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향신료 중 천연유래 보존료의 함유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안식향산, 소브산 및 프로피온산의 함유량을 분석하였다. 향신료 중 안식향산 및 소브산 함량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기(LC-MS/MS)를 이용하였고, 프로피온산 함량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기(GC-MS)를 이용하였다. 에탄올을 이용하여 용매추출 후원심분리 후 농축하는 방법으로 전처리 방법을 확립하였고,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회수율 측정으로 분석방법을 검증하였다. 향신료 493건 수거하여 분석한 결과, 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은 각각 165건, 88건, 398건에서 검출되었다. 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의 검출 범위는 각각 불검출-391.99 mg/L, 불검출-57.70 mg/L, 불검출-188.21 mg/L이었다. 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의 평균 검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품목은 각각 계피(167.15 mg/L), 바질잎(22.79 mg/L), 백후추(51.48 mg/L)이었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분석방법은 다양한 향신료를 대상으로 낮은 함량의 천연유래 보존료(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 분석에 적합한 방법이며, 분석결과는 향신료의 천연유래 보존료 함유량을 알 수 있는 근거자료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식품 검사 시 보존료 사용기준 위반 판정으로 인한 민원제기나 국가간 무역마찰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levels of natural preservatives of benzoic acid, sorbic acid, and propionic acid in spices. The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for benzoic acid and sorbic acid and gas chromatog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품원료 및 발효·가공식품 중 안식향산, 소브산 및 프로피온산의 천연유래 함량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들이 다수 보고되고 있으나 향신료를 대상으로 천연유래 보존료함량 분석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아 향신료의 천연유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초자료 확보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향신료를 대상으로 안식향산, 소브산 및 프로피온산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천연유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연방규정집(CFR)에서 명시한 프로피온산의 생성은 어떻게 하는가? 또한, 안식향산은 유가공품을 포함한 많은 식품 내에 천연유래 된다고 하였다10,11). 프로피온산의 경우 미연방규정집(CFR)에서는 프로피온산이 화학적 합성 또는 박테리아 발효에 의해 생성된다고 명시하였다5). WHO에서는 프로피온산이 식용 지방이나 기름의 구성물은 아니지만, 지방산의 산화에 의해서 중간 대사산물로 발생한다고 하였고12), 미국 환경청(EPA)에서는 프로피온산이 생체 내에서 일반적인 중간 대사산물이며, 여러 아미노산이 분해되면서 생성되는 대사산물 중 하나로 보고하였다13).
국내 식품의 제조·가공에 사용할 수 있는 보존료는 무엇이 있는가?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식품의 제조·가공에 사용할 수 있는 보존료로 데히드로초산나트륨, 소브산, 소브산칼륨, 소브산칼슘, 안식향산, 안식향산나트륨, 안식향산칼륨, 안식향산칼슘,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프로피온산, 프로피온산나트륨, 프로피온산칼슘 등 13종이 지정되어있다1). 식품의 제조·가공에 사용할 수 있는 보존료는 식품첨가물공전의 품목별 사용기준에 따라 관리되고 있으나 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 같은 일부 보존료의 경우 식품 제조·가공 공정에서 사용되는 식품원료에 천연적으로 함유되어있거나, 발효과정 중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2-7).
천연유래 보존료의 생성 중 안식향산은 어디서 유래되는가? 천연유래 보존료의 생성과 관련하여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안식향산이 다른 화합물의 형성에 있어 중간 생성물로서 많은 식물들에 의해 생성되며, 베리류에서는 높은 농도로 검출되고 동물 내에서도 검출된다고 하였다9). 또한, 안식향산은 유가공품을 포함한 많은 식품 내에 천연유래 된다고 하였다10,11). 프로피온산의 경우 미연방규정집(CFR)에서는 프로피온산이 화학적 합성 또는 박테리아 발효에 의해 생성된다고 명시하였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Korean food additives codes,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of food additives. (Notice 2016-32). 

  2. Code of Federal Regulation (CFR): Title 21, Food and drugs, parts 170 to 199, $\S$ 184.1021 Benzoic acid, Revised as of April 1 (2013). 

  3. Sieber, R., Buutikofer, U., Bosset, J. O.: Benzoic acid as a natural compound in cultured dairy products and cheese. Int. Dairy J., 5(3), 227-246 (1995). 

  4. Luck, E., Jager M., Raczek, N.: Ashford's dictionary of industrial chemicals. third edition, 8482 (2011). 

  5. Code of Federal Regulation (CFR): Title 21, Food and drugs, parts 170 to 199, $\S$ 184.1018 Propionic acid, Revised as of April 1 (2013). 

  6. Howard, G., Stadtman, E. R.: Propionic acid metabolism. J. Biol. Chem., 235(8), 2238-2245 (1960). 

  7. Gobbetti, M. & Corsetti, A.: Lactobacillus sanfrancisco a key sourdough lactic acid bacterium. A Review. Food Microbiol., 14, 175-187 (1997). 

  8. Radin, M.J.: A note on the quantity of benzoic acid and contained in prune and cranberries. Ind. & Eng. Chem. 6, 518 (1914). 

  9.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oncise International Chemical Assessment 26. Benzoic acid and sodium benzoate. (2005). 

  10. Sieber, R., Buutikofer, U., Bosset, J.O., Ruegg, M.: Benzoesaure als naturlicher bestandteil von lebensmittln-eine Ubersicht. Mitt. Gebiete Lebensm. Hyg., 80, 345-362 (1989). 

  11. Sieber, R., Buutikofer, U., Baumann, E., Bosset, J.O.: Ueber das vorkommen der benzoesaure in sauermilchprodukten und kase. Mitt. Gebiete Lebensm. Hyg., 81, 484-493 (1990). 

  12.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Food Additives Series 5, Propionic acid and its calcium, potassium and sodium salts. (1974). 

  13.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Reregistration eligibility document propionic acid and salts list D case 4078. (1991). 

  14. Nagayama, T., Nishijima, M., Yasuda, K., Saito, K., Kamimura, H., Ibe, A., Ushiyama, H., Nagayama, M., Naoi, Y.: Benzoic acid in fruits and fruit products. J. Food Hyg. Saf., 24(4), 416-422 (1983). 

  15. Nagayama, T., Nishijima, M., Yasuda, K., Saito, K., Kamimura, H., Ibe, A., Ushiyama, H., Naoi, Y., Nishima, T.: Benzoic acid in agricultural food product and processed foods. J. Food Hyg. Saf., 27(3), 316-325 (1986). 

  16. Kubota, H., Ohtsuki, T., Hara, T., Hirakawa, Y., Iizuka, T., Tanaka, M., Iwamura, M., Sato, K., Kawamura, Y.: Seach for benzoic acid and sorbic acid in fruits, nets, spices, and their processed foods. Jpn. J. Food Chem. Safety, 17(1), 54-61 (2010). 

  17. Kim, M.C., Park, H.K., Hong, J.H., Lee, D.Y., Park, J.S., Park, E.J., Kim, J.W., Song, K.H., Shin, D.W., Mok, J.M., Lee, J.Y., Song, I.S.: Studies on the naturally occurring benzoic acids in foods. Part(I) - Naturally occurring benzoic acid and sorbic acid in several plants used as teas or spices. Korean J . Food Sci. Technol., 31(5), 1144-1152 (1999). 

  18. Choung, M.G.: Variation of bioactive component contents in plant parts of Paeonia lactiflora pal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5), 392-398 (2002). 

  19. Baek, K.A., Kang, H.K., Shin, M.H., Park, J.J, Kim, J.D, Park, S.M, Lee, M.Y., Im, J.S.: A study of the levels of natural preservatives in wild plants. Korean J. Food Preserv., 21(4), 529-535 (2014). 

  20. Kim, J.K., Kim, C.S.: The taste components of ordinary Korean soy sauce. J. Korean Agric. Chem. Soc., 23, 89-105 (1980). 

  21. Lee, E.H., Koo, J.K., Cha, Y.J., Ahn, C.B., Oh, K.S.: Volatile constituents of fermented big eyed herring and slimy.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437-441 (1985). 

  22. Lee, S.H., Lee, M.Y., Lim, S.R., Bae, J.H.: Determination of amounts of benzoic acid and propionic acid in fermented soybean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5), 565-570 (2013). 

  23. Pihlsgard, P., Larsson, M., Leufven, A., Lingnert, H.: Volatile compounds in the production of liquid beet sugar. J. Agric. Food Chem., 48, 4844-4850 (2000). 

  24. Kanavouras, A., Gazouli, M., Tzouvelekis Leonidas, L., Petrakis, C.: Evaluation of black table olives in different brines. Grasasy Aceites., 56(2), 106-115 (2005). 

  25. Thierry, A., Maillard, M., Hervee, C., Richoux, R., Ortal, S.: Varied volatile compounds are produced by P 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in Emmental cheese. Food Chem., 87, 439-446 (2004). 

  26. Manolaki, P., Datsiari., Alichanidis, E.: Effect of a commercial adjunct culture on organic acid contents of low-fat Fetatype cheese. Food Chem., 98, 658-663 (2006). 

  2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Korean food codes,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of foods. (Notice 2015-34). 

  2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Livestock product in the processing standards and ingredient specifications. (Notice 2015-94). 

  29.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Guidelines on the use of mass spectrometry (MS) for indentification, confirmatio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residues, CAC/GL 56 (2005). 

  3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Contents monitoring of natural preservatives in raw materials of functional foods. The Annual Report of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31. Park, E.R., Lee, S.K, Hwang, S.H, Mun, C.S, Gwak, I.S, Kim, O.H., Lee, K.H.: Monitoring of natural preservative levels in food 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2), 1640-1646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