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20~30대 기혼여성의 원가족분화경험, 부부의사소통 및 부부친밀감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 Differentiation from the Family of Origin, Marital Communication, and Marital Intimacy on the Family Strengths of Married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1 no.6 = no.126, 2013년, pp.23 - 38  

이지민 (Department of Family and Housing Studies, Yeungnam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y differentiation from the family of origin, marital communication, and marital intimacy on the family strengths of married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The subjects were 237 married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ho 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재원 중인 자녀가 있는 20~30대의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원가족에서 경험한 가족분화가 그들 핵가족의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어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선행연구를 근거로 한 이론적 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검증하며 변인들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 그러나 원가족에서의 가족분화와 가족규칙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Park(2006)의 연구에서는 원가족의 가족분화 수준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을 발견하지 못했으며 Yu and Kim(2011)의 연구에서도 원가족에서의 가족분화는 현재의 부부친밀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보다는 자기인식이나 타인에 대한 민감성, 그리고 부부갈등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가족에서의 가족분화 경험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직접 영향뿐만 아니라 부부의사소통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도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재원 중인 자녀가 있는 20~30대의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원가족에서 경험한 가족분화가 그들 핵가족의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어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선행연구를 근거로 한 이론적 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검증하며 변인들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의 이론적 모형은 [Figure 1]과 같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원가족에서의 가족분화경험이 20~30대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친밀감의 중요성과 간접적인 효과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혼자에게 있어 원가족의 경험은 핵가족의 상호작용과 건강성에 지속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만 부부 간의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의사소통과 친밀한 관계를 통해 혹시나 있을 수 있는 원가족의 병리적이고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 본 연구에서는 20~30대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원가족에서의 가족분화경험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친밀감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구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상의 개념들을 살펴볼 때, 건강한 가족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가족의 구조나 형태보다는 가족의 기능과 심리사회적 측면을 강조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Yoo(1994)의 연구에 근거하여 가족건강성을 가족구성원들이 상호 친밀하고 애정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하며 가족 고유의 가치관이나 규범을 공유하고, 위기 상황에 공동의 노력이나 책임으로 융통성 있게 대처해 나가는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안정된 정도로 정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원가족에서의 가족분화경험과 부부의사소통 및 부부친밀감이 핵가족의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어 기혼여성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기혼여성들이 지각하는 원가족에서의 가족분화경험이나 부부 간의 의사소통과 친밀감은 기혼남성들의 지각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Lim & Jennings, 1996; Park, 2006), 이러한 차이는 기혼여성들이 지각하는 핵가족의 건강성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원가족에서의 가족분화경험이 핵가족의 건강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살펴보는 과정에 있어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친밀감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은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개인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은 자신의 심리적, 가족적, 사회적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며, 특히 기혼자의 경우에는 자신이 성장한 원가족(family of origin)에서의 부모-자녀 상호작용 경험과 현재 핵가족에서의 부부 상호작용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기혼자의 원가족경험과 관련되어 자주 연구되어지는 변인으로는 원가족에서의 가족분화경험이 있으며, 부부 상호작용변인으로는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친밀감이 있다.
부부의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고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부부 대상의 교육과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하는 이유는?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원가족에서의 가족분화경험이 20~30대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친밀감의 중요성과 간접적인 효과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혼자에게 있어 원가족의 경험은 핵가족의 상호작용과 건강성에 지속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만 부부 간의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의사소통과 친밀한 관계를 통해 혹시나 있을 수 있는 원가족의 병리적이고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따라서 부부의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고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부부 대상의 교육과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가족건강성이란 무엇인가? 가족건강성(family strength)은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가족이 건강한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족의 구조나 형태보다는 가족의 기능과 심리사회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개념이다(Eo, 1997; Olson & Defrain, 2003). 서구에서는 1960년대부터 가족의 긍정적인 측면과 강점을 강조함으로써 가족의 문제를 예방하고 가족관계를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가족건강성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Otto, 1963; Pratt, 1976; Stinnett & Defrain, 19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6)

  1. Allison, M. & Sabatelli, R. M. (1988). Differentiation and individuation as mediators of identity and intimacy in adolescence.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3, 1-6. 

  2. Anderson, S. A. & Sabatelli, R. M. (1992). The differentiation in the family system scales: DIFS.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0, 89-101. 

  3. Bae, K. & Kim, E. (2007). Original articles : Relationship of family strengths, family function, ego-identity and depression in adolesc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3), 357-366. 

  4. Bartle-Haring, S. & Sabatelli, R. A. (1998). An intergenerational examination of pattern of individual and family adjustmen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0, 903-911. 

  5. Beavers, W. R. (1977). Psychotherapy and growth: A family systems perspective. Brunner/Mazel, New York. 

  6. Bowen, M. (1978).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Aronson, Inc. 

  7. Broucke, S. V., Vandereycken, W., & Vertommen, H. (1995). Marital intimacy: Conceptualization and assessment. Clinical Psychology Review, 15(3), 217-233. 

  8. Burr, W. R., Day, R. D., & Bahr, K. S. (1993). Family science.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9. Cha, J. & Chun, Y. (2002).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of the family of origin and intimacy among the dating couple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7(1), 39-57. 

  10. Cho, E. & Chung, H. (2009). Self-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mediated the effect of familyof- origin health o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3(4), 105-132. 

  11. Cho, S. & Chung, H. (2008). The effects of family of origin experiences and self-differentiation on marital relationship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in the nuclear family among married men an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7(5), 873-889. 

  12. Choe, Y. (2010). The effects of family-of-origin health, marital intimacy, daughter-in-law and mother-in-law conflicts on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woman. Master thesis, Daegu Cathoric University, Gyeongbuk. 

  13. Choi, J. (2006). Family stress and family strengths in double-income coupl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6), 47-58. 

  14. Christensen, A. & Shenk, J. L. (1991). Communication, conflict, and psychological distance in nondistressed, clinical, and divorcing coupl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9, 458-463. 

  15. Costello, C. G. (1982). 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 retrospective community study. Psychological Medicine, 12, 329-340. 

  16.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17. Eo, E. (1997). Korean urban family strengths and its related variabl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5(4), 269-285. 

  18. Forrest, M. (1991). Family-of-Origin emotional health experiences as predictors of marital satisf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kansas, Dissertation Abstract International-A, 53(8), 2688, 1993. 

  19. Glenn, N. D. & Kramer, K. B. (1987). The marriages and divorces of the children of divorc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9, 822-826. 

  20. Gottman, J. M. (1994). What predicts divorc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processes and marital outcomes. Hillsdale: Erlbaum. 

  21. Gottman, J. M. & Notarius, C. I. (2000). Decade review : Observing marital interac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 927-947. 

  22. Hahlweg, K., Revenstorf, D., & Schindler, L. (1984). Effects of behavioral marital theory on couples'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2, 553-566. 

  23. Harrington, R., Fudge, H., Putter, M., Pickles, A., & Hill, J. (1990). Adult outcomes of children and adolescent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7, 465-473. 

  24. Hawkins, A. J., Blanchard, V. L., Baldwin, S. A., & Fawcett, E. B. (2008). Does marriage and relationship education work? A meta-analytic stud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6(5), 723-734. 

  25. Hawng, M & Ko, J. (2010). Discrepancy, misunderstanding, and conflict in married couple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5(4), 779-800. 

  26. Jacobson, N. S. & Magolin, G. (1979). Marital therapy: Strategies based on social learning and behavior enhancing principle. New York: Brenner. 

  27. Jin, D. (2008). The effect of family of origin experiences on the family strength and marital conflict among married men and women. Unpublished master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28. Kang, S. & Choi, J. (2010). A Study on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family strengths of rural housewive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5(2), 71-85. 

  29. Kerr, M. E. & Bowen, M. (1988). Family evaluation. New York: Norton. 

  30. Kieclt-Glaser, J. K. & Newton, T. L. (2001). Marriage and health: His and hers. Psychological Bulletin, 127(4), 472-503. 

  31. Kim, H. (2011). A study on the family strength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Korean men couples.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nam. 

  32. Kim, H. & Jung, M. (2011). Study in development and satisfaction of the family volunteer activity program: Focused on Sharing Love and Joy with Growing Sprouts program and the participan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9(2), 51-62. 

  33. Kim, K. (2004). The influences of family of origin and self differentiation on family function among married people.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34. Kim, K. (2013). The effects of the marital relationship on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diverce intention of the youngold. Doctoral dissertation, Hoseo University, Chungnam. 

  35. Kim, K. & Choi, E. (2010). The effect of family strength on adolescents' adjustment at school-focused on mediation effect of self-resil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9(4), 641-653. 

  36. Kim, K. & Lee, S. (2001). Marital conflict and related variables in old aged couples.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10, 31-54. 

  37. Kim, M. (2001). A study of the factors of influencing the marital intimacy. Master thesis, Mokwon University. 

  38. Kim, M. & Choi, Y. (2007). The effects of marital communication and marital intima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5(3), 1-23. 

  39. Kim, S. & Yoo, Y. (2001). The effects of family of origin's emotional health and ego-identity on psychological well-bing of married young adult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6(1), 43-64. 

  40. Kim, Y., Han, S., & Han, M. (2011). The relations between types of communication of married couples and their sexual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7(2), 199-218. 

  41. Lee, J. & Lee, Y. (2000). The relation between assertiveness, aggressiveness, daily hassles, marital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3), 531-548. 

  42. Lee, Y. & Lee, Y. (2011).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of parents, family of origin differentiation, and marital intimacy on marital stabilit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2(1), 43-58. 

  43. Lee, J. & Yun, H. (2007). The relationship of mindfulness, marital communication patterns, and marital satisfaction in married woman.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2(3), 331-345. 

  44. Lee, K. (1995). A measure of marital intimac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3(4), 235-249. 

  45. Lee, K. (1998). Marriage types classified by wives'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and intimacy.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46. Lee, S. (2010).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pattern and couple's character strength on marital satisfaction. Master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47. Lewis, R. A. & Spanier, G. B. (1979). Theorizing about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marriage. Com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1, 269-273. 

  48. Lim, M. & Jennings, G. H. (1996). Marital Satisfaction of Healthy Differentiated and Undifferentiated Couples. The Family Journal, 4(4), 308-315. 

  49. Litzinger, S. & Gordon, K. C. (2007). Exploring relationships among communication, sexual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Sex and Marital Therapy, 31(5), 409-424. 

  50. Moss, B. & Schwebel, A. (1993). Marriage and romantic relationship. Family Relations, 42, 31-37. 

  51. Nam, S. (2000). The study on the dynamics of emotional system of family.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52. Nam, S. & Han, S. (2002). The family differentiation level,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and intimacy.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8(2), 33-49. 

  53. Nam, S. & Han, S. (2003). The influence of family of origin on wedded couples's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parents and marital intimacy.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2(3), 505-523. 

  54. Napier, A. (1988). The fragile bond: In search on equal, intimate, and enduring marriage. New York: Harper & Row. 

  55. Noller, P. & Fitzpatrick, M. A. (1990). Marital communication in the eight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4), 832-843. 

  56. Oh, H., Choi, S., Cho, H., & Kwon, J. (2013). Effect of the origin family's patriarch atmosphere on marital satisfaction of the newlywed couples: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communication pattern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8(1), 1-16. 

  57. Olson, D. H. & Defrain, J. (2003). Marriage and the family : Intimacy, Diversity, and Strengths(3rd ed.). Mountain View, CA : Mayfied. 

  58. Olson, D. H., Russell, C. S., & Sprenkle, D. H. (1983).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 Theoretical update. Family Process, 22, 69-83. 

  59. Otto, H. (1963). Criteria for assessing family strengths. Family Process, 2, 329-338. 

  60. Park, M. (2006). The effects of differentiation, family rules of the family of origin and marital communication on couples' marital intimacy.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61. Park, S.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ncept and family strength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4(1), 37-55. 

  62. Patton, D. & Waring, E. M. (1984). The quality and quantity of marital intimacy in the marriages of psychiatric patients. Journal of Sex and Marital Therapy, 10(3), 201-206. 

  63. Pratt, L. V. (1976). Family structure and effective health behavior: The energized family. Boston: Houghton Mifflin. 

  64. Reis, H. T., Wheeler, L., Remis, M. H., Spiegel, N., & Nezlek, J. (1985). On specificity in the impact of social participation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 456-471. 

  65. Robinson, L. C. & Blanton, P. W. (1993). Marital strengths in enduring marriages. Family Relations, 42(1), 38-45. 

  66. Sabatelli, R. M. & Bartle-Haring, S. (2003).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adjustment in married couples. Journal of Marraige and Family, 65, 159-169. 

  67. Skowron, E. A. & Friedlander, M. I. (1998). The differentiation of self inventory: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 235-246. 

  68. Stinnett, N. & DeFrain, J. (1989). The healthy family : Is it possible? In M. Fine(Ed.), The second handbook on parent education(2nd Ed.). New York : Academic Press. 

  69. Yoo, Y. (1994). The role of family members for healthy family. The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The 16th Conference, 25-42. 

  70. Yoo, E. & Park, S. (1989). The attachment between mother and married son and mother's marital relationship to son's marital satisfaction : A path model.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7(2), 149-162. 

  71. Yoo, Y. & Eo, E. (199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for measuring family strengths.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3(1), 145-156. 

  72. Yoo, G. (2004). A survey on the elements of strong families - Focusing on family systems and family strength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9(2), 25-42. 

  73. Yu, H. & Kim, Y. (2011). Effects of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on women's self differentiation, coping behavior, and couple intimacy.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19(3), 141-158. 

  74. Walsh, F. (1996). The concept of family resilience: Crisis and challenge. Family Process, 35(3), 261-281. 

  75. Waring, E. M. (1984). The measurement of marital intimacy.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10, 185-192. 

  76. Waring, E. M. & Chelune, G. J. (1983). Marital intimacy and self-disclosur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9, 183-19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