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효모변이주 Saccharomyces cerevisiae Sa59에 의한 glutathione 생성
Production of Glutathione by the Yeast Mutant Saccharomyces cerevisiae Sa59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5 no.6, 2013년, pp.801 - 804  

장혜윤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오철환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오남순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Glutathione 생성능이 우수한 효모균주의 획득을 목적으로 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를 변이처리 하였다. 선발된 변이주들의 전체적인 glutathione 함유량은 6.1-15.8 mg/g이었으며, glutathione 함유량과 항산화활성은 비교적 양호한 양의 상관관계($R^2$=0.488)를 보였다. 특히, 변이주 S. cerevisiae Sa59의 glutathione 함유량이 wild type에 비해 약 38% 증가되었으며, 환원력 또한 0.40으로 가장 높아 glutathione 생성을 위한 변이주로 선발하였다. 배양방법에 따른 gluthathione의 부피당 생산성은 진탕배양이 정치배양에 비해 약 70% 증가하였으며, 단위균체량당 glutathione 함유량 또한 진탕배양 했을 때 약 19% 증가하였다. Glucose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건조균체량과 발효에 의한 에탄올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glutathione 함유량과 환원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Glutamate, cysteine 및 glycine을 각각 0.04% 첨가하였을 때 단위부피 및 단위균체량당 glutathione 함유량이 각각 16%, 66% 증가하였으며, 환원력 또한 0.52로 가장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lutathione contents of the selected mutants were investigated and found to be 6.1-15.8 mg/g-DCW. The glutathione content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mutant strains ($R^2$=0.488). Furthermore, the glutathione content of the mutant S. cerevisiae Sa-59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Glutathione 생성능이 우수한 효모균주의 획득을 목적으로 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를 변이처리 하였다. 선발된 변이주들의 전체적인 glutathione 함유량은 6.
  • 이러한 식품소재로의 활용 연구로 말미암아 glutathione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기능성 물질인 glutathione이 다량 함유된 S. cerevisiae를 획득하여 식품발효에 이용하거나, 배양효모를 직접 식품소재에 활용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Glutathione 축적능이 우수한효모균주 획득을 목적으로 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생물 발효법이란 어떤 방법인가? Glutathione의 주요 기능은 생체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의 제거와 항산화작용으로(3-5), Saccharomyces cerevisiae, Candida utilis 등의 효모에서 생성되며, 유산균,세균, 방선균에서도 생성된다고 보고되었다(6-9). Glutathione 생산에 관한 연구는 미생물 발효법과 효소적 방법이 있는데, 발효법은 주로 효모배양으로 glutathione을 균체내에 집적시키는 방법으로, 세포질에서 γ-glutamylcystein synthetase, glutathione 합성효소에 의한 2단계 효소반응에 의해 생합성된다(10). ATP 재생계를 이용한 효소적 방법으로 glutathione 생산법이 확립되었으며(11,12),재조합 대장균을 이용한 glutathione의 생산(13), glutathione의 추출 및 정제에 관한 연구(14) 등이 수행된 바 있다.
GSH의 주요 기능은 무엇이 있는가? Glutathione (GSH)은 glutamate, cysteine, glycine 등 세 개의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비단백성 thiol 화합물인 tripeptide (γ-Lglutamyl-L-cysteinyl-glycine) 물질로 환원형(GSH) 또는 산화형인G-S-S-G 형태로 존재한다(1,2). Glutathione의 주요 기능은 생체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의 제거와 항산화작용으로(3-5), Saccharomyces cerevisiae, Candida utilis 등의 효모에서 생성되며, 유산균,세균, 방선균에서도 생성된다고 보고되었다(6-9). Glutathione 생산에 관한 연구는 미생물 발효법과 효소적 방법이 있는데, 발효법은 주로 효모배양으로 glutathione을 균체내에 집적시키는 방법으로, 세포질에서 γ-glutamylcystein synthetase, glutathione 합성효소에 의한 2단계 효소반응에 의해 생합성된다(10).
Glutathione은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가? Glutathione (GSH)은 glutamate, cysteine, glycine 등 세 개의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비단백성 thiol 화합물인 tripeptide (γ-Lglutamyl-L-cysteinyl-glycine) 물질로 환원형(GSH) 또는 산화형인G-S-S-G 형태로 존재한다(1,2). Glutathione의 주요 기능은 생체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의 제거와 항산화작용으로(3-5), Saccharomyces cerevisiae, Candida utilis 등의 효모에서 생성되며, 유산균,세균, 방선균에서도 생성된다고 보고되었다(6-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opkins FG. On glutathione: A reinvestigation. J. Biol. Chem. 84: 269-320 (1929) 

  2. Tietze F. Enzymic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nanogram amounts of total and oxidized glutathione: Applications to mammalian blood and other tissues. Anal. Biochem. 27: 502-522 (1969) 

  3. Grant CM, Maclver FH, Dawes IW. Glutathione is an essential metabolite required for resistance to oxidative stress in the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Curr. Genet. 29: 511-515 (1996) 

  4. Cha JY, Kim HS, Kang SC, Cho YS. Alcoholic hepatotoxicity suppression in alcohol fed rats by glutathione-enriched yeast FF-8 strain. Food Sci. Biotechnol. 18: 1411-1416 (2009) 

  5. Penninckx M. A short review on the role of glutathione in the response of yeast to nutritional, environmental, and oxidative stresses. Enzyme Microb. Tech. 26: 737-742 (2000) 

  6. Li Y, Wei G, Chen J. Glutathione: a review on biotechnological production. Appl. Microbiol. Biot. 66: 233-242 (2004) 

  7. Fernandes L, Steele JL. Glutathione content of lactic acid bacteria. J. Dairy Sci. 76: 1233-1242 (1993) 

  8. Fahey RC, Brown WC, Adams WB, Worsham MB. Occurrence of glutathione in bacteria. J. Bacteriol. 133: 1126-1129 (1978) 

  9. Johnson T, Newton GL, Fahey RC, Rawat M. Unusual production of glutathione in actinobacteria. Arch. Microbiol. 191: 89-93 (2009) 

  10. Suzuki T, Yokoyama A, Tsuji T, Ikeshima E, Nakashima K, Ikushima S, Kobayashi C, Yoshida S.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enes involved in glutathione production in yeast. J. Biosci. Bioeng. 112: 107-113 (2011) 

  11. Miwa N. Glutathione. JP Patent 51,144,789 (1976) 

  12. Miyamoto I, Miwa N. Production of glutathione by immobilized glutathione synthetase. JP Patent 52,051,089 (1977) 

  13. Gushima H, Miya T, Murata K, Kimura A. Construction of glutathione- producing strains of Escherichia coli B by recombinant DNA techniques. J. Appl. Biochem. 5: 43-52 (1983) 

  14. Kim SU, Yang CI, Min SH, Rhee SH, Kim YB. A study on the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glutathione from yeast. J. Korean Pharm. Sci. 8: 1-10 (1978) 

  15. Koh SY, Koo YM. In vitro production of glutathione using yeast ATP regeneration system and recombinant synthetic enzymes from Escherichia coli.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6: 213-220 (1998) 

  16. Bae IY, Koo SH, Yoo HJ, Kim JM, Bae HA, Jeon EJ, Oh E, Lee DH, Hur BS, Lee HG. Development of a flavor enriched yeast extract with a high glutathione cont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49-553 (2010) 

  17. Hamada S, Tanaka H, Sakato K. Process for producing glutathione. EP Patent 0079241 A2 (1982) 

  18. Owens CWI, Belcher RV. A colorimetric micro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glutathione. Biochem. J. 94: 705-711 (1965) 

  19. Oyaizu M.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y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Jpn. J. Nutr. 44: 307-315 (1986) 

  20. Lee CH, Cha JY, Jun BS, Lee HJ, Lee YC, Choi YL, Cho YS.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glutathione enriched extract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FF-8 in vitro model system. J. Life Sci. 15: 819-825 (2005) 

  21. Park JC, Ok M, Cha JY, Cho Y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high glutathione producing Saccharomyecs cerevisiae FF-8 from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and optimal producing condition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348-352 (2003) 

  22. Cho WD, Kim HI, Song JC, Yang HC.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glutathione by microorganism. Korean J. Appl. Microbiol. Bioeng. 6: 75-80 (19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