Cosco, N., & McGinnis, J. (2002). Playing attention to the outdoor environment is as important as preparing the indoor environment. Young Children, 57(3), 32-35. 

  36. Elicker, J., & Fortner-Wood, C. (1995). Research in review: Adult-child relationships in early childhood programs. Young Children, 51(1), 69-78 

  37. Early, D. M., Maxwell, K. L., Burchinal, M., Alva, S., Bender, R. H., Bryant, D., & Zill, N. (2007). Teacher's education, classroom quality, and young children's academic skills: Results from seven studies of preschool programs. Child Development, 78(2), 558-580. 

  38. Enz, B., Christie, J. F. (1997). Teacher play interaction styles: Effects on play behavior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 training and exper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 55-75. 

  39. Howes, C., & Smith, E. (1995). Relations among child care quality, teacher behavior, children's play activities, emotional security, and cognitive activity in child car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4), 381-404. 

  40. Isenberg, J. P., & Quisenberry, N. (1998). Play: Essential for all children. A position paper of the association for childhood education international. 

  41. Kontos, S. (1999). Preschool teachers' talk, roles, and activity settings during free school.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4(3), 363-382. 

  42. Lieberman, J. N. (1965).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07(2), 219-224. 

  43. Lifter, K., & Bloom, L. (1989). Object knowledge and the emergence of language.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12(4), 395-423. 

  44. Mattews, W. S., & Mattews, R. J. (1982). Eliminating operational definition: A paradigm case approach to the study of fantasy play. In D. J. Pepler & K. H. Rubin(Eds.), The play of children: Current theory and research basel, Switzerland: Karger. 

  45. McWilliam, R. A., Scarborough, A. A., Bagby, J., & 와 Sweeney, A. (1998). Teaching Styles Rating Scale(TSRS). Chapel Hill, NC: Frank Porter Graham Child Development Center,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46. Naver 국어사전. http:// www. dic naver.com/ 

  47. Pianta, R., Howes, C., Burchinal, M., Bryant, D., Clifford, R., Early, D., & Barbarin, O. (2005). Features of pre-kindergarten programs, classrooms, and teachers: Do they predict observed classroom quality and child-teacher interaction?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9(3), 144-159. 

  48. Phillipsen,L. C., Burchinal, M. R., Howes, C., & Cryer, D. (1997). The prediction of process quality from structural features of child car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3), 281-303. 

  49. Rogers, C. S., Impara, J. C., Fray, R. B., Harris, T., Meeks, A., Semanic-Lauth, S., & Reynolds, M. R. (1998). Measuring playfulness: Development of the child behaviors inventory of playfulness. In M. C. Duncan, G. Chick, & A. Aycock (Eds.), Play & Culture Studies, Vol. 1. Greenwich, CT: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50. Scott-Little, M. C., & Holloway, S. D. (1994). Caregiver's attributions about children's misbehavior in child-care center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5(2), 241-253. 

  51. Trevlas, E., Grammatikopoulos, V., Tsigilis, N., & Zachopoulou, E. (2003). Evaluation playfulness: Construct validity of the children's playfulness scal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1), 33-39. 

  52. Wardle, F. (1997). Outdoor play: Designing, building, and remodeling playgrounds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News, 9, 36-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