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가정 촉진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Facili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원문보기

디지털정책연구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11 no.12, 2013년, pp.229 - 236  

정세희 (동아대학교 경영학과) ,  손아진 (동아대학교 경영학과) ,  차윤석 (동아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일(work)-가정(family)은 대립적 관계가 아닌 서로 보완적 관계이며, 이들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조직 및 개인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일-가정 촉진(work-family facilitation)이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실증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스마트워킹시대 인사 관리자들에게 조직관리의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지역의 일반 기업체 근무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 후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연구결과 일-가정 촉진은 조직몰입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가정 촉진과 조직몰입 간의 조직지원인식조절효과지속적 몰입을 제외한 정서적 및 규범적 몰입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적으로는 조직지원인식이 구성원들의 지속적 몰입에 긍정적 관계가 있음을 확인 하였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일-가정 촉진과 정서적 및 규범적 몰입 간의 긍정적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추가 메커니즘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실무적으로는 일-가정 균형 뿐만 아니라 일-가정 촉진, 즉 일과 가정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조직 및 개인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직무설계시 직무 뿐만 아니라 개인의 가족 상황을 고려한 설계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fined that the construct of work-family is not the opposite meaning but the construct having positive synergy effects each other. For more meaningful implications to HR partitioner in the era of smart working,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the manufacturing companies in Kyungsangnamdo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가정 촉진(일-가정 촉진, 가정-일 촉진)은 직장과 가족의 역할이 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각각의 영역에서 보다 풍요로운 생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정의하며, 조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일-가정 촉진의 결과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최근에는 기존의 일과 사람 중심의 조직관리에서 일과 사람 뿐만 아니라 조직내 구성원들의 개인적 삶 및 구성원들의 가족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새로운 조직지원 패러다임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일-가정 연구의 개념적 변화를 토대로 일-가정의 긍정적 상호작용이라 할 수 있는 일-가정 촉진(work-family facilitation)과 성과 간의 관계를 살펴 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조직차원의 조직지원인식의 조절 효과를 파악해 봄으로써 스마트 워킹 시대에 인사관리 실무자들에게 보다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일-가정 촉진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더 나아가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실증연구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증결과 일-가정 촉진과 조직몰입 간의 정(+)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제시하였고, 조직지원인식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조절관계를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1] 일-가정 촉진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2] 조직지원인식은 일-가정 촉진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조절 할 것이다.
  • 조직지원인식은 일-가정 촉진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라는 가설 2 역시 조직몰입을 규범적, 정서적, 그리고 지속적 몰입으로 구분하여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일-가정 촉진 및 가정-일 촉진과 정서적 몰입 간의 관계<표 4>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일-가정 촉진: β=-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지원인식이란? 조직지원인식(PO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은 구성원들이 조직에 기여하는 공헌을 인정하고 이들의 복지를 증진하기 위해 조직이 노력하는 정도에 대한 구성원들의 포괄적 믿음이다(Eisenberger, Huntington, Hutchison, & Sowa, 1986). 즉, 조직지원인식은 조직이 구성원의 공헌을 가치있게 여기며 이들을 배려하는 정도에 대한 구성원이 가지는 믿음을 의미한다(오아라·박경규·용현주, 2013). 조직지원인식은 공정성, 상사의 지원, 조직의 보상과 직무 조건의 세 영역으로 구분된다(Rhoades et al.
조직지원인식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즉, 조직지원인식은 조직이 구성원의 공헌을 가치있게 여기며 이들을 배려하는 정도에 대한 구성원이 가지는 믿음을 의미한다(오아라·박경규·용현주, 2013). 조직지원인식은 공정성, 상사의 지원, 조직의 보상과 직무 조건의 세 영역으로 구분된다(Rhoades et al., 2001).
구성원 삶의 질 향상 및 조직성과 제고를 위한 여러 활동들은 과거랑 비교하여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최근 몇몇 대기업을 중심으로 일-가정 균형(work-family balance)을 통한 구성원 삶의 질 향상 및 조직성과 제고를 위한 여러 활동들(예: KT의 스마트워킹 제도(황인혁 & 손재권, 2010), LG전자의 Fun 경영 등)이 이루어 지고 있다. 이러한 활동들은 일-가정 관계가 서로 독립적이고 제로섬(zero-sum)게임으로 생각되던 과거(Guetk, Searles, & Klepa, 1991)와는 달리 상호작용 및 시너지를 통한 구성원들의 삶의 질 향상(Greenhaus & Powell, 2006) 및 성과(Frone, 2003)를 위한 관계로 인식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조직 내 구성원들은 하루의 1/3이상의 시간을 회사에서 보내고 있으며 퇴근 후에도 그 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Conrad, 1988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N. Allen & J. Meyer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 pp. 1-18. 

  2. S. Aryee, E. S. Srinivas., & H. H. Tan (2005), "Rhythms of Life: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alance in employed paren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1), 132-146. 

  3. R. C. Barnett & J. S. Hyde (2001), "Women, men, work, and family: An expansionist theory," American Psychologist, 56, 781-796. 

  4. B. Barocas (2005). "The rol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balancing work and family: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effects and implica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NY. 

  5. T. E. Becker, R. S. Billings, D. M. Eveleth, & N. Gilbert (1996). "Foci and bases of employee commitment: Implications for job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 464-482. 

  6. S. Boyer & Jr. D. Mosley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self-evaluations and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1(2), 265-281. 

  7. S. Caudron (1997). "Surveys illustrate the business case for work/life programs," Workforce, 1-2. 

  8. Z. Chen, R. Eisenberger, K. Johnson, I. Sucharski, & J. Aselage (2009),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extra-role performance: which leads to whic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9(1), 119-124. 

  9. R. Eisenberger, R. Huntington, S. Huchison, & D. Sowa (1986).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1(3), 500-507. 

  10. M. Frone (2003). "Work-family balance," In J. C. Quick & L. E. Tetrick (Eds.), Handbook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Washington: American Pyschological Association, 142-163. 

  11. J. Greenhaus & G. Powell (2006),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1(1), 72-92. 

  12. J. Grzywacz (2000). "Work-family spillover and health during midlife: Is managing conflict everything?,"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4, 236-243. 

  13. B. Guetk, S. Searle, & L. Klepa (1991). "Rational versus gender role-explanations for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 560-568. 

  14. J. Hays & A. Hill (2006)." Service guarantee strength: The key to service quality,"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24, 753-764. 

  15. I. Hwang & J. Son (2010) "KT's workplace revolution 'Smart Work," Daily Economic Newspaper, August 24, A15. 

  16. T. Heskett, L. James, Jones, Thomas O., Loveman, Gary W., Sasser Jr, W. Earl, & Schlesinger, Leonard A. (1994). "Putting thes service-profit chain to work,". Harvard Business Review, 72(2), 164-170. 

  17. K. Jung & E. Jang (2005), "A study on the work-family balance based on the family friendly policy,"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2(5), 91-100. 

  18. H. Kim & W. Cha (2010), "The effect of work-family interaction and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suppor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2(4), 515-540. 

  19. D. Lee & Y. Yoo (2011), "The effect of delegation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contextual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4(1), 183-206. 

  20. A. Oh, K. Park, & H. Ong (2013).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deviant behavior in the workplace: The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6(1), 119-147. 

  21. L. Rhoades, R. Eisenberger, & S. Armeli (2001), "Affec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The contribution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5), 825-836. 

  22. S. Rucci, J. Anthony, & Quinn, Richard T. (1998). "The employee-customer-profit chain at sears," Harvard Business Review, 76, 82-97. 

  23. L. Shore & T. Shore (1995),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and organization justice," In R. S. Cropanzano & K. M. Kacmar(Eds.), Organizational politics, justice, and support: Managing the social climate of the workplace, Westport, CT.: Quorum, 149-164. 

  24. L. Shore & S. Wayne (1993), "Commitment and employee behavior: Comparison of affec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wit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8(5), 774-780. 

  25. S. Wayne, L. Shore, & R. Liden (1997),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leader-member exchange: A social exchange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0(1), 82-111. 6, 108-130. 

  26. R. Yee, W. Y., Yeung, A. C. L., & Edwin, C.. T. C. (2010). "An empirical study of employee loyalty, service quality and firm performance in the service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124, 109-1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