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장비 안전사고 저감을 위한 위험성평가
Risk Assessment for Reducing Safety Accidents caused by Construction Machinery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28 no.6, 2013년, pp.64 - 72  

전현우 (인천대학교 도시건축학부) ,  정인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이찬식 (인천대학교 도시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truction machinery has been utilized to carry out construction works effectively. Using construction machinery enables a builder to reduce the time and the cost needed for the construction, but the fatal accident caused by it has been increased.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risk magnitud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산업재해 중 건설장비를 대상으로 최근 5년간(2007년~2011년) 발생된 중대재해사례 중 사망재해를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건설장비별 재해 발생 가능성과 심각성을 규명하기 위해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에 따른 위험도를 산정, 결정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에서는 건설장비로 인한 재해를 줄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재해사례 조사와 위험성 평가를 통해 건설장비별 작업에 따른 각각의 위험성 등급을 평가하여 안전한 건설장비 운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산업재해 중 건설장비를 대상으로 최근 5년간(2007년~2011년) 발생된 중대재해사례 중 사망재해를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건설장비별 재해 발생 가능성과 심각성을 규명하기 위해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에 따른 위험도를 산정, 결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굴삭기란 무엇인가? 국토교통부의 건설기계관리법 시행령은 굴삭기는 무한 궤도 또는 타이어식으로 굴삭장치를 가진 자체 중량 1톤 이상의 것을 일컫는다.
건설업에서 건설장비에 대한 안전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36%)이 각종 건설장비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현장은 높은 곳에서 작업이 많이 이루어지고 각종 건설장비를 사용함으로써 수많은 재해발생요인이 잠재되어 있으며, 재해가 일단 발생하면 중대재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서 건설장비에 대한 철저한 안전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건설장비의 증가로 인해 나타난 장단점은? 최근 건설 산업은 기술 및 공법의 눈부신 발달로 고층화 · 대형화 추세가 강하며, 효율적인 사업관리를 위해서 대형 건설장비를 이용한 작업이 증가하고 있다. 건설장비의 증가로 생산성 향상, 공기단축, 원가절감 등의 효과를 가져왔지만 근로자가 불안전한 상태에 노출은 심해지고 있으며, 사고사례도 많아지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J. M. Seo and S. K. Kim, "The Study on Measures for Reducing Safety Accidents of Excavato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 8, No. 3, pp.127-133, 2008. 

  2. D. Y. Kim, "A Fundamental Study on Safety Management for High-rise Building Tower Crane Operator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8, No. 2, pp.59-66, 2013. 

  3. H. Y. Kwak, "A Study on the Mobile Crane a Accident Case through the Analysis of Safety Measures", Department of Industrial and Management Engineering,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2013. 

  4. T. K. Kim, "A Study on the Risk Assessment of Lifting Equipments using in the High-rise Building Constriction Work", Department of Industrial and Management Engineering,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3. 

  5. Y. S. Lee, Y. T. Gang, J. S. Kim and C. E. Kim, "The Study on the Accidents analysis and preventive Measures form a excavator",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 12, No. 3, pp.81-91, 2010. 

  6. Y. K. Park, "A Study on the Analysis and Prevention of Industrial Accident for Forklift",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2003. 

  7. K. S. Choi, H. K. Kim and Y. S. Kim, "A Study on the Practical use Status and Problem Analysis of Construction Lift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2, No. 2, pp.479-482, 2002. 

  8. V. W. Y. Tam and I.W. H. Fung, "Tower Crane Safet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 A Hong Kong Study", Journal of Safety Science Vol. 49, Science Direct, pp. 208-215, 2011. 

  9. A. Shapira, Gunnar Lucko and Clifford J. Schexnayder, "Cranes for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31, No. 6, ASCE, pp. 690-700, 2007. 

  10. M. A. Hussein, S. Alkass and O. Moselhi, "Optimization Algorithm for Selection and Site Location of Mobile Crane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31, No. 5, ASCE, pp. 579-590, 2005. 

  11. S. Tamate, N. Suemasa and T. Katada "Analyse of Instability in Mobile Cranes due to Ground Penetration by Outrigger",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31, No. 6, ASCE, pp. 689-704, 2005. 

  12. H. H. Kim and G. Lee, "An Analysis of the Accident Types and Causes of Construction Cran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 7, No. 1, pp.109-112, 2007. 

  13. H. S. Kim, H. S. Lee and M. S. Park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ethodology for Construction Sit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pp.463-466, 2008. 

  14. Department of Defense "System Safety Program Requirements MIL-STD-882B", 19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