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방방재청과 병원 근무 응급구조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
Work Stress and Satisfaction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orking in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nd Hospital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2 no.4, 2013년, pp.295 - 304  

조현태 (김해대학교 응급구조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dentify work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EMT) an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mergency care under the current emergency medical law.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from the total 849 EMTs (635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및 만족도 도구를 이용하여 응급구조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소방방재청과 병원센터의 근무 기관별로 이들을 비교 평가하여 근무기관별 차이와 장단점을 파악함으로써 보다 나은 근무환경 조성과 개선, 나아가 응급케어의 질 향상에 일조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소방방재청과 병원에 근무하는 응급구조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를 비교분석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응급구조사들의 업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를 파악하여 현행 응급의료 관련법령 하에서 보다 나은 근무환경 조성과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및 만족도 도구를 이용하여 응급구조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소방방재청과 병원센터의 근무 기관별로 이들을 비교 평가하여 근무기관별 차이와 장단점을 파악함으로써 보다 나은 근무환경 조성과 개선, 나아가 응급케어의 질 향상에 일조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소방방재청과 병원에 근무하는 응급구조사의 근무환경과 업무가 다르기 때문에 그들이 받는 업무 스트레스와 직장에서 느끼는 직무 만족도도 다르므로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직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이들에 관한 비교 연구 또한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전국의 소방방재청과 병원센터에 근무하는 응급구조사를 대상으로 업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를 파악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구조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의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소방방재청에 근무하는 응급구조사들은 현장 출동 때 긴급한 현장상황이나 위험한 장비를 다룰 때 또는 현장에서의 비협조적인 주민들의 태도로 인해 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병원에 근무하는 응급구조사들의 경우, 짧은 시간에 많은 환자를 케어 해야 하고, 가족이나 상사, 동료와의 부적절한 대우나 관계, 처우 문제로 인해 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직무 만족도도 낮은 것으로 보인다(Jung, 2007). 이에 응급구조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의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직무 만족도와 이직률의 상관성은? 직무 만족도는 업무에 대한 태도의 하나로 한 개인의 업무나 업무경험 평가 시에 발생하는 유쾌하고 긍정적인 정서 상태이다(Choi, Lee, & Jung, 2009). 더 나아가 직무 만족도가 높으면 이직률도 낮다(Bae, 2010).
직무 만족도란? 직무 만족도는 업무에 대한 태도의 하나로 한 개인의 업무나 업무경험 평가 시에 발생하는 유쾌하고 긍정적인 정서 상태이다(Choi, Lee, & Jung, 2009). 더 나아가 직무 만족도가 높으면 이직률도 낮다(Bae,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G. S. (2010). Relation of job satisfaction and change of occupation intention of 119 rescue member of first-aid. The Korea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14 (1), 65-80. 

  2. Boudreaux, E., Mandry, C., & Brantley, P J. (1997). Stress, job satisfaction, coping,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Prehosp Disaster Med, 12 (4), 242-249. 

  3. Cavanagh, S. J. (1992). Job satisfaction of nursing staff working in hospital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7, 704-711. 

  4. Choi, E. S., Lee, I. S., & Jung, W. T. (2009). Th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f a fire fighter public official. The Korea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13 (3), 107-120. 

  5. Choi, H. J., Park, J. M., & Seo, S. R. (2009). A degree of secondary external wound and related factors of EMT. The Korea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13 (2), 5-15. 

  6. Hwang, H. J., Kim, J. S., & Jung, J. Y. (2004). A study of job satisfaction and construction absorption. The Korea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8 (1), 5-18. 

  7. Jo, H., Kang, Y. S., Lee, O. C., Jun, S. J., Lee, S. H., & Yoon, J. G. (1999). A study of stress and mental health of a fire fighter. A collection of thesis of Red Cross College of Nursing, 23, 113-125. 

  8. Jonsson, A., Segesten, K., & Mattsson, B. (2003). Post-traumatic stress among Swedish ambulance personnel. Emergency Medicine Journal , 20 (1), 79-84. 

  9. Jung, J. Y. (2002). A relation study of stress and management method of EM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10. Jung, J. H. (2007). A study about medical institution job satisfaction of EM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11. Kim, M. R. (2000). Our country pre step emergent medical syst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 University, Gyeongsan. 

  12. Kim, J. G., Ko, J. M., Kim, G. W., & Jung, Y. T. (2007). A study about solving problem method to promote life quality as job analysis of EMT. The Korea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11 (1), 73-80. 

  13. Lee, G. O., & Jung, J. Y. (2001). A relation study of stress and health of EMT. The Korea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5 (3), 23-35. 

  14. Lee, O. H. (2011). Job and job satisfaction of the first class EMT in university hospital emergency room. The Korea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15 (1), 47-63. 

  15. Lim, G. S., Hwang, S. O., & An, H. Y. (1997). EMT and emergent treatment. Seoul: Gunja Publishing Company. 

  16. Neal, A. V. (1991). Work stress i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33 (9), 991-997. 

  17. Okada, N., Ishii, N., Nakata, M., & Nakayama, S. (2005). Occupational stress among Japanes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Hyogo Prefecture. Prehospital and Disaster Medicine, 20 (2), 115-121. 

  18. Park, G. Y. (1994). A study about nursing productiv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 (4), 584-594. 

  19. Park, D. S., & Park, S. S. (2008). An effect on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by job stress. The Korea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12 (3), 71-86. 

  20. Park, S. S., Park, J. S., & Park, D. S. (2009). An effect on construction absorption of job satisfaction of internal EMT. The Korea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13 (2), 99-108. 

  21. Patterson, P. D., Moore, C. G., Sanddal, N. D., Wingrove, G., & LaCroix, B. (2009). Characterizing job satisfaction and intent to leave among nationally registered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n analysis of the 2005 LEADS survey. Journal of Allied Health, 38 (3), 84-91. 

  22. Ploeg, E. V. (2003). Acute and chronic job stressors among ambulance personnel: Predictors of health symptom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0 (Suppl 1), 40-46. 

  23. Revicki, D. A., Whitely, T. W., Landis, S. S., & Allison, E. J. (1988).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in rural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The Journal of Rural Health, 4 (2), 73-83. 

  24. Sebolt, J. W. (1986). Dealing with Premature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16 (2), 6-32. 

  25. Slavitt, D. B., Stamps, P. L., Piedmont, E. B., & Haase, A. M. (1978). Nurse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situation. Nursing Research, 27 (2), 207-219. 

  26. Smith, A., & Roberts, K. (2003). Interventions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emergency ambulance personnel: a review of the literature. Emergency Medicine Journal, 20, 75-78. 

  27. Son, I. A. (2005). A study of job analysis of the first class EMT. The Korea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9 (1), 43-53. 

  28. Tom, S., Erlend, H., Oivind, E., & Bjem, L. (2006). Occupational stressors and its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correlates: A nationwide study of Norwegian ambulance personnel. BMC Emergency Medicine, 8 (1), 12-18. 

  29. Tongese, M. C., Rothstein, H., & Carter, H. K. (1998). Sources of satisfaction in hospital nursing, practice - A guide to effective job design.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8 (5), 47-61. 

  30. Yoon, J. G. (2001). A study of an external wound stress of a fire figh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