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Blanching에 따른 갯기름 나물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after blanching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0 no.5, 2013년, pp.628 - 635  

손희경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수태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해옥 (초당대학교 조리과학부) ,  이재준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주로 blanching하여 나물로 섭취되고 있는 갯기름나물을 데침 과정에 의한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 함량변화를 측정하였다. Blanching에 의해 조지방, 조회분 및 탄수화물의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조단백질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갯기름나물의 검출된 모든 유리당의 함량 모두 blanching에 의해 감소되어, 총 유리당 함량은 14.8% 감소되었다. 생 갯기름나물에 비하여 데친 갯기름나물의 총 구성 아미노산 및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의 함량은 각각 10.75%와 15.22% 감소되었고, 검출된 모든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 모두 blanching에 의해 감소되었다. 총 지방산 함량은 blanching 전후 유의차가 없었다. 총 유기산 함량은 blanching에 의해 37.03% 감소되었고, 유기산 중 acetic acid의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Blanching에 의해 비타민 A, E 및 C의 함량은 각각 20.20%, 8.23% 및 35.59% 감소되었다. 총 무기질 함량은 21.84% 감소되었고, 무기질 중 K 함량의 손실이 가장 컸다. 본 연구 결과 갯기름 나물은 필수 아미노산, 비타민 C, 무기질 등 유용한 영양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 갯기름나물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blanching에 의해 대부분의 영양성분들이 감소되어 향후 이러한 성분들을 유지할 수 있는 blanching 조건 설정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after blanching. After blanching treatment, the crude protein content decreased but did not affect the crude fat, crude ash and carbohydrate contents of P. japonicum. All the detec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산채의 기능성 식품을 선호하는 추세에 따라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갯기름나물을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을 위한 식품으로서 이용 시 예비조리과정인 blanching 처리하여 동결 건조 후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갯기름나물은 무엇인가? 갯기름나물(식방풍, Peucedanum japonicum Thunb.)은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해식애(sea cliff)에 자라는 식물 중에 식용이나 약용의 가치가 있는 유용식물이다(1). 우리나라 중, 남부 해안지대에 자생하며, 세계적으로는 동아시아의 해안에 분포한다(2,3).
갯기름나물은 국내 어느 지역에서 자생하는가? )은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해식애(sea cliff)에 자라는 식물 중에 식용이나 약용의 가치가 있는 유용식물이다(1). 우리나라 중, 남부 해안지대에 자생하며, 세계적으로는 동아시아의 해안에 분포한다(2,3). 한약재명 또는 한명으로는 식방풍으로 통칭하고, 뿌리는 갯방풍(해방풍, Glehnia littoralis Fr.
갯기름나물의 주요성분은 무엇인가? 갯기름나물의 주요성분은 bergapten, psolalen, praeruptorin A, xanthotoxin, nodakenetin, peujaponiside, xanthotoxinpraeruptorin 등 coumarin계 물질로 알려져 있고 갯기름나물의 뿌리에는 peucedanol, umbelliferone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peucedanol은 약리효과가 갯기름나물의 주효능과 거의 일치하여 식방풍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물질이 되기도 한다(8,9). 한방에서 갯기름나물은 고혈압 또는 뇌졸중으로 발병되는 중풍병, 해독 등의 효능이 있어 가래, 기침, 두통, 전신마비, 해열, 신경통 등에 이용될 뿐 아니라 이질간균, 고초간균, 일부 피부진균에 억제작용이 보고되어 활용성이 높은 약초로 향후 연구대상 약용작물로 각광을 받을 가능성이 큰 항균성 약용작물이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m SM, Shin DI, Yoon ST, Song HS (2007) Distribution pattern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community by ordination method in southern coast of Korea. Korean J Intl Agri, 19, 285-290 

  2. Song HS, Cho W, Park YJ (2009) Distribution pattern of growth plants with Peucedanum japonicum Thunb. community in sea cliff plants, Korea. Korean J Env Eco, 23, 346-352 

  3. Ohwi J (1984) Flora of japan.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685. 

  4. Nam JY, Pyu KS (1975)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Korean 'Bang Poong'. Korean J Pharmacog, 6, 151-159 

  5. Lee YN (1998) Illustrated plants in Korea, Kyohaksa, 571-573 

  6. Lee CB (1993) Illustrated plants in Korea, Hyangmunsa, 585-592 

  7. Moon KS, Choi OJ (1991) Composition and use of medicinal herbs. Ilwolbooks, p 449-450 

  8. Jung BS, Kim IH, Kim JG (1992) Drug dictionary of primary natural. Namsandang, p 239 

  9. Chung SH, Kim KJ, Suh DH, Lee KS, Choi BS (1994) Changes in growth and yield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by planting time, mulching, and planting density.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 121-126 

  10. Oboh G (2005) Effect of blanching on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some tropical green leafy vegetables. LWT, 38, 513-517. 

  11. Fuchigami M, Miyazaki K, Hyakumoto N (1995) Frozen carrots texture and pectic components as affected by low temperature blanching and quick freezing. J Food Sci, 60, 132-136. 

  12. Lee K, Kim KH, Kim HK (2002) Thermal inactivation parameters of peroxidase in Flammulina velutipes and Lyophyllum ulmarium.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67-1072. 

  13. Kim MH, Park SY, Jeong YJ, Yoon KY (2012) Sensory properties of Kalopanax pictus and Cedrela sinensis shoots under different blanching conditions and with different thaw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9, 201-208 

  14. AOAC (200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5. Gancedo M, Luh BS (1986) HPLC analysis of organic acid and sugars in tomato juice. J Food Sci, 51, 571-573 

  16. Waters Associates (1990) Analysis of amino acid in waters. PICO. TAG system. Young-in Scientific Co., Ltd., Korea, p 41-46 

  17. Wungaarden DV (1967) Modified rapid preparation fatty acid esters from liquid for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Analytical Chem, 39, 848-850 

  18. Kim DH, Lim DW, Bai S, Chun SB (1997)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hole soybean meju model system inoculated with 4 Bacillus st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006-1015 

  19. Korea Food and Drug Association. (2005) Food standards codex. Korean Foods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 367-368 

  20. AOA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878 

  21. Kim MH, Jang HL, Yoon KY (2012)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aetsun vegetables by blanch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647-654 

  22. Kang SK, Choi OJ, Kim YD (1999) Proximate, free sugar, amino acid, dietary fiber and saponin composition of Agngelica keiskei Koidz. Korean J Plant Res, 20, 31-37 

  23. Hwang J.B, Yang MO, Shin HK (1997) Survey for ap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medicinal herb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671-679 

  24. Lee JJ, Jung HO (2012)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ergularia marina Griseb by blanching. Korean J Food Preserv, 19, 866-872 

  25. Noh KS, Yang MO, Cho EJ (2002)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Umbelliferaecea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8-12 

  26. Ahn MS (1999) A study on the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egetables by Korean traditional cooking methods. Korean J Dietary Culture, 14, 177-188 

  27. Choi NS, Oh SS, Lee JM (2001) Change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of Pimpinella brachycarpa (Chamnamul) by blanching conditions. Korean J Dietary Culture, 16, 388-397 

  28. Jo JO, Jung IC (2000) Changes in carotenoids contents of several green-yellow vegetavles by blanching. Korean J Soc Food Sci, 16, 17-21 

  29. Kim MH, Park YK, Jang MS (1992) Effect of boiling method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urichw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 701-7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