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응급구조사의 수면상태와 직무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Job Stress and State of Sleep on the Depression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2 no.3, 2013년, pp.191 - 197  

이춘이 (춘해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변은경 (경남정보대학교 간호과) ,  김남희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job stress, state of sleep, and depression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Methods: The research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Data collection were done using self-re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응급구조사를 대상으로 수면상태와 직무 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응급구조사의 수면상태,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의 상관관계와 수면상태와 직무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직무 스트레스를 줄이고 우울을 예방하는 중재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일부 지역의 응급구조사를 대상으로 하여 응급구조사 전체에 대하여 확대해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구조사를 대상으로 수면상태, 직무 스트레스 및 우울의 정도와 수면상태와 직무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우울을 예방하고 중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응급구조사를 대상으로 수면상태와 직무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응급구조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우울을 예방할 수 있는 간호중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상황 발생시 응급처치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게 된 배경은? 현대 사회는 사건사고, 재난재해, 약물의 오남용, 인구의 노령화, 만성질병 증가 등 응급 환자가 증가하고 있고, 뇌혈관 질환과 심장질환이 증가하고 있어, 응급상황 발생시 응급처치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Bae et al., 2011).
응급구조사는 무엇을 담당하는가? 응급 환자 발생시 신속한 치료나 환자이송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응급구조사나 응급의학과 의사를 비롯한 전문가에 의해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응급처치가 이루어질 경우 생존율이 높아지고, 늦어지면 늦어질수록 사망률이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응급의료전달체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응급구조사는 병원 전단계에서 응급처치를 담당하고 있는데 응급 환자를 이송하는 업무, 응급 환자에 대한 상담, 구조 및 병원 응급의료센터를 중심으로 응급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Kim & Kim, 2011).
응급구조사와 직무 스트레스는 무엇과 관련이 있는가? 실제로 응급구조사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 항상, 구급, 구조상황에 대비하여 긴장하고 생명을 무릅쓰고 활동함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적 불안을 경험하였다 (Smith & Roberts, 2003). 이러한 스트레스는 24시간 출동대기라는 항상 긴장된 상황으로 인해 응급구조사의 수면문제와 관련이 있었다(Studnek & Fernandez, 2008). 또한 미국의 응급구조사를 대상으로 한 수면장애에 대한 연구에서 수면 장애 호소와 주간의 졸음평가(Epworth Sleeping Scale)를 측정한 결과 응급구조사가 한 가지 이상의 수면문제를 가지고 있고, 현장직과 비현장직을 비교했을 때 현장직의 수면장애 이환율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Pirrallo, Loomis, Levine, & Woodson, 2012), 호주의 응급구조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주간의 졸음평가, 피츠버그 수면의 질(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Beck 우울척도(Beck Depression Scale)를 측정한 결과 위험도의 수면점수를 보였으며, 27%가 경한 우울, 10%가 중정도의 우울을 나타냈다(Archer, Williams, Sofianopoulos, & Thompson,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rcher, F., Williams, B., Sofianopoulos, S., & Thompson, B. (2011). The exploration of physical fatigue, sleep and depression in paramedics: A pilot study. Journal of Emergency Primary Health Care, 9 (1), 1-33. 

  2. Bae, G. S., Go, B. Y., Lee, J. E., Lee, I. M., Choi, G. Y., & Kim, S. T. (2011). Task analysis of paramedics of Korea based on DACUM method.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15 (1), 5-23. 

  3. Bae, R. W. (2008). A correlation study on job stress, depression and sleep of 119 emergency dispatchcenter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han University, Yeongam. 

  4. Beck, A. T. (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arper & Row. 

  5. Choi, H. A., Lee, D. S., & Kim, Y. J. (2011). Analysis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Korean female adults-by using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 (2), 709-720. 

  6. Choi, H. J., Park, J. M., & Suh, S. R. (2009). Secondary traumatic stress(STS) and related factors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5 (3), 23-35. 

  7. Cooper, C., & Davidson, M. (1982). The higher cost of stress on women managers, Organizational Dynamics, 10 (4), 44-53. 

  8. Jo, H. T. (2012). Job stress and satisfaction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orking in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nd hospita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Busan. 

  9. Kim, H. S., Choi, K. S., Eom, M. R., & Joo, E. J. (2011). Role of circadian types and depressive mood on sleep quality of shift work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22 (2), 96-104. 

  10. Kim, J. H., & Park, E. O. (2012). The effect of job-stress and self-efficacy on depression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1 (2), 134-144. 

  11. Kim, M. S. (2009). A path model for personality type,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119 rescue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0 (1), 169-181. 

  12. Kim, M. S., & Kim, N. H. (2011). Impact of self-esteem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5 (2), 147-155. 

  13. Kim, Y. G., Yoon, D. Y., Kim, J. I. Chae, C. H., Hong, Y. S., Yang, C. G., et al. (2002). Effects of health on shift-work-general and psychological health, sleep stress, quality of life.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4 (3), 247-256. 

  14. Lee, D. H., Jeon, H. J., Shin, D. H., Chung, I. S., & Lee, M. Y. (2009).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in firefighters.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1 (4), 324-336. 

  15. Lee, M. O., Ryu, S. Y., Byun, I. G., & Park, J. H. (200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on in some clinical nurses.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29 (2), 26-37. 

  16. Lee, K. O., & Chong, J. Y. (2002).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and coping methods of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1 (2), 182-191. 

  17. Lee, K. S., Lee, D. B., Kwon, I. S., & Cho, Y. C. (2011). Depressive symptoms and their association with sleep quality,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among small-scaled manufacturing male workers.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3 (2), 99-111. 

  18. Lee, O. H. (2011). The work and job satisfaction of paramedics in the emergency room of university hospital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15 (1), 47-63. 

  19. Lee, S. O., An, S. H., & Kim, M. O. (2005). A study on women's fatigue and sleeping disturb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11 (2), 163-168. 

  20. Lee, Y. H., & Song, J. Y. (1991).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BDI, SDS, MMPI-D sc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0 (1), 98-113. 

  21. Lim, E. J., Kim, S. E., & Noh, J. H. (2012). Type D personality,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f young adult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 (6), 3121-3133. 

  22. MeMoss, C., McGrail, M. Jr., Haus, E., Crain, A. L., & Asche, A. E. (2004). Health and performance factors in health care shift workers. Journal of Occupation & Environmental Medicine, 46 (12), 1278-1281. 

  23. Oh, J. J., Song, M. S., & Kim, S. M.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sleep scale A.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8 (3), 563-572. 

  24. Park, J. S., & Kim, M. S. (2012). Impact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personal traits on job related outcome variabl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6 (3), 1-11. 

  25. Pirrallo, R. G, Loomis, C.C., Levine, R., & Woodson, B. T. (2012). The prevalence of sleep problems i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Sleep and Breathing, 16 (1), 149-162. 

  26. Shin, D. M., Jang, M. S., Kang, B. R., Yoon, B. G., Tack, Y. J., & Lee, I. S. (2010). Comparison of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in Korean and Abroad.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14 (3), 95-105. 

  27. Smith, A., & Roberts, K. (2003). Interventions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emergency ambulance personnel: A review of the literature. Emergency Medicine Journal, 20, 75-78. 

  28. Son, Y. J., & Park, Y. R. (2011).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fatigue and depressio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by shift-work patterns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Biology Nursing Science, 13 (3), 229-237. 

  29. Studnek, J. R., & Fernandez, A. R. (2008). Characteristics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nvolved in ambulance crashes. Prehospital and Disaster Medicine, 23 (5), 432-437. 

  30. Snyder-Halpern, R., & Verran, J. A. (1987). Instrumentation to describe subjective sleep characteristics in healthy subject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0, 155-1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