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삼채뿌리분말 첨가 김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llium hookeri root powder added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0 no.6, 2013년, pp.863 - 870  

유보람 (세계김치연구소) ,  김유진 (세계김치연구소) ,  장자영 (세계김치연구소) ,  최학종 (세계김치연구소) ,  김현주 (세계김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삼채뿌리분말을 첨가하여 김치의 맛과 저장성을 증진시키는 김치를 개발하고자 품질특성을 관찰하였다. 삼채뿌리분말 0.1%, 1%, 5%를 첨가하여 $4^{\circ}C$에서 8주 동안 저장하였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pH, 산도, 염도, 환원당, 미생물의 변화 및 관능특성을 살펴보았다. 삼채뿌리의 비타민 $B_1$비타민 C의 함량은 각각 0.04 mg/100 g 및 5.76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삼채 뿌리의 비타민 $B_1$의 함량은 마늘보다는 적고 양파와 비슷한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삼채뿌리분말 첨가 김치의 pH의 측정결과 초기의 pH는 비슷하였으나, 저장기간 중 삼채뿌리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일반김치는 삼채뿌리분말을 첨가한 김치에 비하여 대체적으로 낮은 pH를 보였으며, 삼채뿌리분말 5% 첨가한 김치의 pH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도의 측정결과 pH 변화와 비슷하였으며, 삼채뿌리분말첨가 김치의 염도는 대체로 2.23%를 유지하였다. 환원당 함량의 측정 결과 삼채뿌리분말 0.1%, 1%, 5% 첨가 김치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군에서 환원당 함량이 지속적으로 감소되었고, 삼채뿌리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환원당 함량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숙성 중 총 균수 및 젖산균수 변화는 숙성 초기에 급격히 증가한 후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면 외관, 맛, 전반적인 기호도 에서 삼채뿌리분말 1% 첨가 김치의 평가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삼채뿌리분말을 첨가한 김치의 pH가 높고 천천히 감소되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숙성 지연 등의 저장성과 기호성이 좋은 삼채뿌리분말 1%를 첨가하여 김치를 개발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llium hookeri powder (AHP) added during eight weeks fermentation at $4^{\circ}C$. AHP was added to salted cabbage at concentrations of 0, 0.1, 1, and 5% (w/w).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AHR-add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현대인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서 식품의 기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우수한 삼채뿌리분말을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함으로써 기능성뿐만 아니라 김치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키고 기호성이 우수한 김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삼채뿌리 분말 첨가량을 달리하여 김치를 담근 후 4℃에서 8주 동안 김치의 품질 및 관능특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삼채뿌리분말을 첨가하여 김치의 맛과 저장성을 증진시키는 김치를 개발하고자 품질특성을 관찰하였다. 삼채뿌리분말 0.

가설 설정

  • 1)Kimchi cabbage was brined in 10% salt solu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얀마나 부탄 등에서 삼채를 무엇이라 부르는가? 삼채(三菜, Allium hookeri)는 히말라야 산맥 해발 1400~4200 m 초 고랭지에서 자라는 식물로 미얀마나 부탄 등에서 뿌리부추라고 불리며 단맛, 매운맛, 쌉쌀한 맛 등 세가지 맛을 모두 가지고 있다. 현지에서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염증 질환과 암 질환 등에 효능이 있어 국민채소로 불리며 민간처방에 이용되고 있다.
삼채는 무슨 맛인가? 삼채(三菜, Allium hookeri)는 히말라야 산맥 해발 1400~4200 m 초 고랭지에서 자라는 식물로 미얀마나 부탄 등에서 뿌리부추라고 불리며 단맛, 매운맛, 쌉쌀한 맛 등 세가지 맛을 모두 가지고 있다. 현지에서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염증 질환과 암 질환 등에 효능이 있어 국민채소로 불리며 민간처방에 이용되고 있다.
현지에서 삼채는 어떤 용도로 이용하는가? 삼채(三菜, Allium hookeri)는 히말라야 산맥 해발 1400~4200 m 초 고랭지에서 자라는 식물로 미얀마나 부탄 등에서 뿌리부추라고 불리며 단맛, 매운맛, 쌉쌀한 맛 등 세가지 맛을 모두 가지고 있다. 현지에서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염증 질환과 암 질환 등에 효능이 있어 국민채소로 불리며 민간처방에 이용되고 있다. 삼채는 Allium속에 속하며 Allium속 식물은 항산화, 항균작용, 항암, 항 혈액응고, 항 콜레스테롤 및 혈당 강하에 도움이 되는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16-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im MH, Jang MJ (2000) Fermentation property of chinese cabbage kimchi by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Korean J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7-11 

  2. Ku KH, Sunwoo KY, Park WS (2005) Effects of ingredients on the its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267-276 

  3. Park KY, Cheigh HS (2000)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 of lactic acid an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Proc Int'l Symp Microorganism and Health, Seoul, Korea, p 28-29 

  4. Lee JJ, Lee YM, Kim AR, Chang HC, Lee MY (2008) Effect of Leuconostoc kimchi GJ2 isolated from kimchi (fermented Korean cabbage) on lipid metabolism in high cholesterol fed rats. Korean J Food Preserv, 15, 760-768 

  5. Lee J, Hwang KT, Heo MS, Lee JH, Park KY (2005) Resistance of Lactobacillus plantarum KCTC3099 from kimchi to oxidative stress. J Med Food, 8, 299-304 

  6. Sim KH, Han YS (2008) Effect of red pepper seed on kimchi antioxidant activity during fermentation. Food Sci Biotechnol, 17, 295-301 

  7. Kim YJ, Pak WS, Koo KH, Kim MR, Jang JJ (2000) Inhibitory effect of baechu kimchi (chinese cabbage kimchi) and kakduki (radish kimchi) on diethylnitrosamine and D-galactosamine induced hepatocarcinogenesis. Food Sci Biotechnol, 9, 89-94 

  8. Kim MK and Kim SD (2003)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treated with different methods of green tea water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0, 354-359 

  9. Yim SB, Kim MS, Kim EK, Chang YH, Jeoung YH (2011) Microbial properties of taurine supplement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low temperatur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257-262 

  10. Park WP, Park KD, Um HS (2002) Effects of safflower seed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9, 200-204 

  11. Sung JM, Choi HY (2009) Effects of alaska pollack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Korean salted cabbage). Korean J Food Preserv, 16, 772-781 

  12. Lim JH, Park SS, Jeong WJ, park KJ, Seo KH, Sung JM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fermented with abalone or sea tangl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450-456 

  13. Park LY, Jeong TS, Lee SH (2008) Effects of Chaenomelis fructus water extrac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5, 669-674 

  14. Kwak HJ, Jang JS, Kim SM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dded houttuyniac or 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2, 332-337 

  15. Ku KH, Lee KA, Park W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echu kimchi added ginseng during fermentation peri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444-1448 

  16. Kim CH, Lee MA, Kim TW, Jang JY, Kim HJ (2012) Anti-inflammatory effect of Allium hookeri root methanol extract in LPS-induced RAW264.7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645-1648 

  17. Welch C, Wuarin L, Sidell N (1992) Antiproliferative effect of the garlic compound S-allyl cysteine on human neuroblastoma cells in vitro. Cancer Lett, 63, 211-219 

  18. Kim KH, Kim HJ, Byun MW, Yook HS (2012)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six vegetables containing different sulfur compoun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577-583 

  19. Banerjee SK, Maulik SK (2002) Effect of garlic on cardiovascular disorders: a review. J Nutr , 1, 1-14 

  20. Vazquez-Prieto MA, Miatello RM (2010) Organosulfur compounds and cardiovascular disease. Mol Aspects Med, 31, 540-545 

  21. Ayam VS (2011) Allium hookeri, a lesser known terrestrial perennial herb used as food and its ethnobotanical relevance in manipur. Afr J Food Agric Nutr Dev, 11, 5389-5412 

  22. Bae GC, Bae DY (2012)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Allium hookeri cultivated in South Korea. Kor J Herbology, 27, 55-61 

  23.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5) Food Standard Cod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1-475 

  24. Doughty HW (1924) Mohr's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ilver and halogens in other than neutral solutions. J Am Chem Soc, 46, 2707-2709 

  25.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26. 8th Revision food composition table (201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115-164 

  27. Rhee HS, Lee SH, Lee GJ (1987).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extural properties of Korean cabbage during salting. Korean J Food Cookery Sci. 3, 64-70 

  28. Kim YK, Lee GC (1999). Contents of pectic substance and minerals and textural properties of leek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15, 258-263 

  29. Jang SY, Jeong YJ (2005) Effect of chitosan-liquid calcium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Nutr, 34, 715-720 

  30. Jung BM, Jung SJ Kim E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properties of gat kimchi added with oyster shell powder and Salicornia herbacea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188-197 

  31. Lee HA, Song YO, Jang MS, Han JS (2013) Effect of Ecklonia cava on the quality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83-88 

  32. Cho IY, Lee HR, Lee JM (2005) The quality changes of less salty kimchi prepared with extract powder of fine root of ginseng and Schinzandra chinensis juice. Korean J Food Culture, 20, 305-314 

  33. Choi EJ, Cho SH (2009) Effects of onion and pear on Kimchi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243-251 

  34. Park SH, Lee JH (2005) The correlati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sour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03-109 

  35. Park WP, Park KD, Kim JH, Cho YB, Lee MJ (2000) Effect of washing conditions in salted chinese cabbage on the quality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30-34 

  36. Choi SY, Kim YB, Yoo JY, Lee IS, Chung KS, Koo YJ (1990)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s concentration of kimchi manufacturing on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07-7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