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교그룹방법을 이용한 교통안전 시설물 설치 효과 분석
Analysis of Effects from Traffic Safety Improvement on Roadways using C-G Method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29 no.3, 2011년, pp.31 - 40  

이동민 (한국교통연구원) ,  김도훈 (한국교통연구원) ,  송기섭 (행복중심복합도시건설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통사고는 도로기하구조, 교통환경, 운전자 요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된다. 이러한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다양한 교통안전 시설물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교통사고는 한 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되기 보다는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서 발생되기 때문에, 교통안전시설의 효과는 단순한 개선효과로는 설명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교통안전 개선효과 분석방법론을 적용하여 각 분석방법론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도로구간에서 개별 및 복합적으로 설치된 교통안전 시설물에 대한 효과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도로구간의 교통안전시설물 개선 효과분석을 위해서 다양한 시설물의 설치 이력 및 해당지점에서의 전 후 3년간의 사고이력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도로의 기능 및 주행조건을 반영하기 위해서 차로수, 곡선반경, 종단경사를 기준으로 도로구간을 총 8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사고건수 비교방법, 한쌍비교방법 및 비교그룹 방법을 동일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비교그룹방법이 상대적으로 효과적인 효과분석 방법론으로 결론짓고, 최종적으로 비교그룹 분석 결과에 따라 미끄럼방지시설, 부가차로설치, 중앙분리대설치 등의 개별 시설물과 복합적으로 설치된 시설물에 따른 교통안전 개선효과를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nerally, inappropriate driving conditions including geometric, traffic environmental, and driver psychological problems may be critical reasons of traffic accidents. Under this circumstance, various types of facilities have been installed to improve traffic safety by itself or as a set consist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범위는 전북지역의 왕복 2차로와 다차로 도로구간이며, 사고 이력자료는 2003년~2008년의 경찰청 사고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다양한 효과분석 방법론에 대해서 검토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최적의 효과분석 방법론을 선정한 후, 선정된 최적방법을 적용하여 교통안전개선사업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분석을 위해 차로수, 곡선반경, 종단경사에 따라 그 유형을 분류하여 동일한 개선사업이라도 각각의 유형에 따라 어떠한 사고감소 효과가 발생되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 기존의 단순사고건수법이 갖는 문제점 중에 하나는 개선사업 전과 후의 1년간 사고건수만을 비교하여 개선사업 효과도가 과대 또는 과소 추정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선사업 전과 후의 3년간의 평균 교통사고 건수를 이용하여 기존의 문제점을 다소 보완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교통안전개선사업효과를 시행 전·후 1년간의 교통사고 만으로 분석하는 것은 개선효과를 과대 혹은 과소평가할 수 있으며, 개선사업의 직접적인 영향에 의한 효과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변여건 변화에 의한 사고건수 변화를 고려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년간의 사고자료를 수집하였고, 다양한 효과분석 방법들을 적용해 봄으로써 각 방법들의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도로구간에서 교통안전 시설물의 개선 효과를 합리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방법론을 선정한다.
  • 이에 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존연구에서 효과분석을 위해 사용된 다양한 방법들을 본 연구에서 직접 적용해 봄으로써, 각 방법의 효용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개별 시설물에 대한 효과분석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교통안전 시설물들이 조합되어 추진된 교통안전개선사업까지도 분석함으로써 결과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효과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 분석결과를 토대로 도로구간에서 교통안전 시설물의 개선 효과를 합리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방법론을 선정한다. 또한 선정된 최적의 효과분석 방법론을 적용하여 교통안전시설물이 교통사고 감소에 정량적으로 얼마만큼의 개선효과가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지방부 도로구간에 설치된 교통안전시설물개선사업에 대한 효과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연구범위는 전북지역의 왕복 2차로와 다차로 도로구간이며, 사고 이력자료는 2003년~2008년의 경찰청 사고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 비교그룹방법은 여러 지점을 비교대상으로 선택하여 교통사고 개선대책의 효과를 비교·평가하는 방법이다. 비교그룹방법의 목적은 평가하고자 하는 사업효과이외에 다른 주변요인들에 의해서 사고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를 고려하여 대상 사업의 효과만을 분석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러한 비교그룹을 통한 분석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비교그룹방법은 교통사고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도로의 안전도 평가의 왜곡 현상은 교통특성 및 도로의 구조가 비슷한 지점(Comparison group)의 교통사고 현황을 이용하여 극복될 수 있다. 이는 개선사업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 발생 가능한 사고건수를 추정하여 개선사업 후에 발생한 실제 사고건수와 비교함으로써 개선사업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앞에서 다양한 개선효과 분석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비교그룹분석방법론이 타 분석 방법들에 비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된다.
  • 하지만 교통안전시설물 설치는 다양한 교통 안전향상 방안이 같이 설치되는 사례가 많아 분석 자체가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존연구에서 효과분석을 위해 사용된 다양한 방법들을 본 연구에서 직접 적용해 봄으로써, 각 방법의 효용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개별 시설물에 대한 효과분석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교통안전 시설물들이 조합되어 추진된 교통안전개선사업까지도 분석함으로써 결과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효과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 다양한 효과분석 방법론에 대해서 검토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최적의 효과분석 방법론을 선정한 후, 선정된 최적방법을 적용하여 교통안전개선사업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분석을 위해 차로수, 곡선반경, 종단경사에 따라 그 유형을 분류하여 동일한 개선사업이라도 각각의 유형에 따라 어떠한 사고감소 효과가 발생되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순사고건수 비교방법이란? 단순사고건수 비교방법은 개선효과를 분석 대상 구간의 사업 전과 후의 사고건수만을 단순비교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현재 도로교통공단에서 「교통사고잦은곳 개선사업」 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단순사고건수 비교방법은 현재 어느 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가? 단순사고건수 비교방법은 개선효과를 분석 대상 구간의 사업 전과 후의 사고건수만을 단순비교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현재 도로교통공단에서 「교통사고잦은곳 개선사업」 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다양한 요인들이 고려되지 않고 단순히 개선사업 전과 사업 후의 사고건수만을 비교하여 효과분석을 수행하여 그 방법론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교통사고의 발생원인은? 교통사고는 도로의 기하구조, 교통환경, 교통운영 등에 의해서 발생되기도 하지만 운전자 측면의 요인들에 의해서 발생되는 경우가 더 많다. 특히 운전자의 부주의 및 운전미숙 등에 의한 교통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해 그루빙, 럼블스트립 등의 미끄럼방지시설, 시선유도시설, 버스 정차대 위치 변경, 길어깨 개선 등 다양한 교통안전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 잦은 곳 기본개선 계획 및 효과분석". 

  2.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2004), "도로안전시설물의 사고감소 효과도 분석". 

  3. 정도영(2008), "어린이보호구역 설치에 따른 교통사고 감소효과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정국영(2008), "노면요철포장 설치에 따른 사고전환 효과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이동민?강재홍?성낙문?정봉조(2007), "C-G Method를 이용한 고속도로 노면요철 포장의 교통사고감소 효과분석", 한국도로학회지, 제9권 제2호, 한국도로학회, pp.77-87. 

  6. 박민호?박규영?장일준?이수범(2006), "중앙분리대 설치에 따른 사고전환효과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4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113-124. 

  7. 김경석?강승림(2003), "중앙분리대의 사고감소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1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45-60. 

  8. 이수범?박규영(2000), "도로안전시설의 교통사고 감소효과 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0권 제2-D호, 대한토목학회, pp.139-147. 

  9. Persaud(2004), "Crash Reduction Following Installation of Centerline Rumble Strips on Rural Two-Lane Road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36, pp.1073-1079. 

  10. Hauer, E., et.al.(2002), "The Empirical Bayes Method for Estimating Safety: A Tutorial", TRR 1784, Washington D.C. 

  11. Griffin, L.I, R.j. Flowers.(1997), "A Discussion of Six Procedures for Evaluating Highway Safety Projects", FHWA, December 1997. 

  12. Elvik, R.(1997), "Evaluations of Road Accident Blackspot Treatment: A Case of the Iron Law of Evaluation Studi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29, No.2, pp.191-199. 

  13. Hauer, E. (1997), "Observation before-after Studies in Road Safety", Pergamon/Elsevier Science Inc., Tarytown, New 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