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erpenoid 함유 식물 추출물의 첨가가 반추위 발효와 메탄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rpenoids-Rich Plant Extracts on Ruminal-fermentation and Methane Production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1 no.4, 2013년, pp.629 - 646  

황희순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하동욱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이수경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이일동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이신자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이성실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Terpenoid 함유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 및 메탄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반추위액은 티머시(timothy)와 농후사료를 6:4의 비율로 급여한 반추위 cannula가 시술된 한우 암소에서 채취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식물추출물은 박하(Mint), 소나무(Pine), 삼나무(Japan cedar), 초피나무(Sichuan pepper), 편백(Hinoki cypress) 그리고 해송(Japanese black pine)을 사용하였으며, 반추위액과 McDougall buffer를 1:2의 비율로 혼합한 배양액을 0.3g 티머시와 식물 추출물(기질의 5%)이 담긴 50ml serum bottle에 혐기상태로 15ml를 분주하였다. Serum bottle은 $39^{\circ}C$, 150rpm으로 3, 6, 9, 12, 24, 48 및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실험 결과 pH 값은 점점 감소하였으며, 전 배양시간에 걸쳐 대조구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건물 소화율은 배양 3시간대는 Mint 처리구만 유의적(p<0.05)으로 높았으나, 이후 24시간까지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성이 없었다. 총 가스발생량은 전 처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낮았으며,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배양 12시간대까지 감소하였으나, 그 이후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메탄 발생량의 경우 24시간대에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첨가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미생물 성장량은 첨가구에 따라 각각 다른 양상을 나타냈으나 24시간대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성장량이 감소하였다. 암모니아 측정량은 배양 12시간부터 첨가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72시간대는 감소하였다. acetic acid 및 propionic acid도 대조구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에 사용한 Terpenoid 함유 식물 추출물 6종 모두 소화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메탄저감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Mint 및 Pine 추출물은 총 VFA, acetic acid 및 propionic acid의 생성을 증가시켰으며 상기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반추위 발효성상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메탄 발생을 저감하는 식물 추출물로는 Mint 및 Pine이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terpenoids-rich plant extracts (TRPE) on the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production. The ruminal fluid was collected from a cannulated Hanwoo cow fed concentrate and timothy in the ratio of 6 to 4. The TRPE as Mint (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garwal 등(2009)의 연구에 따르면 in vitro 실험에서 peppermint oil이 VFA의 생성에 영향 없이 20% 정도의 메탄 생성을 저감한다고 보고하였으며, Patra 등(2006)은 methanol 및 ethanol을 이용하여 추출한 fennel seed 및 clove bud 추출물이 in vitro 상에서 메탄생성을 저해한다고 보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식물 추출물 은행의 분양목록에서 Terpenoid를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을 선택하여 반추위 내 메탄 발생 저감 및 반추위 발효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반추동물의 메탄저감 사료 첨가제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고 메탄 저감능력을 가진 국내 자생 식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Terpenoid 함유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 및 메탄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반추위액은 티머시(timothy)와 농후사료를 6:4의 비율로 급여한 반추위 cannula가 시술된 한우 암소에서 채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탄은 전체 지구 온난화에 어느정도 기여하고 있는가? 메탄은 주요 온실가스 중의 하나로써, 연간 5억 톤 이상이 대기로 방출되고 있으며 전체 지구 온난화에 15~17%정도 기여하고 있다(IPCC, 1992). 메탄은 전체 온실가스에서 이산화탄소보다 차지하는 비율이 낮지만 복사열의 흡수 능력이 21배 정도 높기 때문에(Tyler, 1991), 지구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GIR, 2005).
반추위 내의 메탄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방법 3가지는 무엇인가? 반추위 내의 메탄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수소의 생성을 줄이는 방법, 두 번째는 수소를 메탄 생성이 아닌 propionate의 생성을 증진시키는 등의 숙주동물에게 이로운 방향으로 소비하는 방법, 세 번째는 메탄 생성균 자체를 억제하는 방법이다(Joblin, 1999). 최근까지 반추위 내의 메탄 발생을 줄이기 위해 불포화 지방산(Zhang et al.
메탄은 연간 어느정도의 양이 대기로 방출되고 있는가? 메탄은 주요 온실가스 중의 하나로써, 연간 5억 톤 이상이 대기로 방출되고 있으며 전체 지구 온난화에 15~17%정도 기여하고 있다(IPCC, 1992). 메탄은 전체 온실가스에서 이산화탄소보다 차지하는 비율이 낮지만 복사열의 흡수 능력이 21배 정도 높기 때문에(Tyler, 1991), 지구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GIR,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Agarwal, N., C. Shekhar, R. Kumar, L. C. Chaudhary, and D. N. Kamra. 2009. Effect of peppermint (Mentha piperita) oil on in vitro methanogenesis and fermentation of feed with buffalo rumen liquor. Anim. Feed Sci. Technol. 148: 321-327. 

  2.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ition.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3. Argyle, J. L. and R. L. Baldwin. 1988. Modeling of rumen water kinetics and effects of rumen pH changes. J. Dairy Sci. 71: 1178-1188. 

  4. Bradford, M. 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8-254 

  5. Busquet, M., S. Calsamiglia, A. Ferret, M. D. Carro, and C. Kamel. 2005. Effect of garlic oil and four of its compounds on rumen microbial fermentation. J. Dairy Sci. 88: 4393-4404. 

  6. Calsamiglia, S., M. Busquet, P. W. Cardozo, L. Castillejos, and A. Ferret. 2007. Invited Review: Essential Oils as Modifiers of Rumen Microbial Fermentation. J. Dairy Sci. 90: 2580-2595. 

  7. Crane, A., W. O. Nelson, and R. E. Brown. 1957. Effects of D-limonene and $\alpha$ -D-pinene on in vitro carbohydrate dissimilation and methane formation by rumen bacteria. J. Dairy Sci. 40: 1317-1323. 

  8. Craig, W. J. 1999.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common herbs. Am. J. Clin. Nutr. 70(3): 491-499. 

  9. Chaney, A. L. and E. P. Marbach. 1962. Modified reagents for determination of urea and ammonia. Clin Chem. 8: 130. 

  10. Chaves, A. V., M. L. He, W. Z. Yang, A. N. Hristov, T. A. McAllister, and C. Benchaar. 2008. Effects of essential oils on proteolytic, deaminative and methanogenic activities of mixed ruminal bacteria. Can. J. Anim. Sci. 89: 97-104. 

  11. Davidson, P. M. and A. S. Naidu, 2000. Phyto-phenols. In Natural Food Antimicrobial Systems (Naidu, A. S. ed). CRC Press. pp. 265-293. 

  12. Dijkstra, J., H. D. Neal, C. St., D. E. Beever, and J. France. 1992. Simulation of nutrient digestion, absorption and outflow in the rumen: model description. J. Nutr. 122: 2239-2256. 

  13. Dorman, H. J. D. and S. G. Deans. 2000. Antimicrobial agents from plants: Antibacterial activity of plant volatile oils. J. Appl. Microbiol. 88: 308-316. 

  14. Duncan, D. B. 199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cs. 11: 1-6. 

  15. Gershenzon, J. and R. Croteau. 1991. Terpenoids. In Herbivores: Their Interactions with Secondary Plant Metabolites (Rosenthal, G. A. and Berenbaum, M. R., eds). Academic Press, pp. 165-219. 

  16. Greenhouse Gas Inventory and Research center of Korea. 2005. 

  17. Griffin, S. G., S. G. Wyllie, J. L. Markham, and D. N. Leach. 1999. The role of structure and molecular properties of terpenoids in determining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Flavour Fragr. J. 14: 322-332. 

  18. Ha, J. K., S. S. Lee, Y. S. Moon, and C. H. Kim. 2005. Ruminant nutrition and phys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p. 255. 

  19. Hart, K. J., D. R. Yanez-ruiz, S. M. Duval, N. R. McEwan, and C. J. Newbold. 2008. Plant extract to manipulate rumen fermentation. Anim. Feed Sci. Tech. 147: 8-35. 

  20. Hwang, H. S., J. U. Ok, S. J. Lee, G. M. Chu, K. H. Kim, Y. K. Oh, S. S. Lee, and S. S. Lee. 2012. Effects of Halogen compounds on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the Rumen and Methane Emissions. Kor. J. life sci. 22(9): 1187-1193. 

  21. IPCC. 1992.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1992. The supplementary report to the IPCC Scientific Assess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22.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7. IPCC Fourth Assessment Report. 

  23. Irmgard Immig. 1996. The rumen and Hindgut as source of ruminant methanogenesis. Enviromental Monitoring and Assessmant. 42: 57-72. 

  24. Joblin, K. N. 1999. Ruminal acetogens and their potential to lower ruminant methane emissions. Aust. J. Agric. Res. 50: 1307-1313. 

  25. Kamel, C., H. M. R. Greathead, M. L. Tejido, M. J. Ranilla, and M. D. Carro. 2008. Effects of allicin and diallyl disulfide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of a mixed diet. Anim. Feed Sci. Technol. 145(1): 351-363. 

  26. Kamra D. N., N. Agarwal, and L. C. Chaudhary. 2006. Inhibition of ruminal methanogenesis by tropical plants containing secondary compounds. Anim. Feed Sci. Technol. 145: 351-363. 

  27. Kim, H. J. and H. S. Chun. 1999. Biological Functions of Organosulfur Compounds in Allium Vegetabl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6): 1412-1423. 

  28. Kongmun, P., M. Wanapat, P. Pakdee, and C. Navanukraw. 2010. Effect of coconut oil and garlic powder on in vitro fermentation using gas production technique. Livest. Sci. 127: 38-44. 

  29. Lee, S. Y. and J. K. Ha. 2009. Mitigation strategies for enteric methane emission. Proceedings of 2009 Annual Congress of KSAST, KOREA. 1: 103-121. 

  30. McCullough, M. E. 1973. Optimum feeding of dairy animals for meat and milk. Univ. of Georgia, Athens. 

  31. Martin, S. A. 1998. Manipulation of ruminal fermentation with organic acids: a review. J. Anim. Sci. 76: 3123-3132. 

  32. McDougall, E. I. 1948. The composition and output of sheep's saliva. Biochem. J. 43: 99. 

  33. McIntosh, F. M., P. Williams, R. Losa, R. J. Wallace, D. A. Beever, and C. J. Newbold. 2003. Effects of essential oils on ruminal microorganisms and their protein metabolism. Appl. Environ. Microbiol. 69: 5011-5014. 

  34. Nugent, J. H. A. and J. L. Mangan. 1981. Characteristics of the rumen proteolysis of fraction I( 18S) leaf protein from lucern (Medicago sativa L.). Br. J. Nutr. 46: 39-58. 

  35. Patra, A. K., D. N. Kamra, and N. Agarwal. 2006. Effects of spices on rumen fermentation, methanogenesis and protozoa counts in in vitro gas production test. Int. Cong. Ser. 1293: 176-179. 

  36. Patra, A. K. and J. Saxena. 2009. Dietary phytochemicals as rumen modifiers: a review of the effects on microbial populations. Anton. van Leeuwen. 96: 363-375. 

  37. SAS., 1996. SAS User Guide. Release 6.12 Edition. SAS Inst. Inc. Cary NC. USA. 

  38. Sikkema, J., J. A. M. Bont, and B. Poolman. 1994. Interactions of cyclic hydrocarbons with biological membranes. J. Biol. Chem. 269: 8022-8028. 

  39. Soliva, C. R., S. Widmer, and M. Kreuzer. 2008. Ruminal fermentation of mixed diets supplemented with St. John's Wort (Hypericum perforatum) flowers and pine (Pinus mugo) oi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preparations. J. Anim. Feed Sci. 17: 352-362. 

  40. Son, J. O. and B. H. Hwang. 1990. Terpenoid Analysis of the Main Softwoods Essential Oil. J. Kor. For. En. 10(2): 84-96. 

  41. Song, H. P., S. L. Shim, I. S. Jung, D. H. Kim, and K. S. Kim. 2009. Analysis of volatile organosulfur compounds in korean allium species. Korean J. Food Preserv. 16(6): 929-937. 

  42. Theodorou, M. K., B. A. Williams, M. S. Dhanoa, A. B. McAllan, and J. France. 1994. A simple gas production method using a pressure transducer to determine the fermentation kinetics of ruminant feeds. Anim. Feed Sci. Technol. 48: 185-197. 

  43. Tyler S. C. 1991. The global methane budget. In Microbial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Greenhouse Gases: Methane, Nitrogen Oxides, and Halomethane (J. E. Rogers and W. B. Whitman, eds). American Society of Microbiology, pp. 7-38. 

  44. Ultee, A., E. P. Kets, and E. J. Smid. 1999. Mechanisms of action of carvacrol on the food-borne pathogen Bacillus cereus. Appl. Environ. Microbiol. 65: 4606-4610. 

  45. Wallace, J. R., N. R. McEwan, F. M. McIntosh, B. Trferedegne, and C. J. Newbold. 2002. Natural products as manipulators of rumen fermentation. Asian-Aust. J. Anim. Sci. 15(10):1371-1522. 

  46. Wenk, C. 2003. Herb and botanicals as feed additives in monogastric animals. Asian-Aust. J. Anim. Sci. 16: 282-289. 

  47. Yang, W. Z., C. Benchaar, B. N. Ametaj, A. V. Chaves, M. L. He, and T. A. McAllister. 2007. Effect of garlic and juniper berry essential oils on ruminal fermentation and on the site and extent of digestion in lactating cows. J. Dairy Sci. 90: 5671-5681. 

  48. Zhang, C. M., Y. Q. Guoa, Z. P. Yuan, Y. M. Wu, J. K. Wang, J. X. Liu, and W. Y Zhub. 2008. Effect of octadeca carbon fatty acids on microbial fermentation, methanogenesis and microbial flora in vitro. Anim. Feed Sci. Tech. 146: 259-2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