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출 방법에 따른 포도 추출액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f grape juice obtained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0 no.6, 2013년, pp.784 - 790  

김미향 (아람농장(주)) ,  곽현지 (아람농장(주)) ,  유병혁 (영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덕진 (대구대학교 식품공학과) ,  윤선주 (아람농장(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압가열추출(AE), 열수추출(HWE) 및 효소처리추출(EE) 방법으로 추출한 포도 추출액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추출수율은 가압추출액이 79.8%, 열수추출액이 82,3% 및 효소추출액이 92.6%로 효소 추출이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pH는 추출 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산도와 당도는 효소추출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색상에 있어서는 $a^*$$b^*$값은 효소 추출이 5.24 및 5.09로서 열수추출(3.79, 3.83)과 가압가열추출(1.83, 3.16)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며 $L^*$값은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도는 효소추출이 42.1 cP 이었으며 가압가열추출과 열수추출보다 높았다. 유리당은 포도당과 과당의 함량이 높으며, 가압추출과 열수추출보다 효소추출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기산사과산의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효소 추출이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효소추출이 55.7 mg% 수준으로 가압추출 31.3 mg%와 열수추출 39.5 mg%에 비하여 높았으며, 특히 안토시아닌 함량은 효소추출이 22.1 mg%로 가압추출과 열수추출보다 2~4배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환원력에 있어서 효소추출이 가압추출과 열수추출에 비하여 높은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포도 추출에 있어 가압과 가열에 의한 방법보다 효소 처리에 의한 추출이 맛과 색소 성분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며 그에 따른 항산화 활성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mpbell grape juice with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AE; autoclave extraction, HWE: hot water extraction, and EE: enzyme extraction) were investigated. The juice yields of the AE, HWE, and EE juices were 79.8%, 82.3% and 92.6%, respectively. The titratable acid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포도 음료의 대량 생산에 있어서 과피, 과육 및 씨 등을 분리하는 작업이 생산성 및 이용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공정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며, 이들을 분리하지 않은 열매 전과를 이용한 효과적인 추출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캠벨 포도를 이용한 주스 추출에 있어서 보편적으로 쉽게 이용되고 있는 가열 추출방법과 효소를 이용한 추출 방법에 따른 추출액의 품질을 살펴봄으로서 효율적인 음료와 농축액 제조 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도는 어떤 형태의 가공식품으로 이용되는가? 포도(Vitis vinifera L.)는 갈대나무목(Rhamnale) 포도과(Vitaceae) 작물로 열매는 주로 생식으로 이용되거나, 주스, 쨈, 와인, 식초 등 가공식품 제조에 원료로 이용되며, 씨는 추출 유지 등으로 가공되어 이용되고 있다. 전체 생산량의 70% 이상이 생식으로 소비되고 그 외 음료, 와인, 쨈 등의 가공용으로 30%가 소비되고 있다.
V. labrusca 종에 포함되는 포도는? 우리나라의 경우 캠벨(Campbell Early)과 거봉(Kyoho), 머루포도〔MBA(Muscat Bailey A)〕같은 V. labrusca 종이 주로 생식으로 이용되는 품종으로 생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포도 추출 방법에 따른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된 실험에서 환원력 측정은 어떤 원리를 이용하였는가? 환원력 측정은 철 이온을 Fe3+에서 Fe2+로 환원시키는 강도가 클수록 발색의 정도가 증가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27). 시료 1 mL에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Park MY, Park KO, Hwang SR, Song EJ, Park PS (2011) Research on factors for the development and preference of grape food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Korean J Community Liv Sci, 22, 417-427 

  2. Ahn HJ, Son HS (201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ifferent grape varieties cultivat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280-286 

  3. Chang SW, Kin HJ, Song JH, Lee KY, Kim IH, Rho YT (2011) Determination of several phenolic compounds in cultivars of grape in korea. Korean J Food Preserv, 18, 328-334 

  4. Chang SW, Shin NS, Song JH, Park YD, Gho YT (2010) Production of power using concentrated by-products of grape processing. Korean J Food Preserv, 17, 275-280 

  5. Kim DY, Han GD (2010) Effects of dietary pegmatite, precious stone and grape pomace extracts on the meat quality of pig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0, 252-260 

  6. Kim KH, Yun YS, Chun SY, Yook HS (2012)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rape pomace fermented by various microorganis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049-1056 

  7. Jang YS, Jeong JM (2010) Antioxidative effect and digestive enzyme inhibition of grape seed extract (GS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783-788 

  8. Lee PJ (2009) Inhibitory effect of muscat bailey a seed extract on melanin production in ${\alpha}$ -melanin stimulating hormone-stimulated B16 cell. Korean J Plant Res, 22, 477-482 

  9. Han JY, Sung JH, Kim DJ, Jeong HS, Lee JS (2008)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from grape seeds on mushroom tyrosinas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679-1683 

  10. Kang MH, Chung HK, Song ES, Patk WJ (2002) Improved method for increasing of the oil yields in grape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931-934 

  11. Jang JK, Han JY (2002) The antioxidant ability of grape seed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24-528 

  12. Choi SK, Yu QM, Lim EJ, Seo JS (2013) The effects of extraction conditions on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campbell early and muscat bailey a grapevine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68-174 

  13. Kim YE, Kwon EK, Oh SW, Han DS, Kim IH, Lee CH, Lee HJ (2005)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s included green tea, buckwheat and grape leaf extract on lipid metabolism and on regression of fatty streak lesions in F1B golden syrian hamsters fed the atherogenic diet.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962-969 

  14. Chung HJ (2012)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ommercial fruit juices. Korean J Food Preserv, 19, 712-719 

  15. Lee MH, Kim MS, Shin HG, Sohn HY (2011)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thrombin activity of domestic fruit and vegetable juice.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 146-152 

  16. Lee SY, Park JD (2004) Effects of heating temperatures and time on anthocyanin pigments in grape juice. Korean J Food Preserv, 11, 336-341 

  17. Kim MA, Son HU, Yoon EK, Choi YH, Lee SH (2012) Comparison of anti-diabetic activities by extracts of grape cultivar. Korean J Food Preserv, 19, 400-405 

  18. Woo MJ, Seo JW, Byun SY (2005) Extraction of resveratrol containing grape seed oil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Korean J Biotechnol Bioeng, 20, 383-386 

  19. Choi SW, Chung US, Lee KT (2005) Preparation of high quality grape seed oil by solvent extraction and chemical refining process. Korean J Food Preserv, 12, 600-607 

  20. Choi HD, Kim SS, Kim KT, Hong HD, Kim SH (2002) Effects of pressing method on the quality of grape juice. Korean J Food Nutr, 15, 203-208 

  21. Kim JS, Kim SH, Lee WK, Pyun JY, Yook CO (1999) Effects of heat treatment on yield and quality of grape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397-1400 

  22. Coppola ED (1984) Use of HPLC to monitor juice authenticity. Food Technol, 4,88-91 

  23. Whang HJ, Kim SS, Yoon KR (2000) Analysis of organic acid in Korean apple juice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81-187 

  24.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international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international, Washington DC, USA 

  25. Leong LP, Shui G (2002) An investig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of fruits in Singapore markets. Food Chem, 76, 69-75 

  26. Jang KI, Lee JH, Kim KY, Jeong HS, Lee HB (2006) Quality of stored grape (Vitis labruscana) treated with ethylene absorbent and activated charcoa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237-1244 

  27. Yildirim A, Mavi A, Kara AA (2001)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Rumex crispus L. extracts. J Agric Food Chem, 49, 4083-4089 

  28. Blois MS (1958) Antioxidant activity determination by use of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9. Prathyusha K, Suneetha V (2011) Bacterial pectinase and their potent biotechnological application fruit processing/juice production industry: A review. J Phytol, 3, 16-19 

  30. Aron PM, Kennedy JA (2007) Compositional investigation of phenolic polymers isolated from Vitis vinifera L. cv. Pinot noir during fermentation. J Agric Food Chem, 55, 5670-5680 

  31. Voragen FG, Heutink R, Pilnik W (1980) Solubilization of apple cell wall with polysaccharide-degrading enzymes. J Appl Biochem, 452-458 

  32. Hwang JK, Kim CT, CHO SJ, Kim CJ (1995) Effects of various thermal treatment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heat bra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394-403 

  33. Lee HR, Jung BR, Park JY, Hwang IW, Kim SK, Choi JU, Lee SH, Chung SK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grape juice products in the Korean market. Korean J Food Preserv, 15, 445-449 

  34. Mazza G (1995) Anthocyanin in grape and grape products. Criti Rev Food Sci Nutr, 35, 341-371 

  35. Lee SY, Park JD (2004) Effects of heating temperatures and times on anthocyanin pigments in grape juice. Korean J Food Preserv, 11, 336-341 

  36. Hwang JK, Kim CT, Hong SI, Kim CJ (1994) Solubilization of plant cell walls by extrusion. J Korean Soc Food Nutr, 23, 358-3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