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찰적 사전·사후 평가연구 방법의 비교 연구: 공용중인 고속도로 안전진단사업 효과평가를 사례로
The Comparison Study on Observational Before-After Studies: Case Study on Safety Evaluation on Highways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1 no.6, 2013년, pp.67 - 89  

문승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이영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관찰적 사전 사후 평가연구의 세 방법인 단순비교법, 비교그룹에 의한 방법 그리고 경험적 베이즈 방법에 대한 실증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며, 평가연구에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5년과 2006년에 영동고속도로에서 시행된 안전진단사업의 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세 가지 방법 모두 안전진단조치로 인한 개선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단순비교법이 개선효과가 가장 크고 그 다음이 비교그룹에 의한 방법, 경험적 베이즈 방법의 순으로 나타났다. 단순비교법의 결과는 교통사고 감소추이가 반영되어 과대 추정되었으며, 비교그룹방법의 결과에는 비교그룹의 외부우연요인이 내재되어 있다. 경험적 베이즈 방법은 참조그룹의 사고예측모형에 의해 평균으로의 회귀 현상이 통제되므로, 두 방법과 비교해 결과가 비교적 정확하다. 평가연구의 수행에서, 분석가는 평가방법별 장 단점을 잘 이해하고, 관련된 모든 지역에서 사고추이의 검토를 선행한 후에 평가 분석을 수행하여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perform empirical analysis on observational before-after studies in Naive Method, Comparison Group(CG) Method and Empirical Bayes(EB) Method, and to compare with their results and to propose ways to apply to evaluation researches. For this purpose, the evaluation of road safety aud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로교통 안전개선사업의 효과평가에 주요한 척도는?? 도로교통 안전개선사업의 효과평가는 사업전과 사업 후의 교통사고 변화의 측정을 주요한 효과척도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로 및 교통시설에서 목적으로 하는 안전개선조치(safety treatments)를 실행하여, 사전과사후의 사고 발생의 변화를 관찰하는 방법인 관찰연구 (observational studies)를 적용한다.
관찰적 사전․ 사후 평가 연구 방법에는 무엇이 있나? 이를 위해서는 도로 및 교통시설에서 목적으로 하는 안전개선조치(safety treatments)를 실행하여, 사전과사후의 사고 발생의 변화를 관찰하는 방법인 관찰연구 (observational studies)를 적용한다. 관찰적 사전․ 사후 평가 연구(observational before-after studies) 에는 단순비교법, 비교그룹에 의한 방법, 경험적 베이즈 (Empirical Bayes) 방법이 있다(Hauer, 1997). 단순비교법은 개선조치 전과 후에 사고건수의 변화를 단순 하게 비교하는 방법으로서, 사고 추이나 외부요인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아 편이되고 부정확한 결과를 도출함에 따라 특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많이 적용하지 않는다.
도로교통 안전개선사업의 효과평가 연구에는 비교그룹에 의한 방법이나 경험적 베이즈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주요 내용은? 이에 따라 도로교통 안전개선사업의 효과평가 연구에는 비교그룹에 의한 방법이나 경험적 베이즈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두 방법은 비교그룹과 참조그룹이라는 개선사업이 시행되지 않은 구간을 정의하고 이를 활용하여 대상구간(treated sites)의 미시행시 사고 발생을 예측하여 효과분석에 적용한다는 점에서 개념적으로 유사하다. 그러나 경험적 베이즈 방법이 참조그룹의미시행시 사고발생 추이에 대해 확률통계이론에 의한 사고예측모형을 구축하여 적용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다. 즉 사고예측모형에 의해 미시행시 사고의 평균 기댓값을 효과분석에 반영함에 따라 사고 자료에서 나타나는 평균으로의 회귀(regression to the mean) 현상을 통제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이로 인해 발생하는 편이가 제거되어 보다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bbess C., Wright C. C. (1981), Accident at Blackspots : Estimating the Effectiveness of Remedical Treatment,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egression-tothe-mean Effect, Traffic Engineering and Control 22(10), 535-542. 

  2. Al-Masaeid H. (1997), Performance of Safety Evaluation Methods,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123(5), 364-369. 

  3. Bauer K. et al. (2004), Safety Effect of Narrow Lanes and Shoulder-Use Lanes to Increase Capacity of Urban Freeway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897, 71-80. 

  4. Benekohal R. F., Hashmi A. M. (1992), Procedures for Estimating Accident Reductions on Two-Lane Highways,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118(1), 111-129. 

  5. Brabander B., Vereeck L. (2007), Safety Effect of roundabouts in Flanders : Signal type, speed limits and vulnerable road user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9, 591-599. 

  6. Cameron A. C., Trivedi P. K. (1998), Regression Analysis of Count Data,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Chatterjee A. et al. (2005), Planning Level Regression Models for Crash Prediction on Interchange and Non- Interchange Segments of Urban Freeways, Center for Transportation Research, The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TN. 

  8. Galton Sir F. (1877), Typical Laws of Heredity, Proc. Roy. Inst., 8, 282-301. 

  9. Griffin L. I., Flowers R. J. (1997), A Discussion of Six Procedures for Evaluating Highway Safety Projects,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Publication,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10. Griffith M. S. (1999), Safety Evaluation of Continuous Shoulder Rumble Strips Installed on Freeway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665, 28-34. 

  11. Harwood D. et al. (2002), Safety Effectiveness of Intersection Left- and Right-Turn Lanes, Report FHWA-RD-02-089,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Publication,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12. Harwood D. et al. (2003), Safety Effectiveness of Intersection Left- and Right-Turn Lane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840, 131-139. 

  13. Hauer E. (1997), Observational Before-After Studies in Road Safety, Pergamon, Oxford, UK. 

  14. Hauer E. (2004), Statistical Road Safety Modeling,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897, 81-87. 

  15. Hauer E., Lovell J., Persaud B.(1986), New Directions for Learning About Safety Effectiveness, FHWARD-86-015, U.S. DOT. 

  16. Im B. I., Son Y. T., Kim H. S. (2007), An Effect Analysis on the Improvement Strategics Using Empirical Bayes method,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Regular Conference, 1555-1558. 

  17. Jovanis P., Chang H. (1986), Modeling the Relationship of Accidents to Miles Traveled,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068, 42-51. 

  18. Kim G. S., Kang S. L. (2003), A Study of the Analysis on the Accident Reduction Effect of the Median, J. Korean Soc. Transp., 21(2),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45-60. 

  19. Kim T. Y., Park B. H. (2009), Effects on the Accident Reduction of Red Light Camera Using Empirical Bayes Method,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8(6), 46-54. 

  20. Kwon, S. K., Lee, Y. I., Cho, S. J. (2012), Estimation of Traffic Accident Effectiveness of Zig-zag Marking Using a Comparison Group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14(6), 149-158. 

  21. Lee D. M. et al. (2007), A Safety Evaluation of Shoulder Rumble Strips on Freeway Using C-G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9(2), 77-87. 

  22. Lee D. M., Kim D. H., Song K. S. (2011), Analysis of Effects From Traffic Safety Improvement on Roadways Using C-G Method, J. Korean Soc. Transp., 29(3),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31-40. 

  23. Lee S. B., Jung D. Y., Kim D. G. (2008), The Effects of a School Zone Improvement Project on Crash Reduction Regarding Land Use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Transp., 26(3),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09-117. 

  24. Lord D. (2000), The Prediction of Accidents on Digital Networks: Characteristics and Issues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Accident Prediction Models, Ph.D Dissertation,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25. Lord D., Persaud B. (2004), Estimating the Safety Performance of Urban Road Transportation Network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6, 609-620. 

  26. Lovell J., Hauer E. (1986), The Safety Effect of Conversion to All-Way Stop Control,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068, 103-107. 

  27. Mun S. R. (2011), Development of a Traffic Accident Casualty Prediction Model on Freeway,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8. Mun S. R. (2012), Evaluation of Road Safety Audit on existing Freeway by Empirical Bayes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14(2), 117-129. 

  29. Oh H. U., Chang J. H. (2007), Probable Effect of Rumble Strips on Reduction of Traffic Acci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9(4), 65-74. 

  30. Parajuli B., et al. (2006), Safety Performance Assessment of Interchanges, Ramps, and Ramp Terminals, Annual Conference of the Transportation Association of Canada. 

  31. Park B. H., Jung Y. I., Kim K. H. (2012), Traffic Accident Reduction Effects of the All-Red Clearance Interval (ARCI) Operation, J. Korean Soc. Transp., 30(2),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1-27. 

  32. Park K. Y., Kim T. H., Kim S. W., Lee S. B. (2006),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Road Safety Features by Spatial Scope of Safety Improvement Project, J. Korean Soc. Transp., 24(4),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31-42. 

  33. Park M. H., Park K. Y, Chang I. J., Lee S. B. (2006), Accident Conversion Effect Analysis of Installing Median Barriers, J. Korean Soc. Transp., 24(2),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13-124. 

  34. Patel R., Council F., Griffith M. (2007), Estimating Safety Benefits of Shoulder Rumble Strips on Two-Lane Rural Highways in Minnesota,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2019, 205-211. 

  35. Persaud B. et al. (2001), Observational Before-After Study of the Safety Effect of U.S. Roundabout Conversions Using the Empirical Bayes Method,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751, 1-8. 

  36. Persaud B. et al. (2003), Development of a Procedure for Estimating Expected Safety Effects of a Contemplated Traffic Signal Install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840, 96-103. 

  37. Persaud B. et al. (2004a), Safety Evaluation of Permanent Raised Snow- Plowable Pavement Marker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897, 148-155. 

  38. Persaud B., Retting R., Lyon C. (2004b), Crash reduction following installation of centerline rumble strips on rural two-lane road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6, 1073-1079. 

  39. SAS 9.2 GENMOD Procedure Manual. 

  40. Sayed T., El-Basyouny K. (2006), Safety Evaluation of Stop Sign In-Fill Program,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953, 201-210. 

  41. Sharma S. L., Datta T. K. (2007), Investigation of Regression-to-Mean Effect in Traffic Safety Evaluation Methodologie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2019, 32-39. 

  42. Shen J., Gan A. (2003), Development of Crash Reduction Factors-Methods, Problems, and Research Need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840, 50-56. 

  43. Washington S. P., Mannering F. L. (2003), Statistical and Econometric Methods for Transportation Data Analysis, Chapman & Hall/CRC. 

  44. Yuan F. et al. (2001), Safety Benefits of Intersection Approach Realignment on Rural Two-Lane Highway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758, 21-29. 

  45. Yun I. S. et al. (2011), Study of the Effect of the Point-to-Point Speed Enforcement System Using a Comparison-Group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13(4), 177-1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